색경



저자사항 : | 朴世堂(朝鮮) 撰 | |
판(판종) : | 筆寫本(草稿) | |
刊寫事項 : | [刊寫事項 未詳] | |
形態事項 : | 2卷1冊 ; 27.2 X 19.5cm | |
청구기호 : | 신암 귀 582 | |
기증자 : | 金約瑟 |
<개요>
朝鮮朝 文臣·學者 西溪 朴世堂(1629-1703)이 果樹·園藝·水利 등 농업 전 분야에 걸쳐 폭넓게 연구하여 지은 農書.
<내용>
朝鮮朝 文臣 學者인 西溪 朴世堂이 1676년(숙종2)에 지은 農書. 2권 1책. 筆寫本. 조선 肅宗 때의 實學者 西溪 朴世堂(1629-1703)의 저서로서 種穀·果樹·畜産·園藝·養蠶 등 농촌생활 전 분야를 연구하여 지은 농업기술서이다. 상·하 2권으로 分卷되어 있고, 권 두에는 1676년의 저자 自序가 있다.
체재는 상권의 앞부분에 耕地와 播種에 대한 총론적 설명이 있다. 種穀·種諸果法·種諸樹 法·種諸果法·種諸花藥法등 5개 부문으로 되어있다. 하권은 養桑法·養蠶經·田家月令·田家 占驗 등 4개 부문으로 되어 있고 그 뒤에 閑情錄이 붙어 있다. 각 항목에는 그에 대한 구 체적인 재배법과 양육법을 설명하고 있다. <種穀>은 大小麥·水稻·旱稻·黍제·촉黍·大豆·小 豆·豌豆·胡麻·麻子 ·麻·苧麻·木棉 ·西瓜·冬瓜·瓠 등 30개 항목, <種諸果法>은 梨·桃·李·杏·林 檎·棗·栗·시·木瓜·蒲萄 10개 항목, <種諸樹法>은 竹·松柏·梧桐·槐·穀楮·梔子·枸杞·白楊 등 8 개 항목, <種諸花藥法>은 蓮·菊·地黃·決明·茴香·薯여·葦蒲·接諸果·諸果·取材 등 10개 항목 으로 되어 있다. 하권은 <養桑法>에 桑種·種심·地桑·移栽·壓條·栽條·布行桑·科斫·接桑·자 등 10개 항목, <養蠶經>에 養蠶法·收種·蠶事豫備·修治蠶房等法·變色·下의·凉暖總論·飼養 總論·分擡諸法·初飼蟻·擘黑·頭眠擡飼·停眠擡飼·大眠擡飼·稙蠶之利晩蠶之害 등 21개 항목, <田家月令>, <田家占驗>에 月占 외에, 天文類·地理類·草木類·鳥獸類·節侯類·六甲類·節氣· 占月影 등 8개 항목으로 되어 있고 그 뒤로 저·鷄·鵝鴨·魚·蜜蜂 등을 기르는 법과 隨聞補錄 ·造流霞酒法·製醋法·造汁저法·金溝縣所造汁저法·造粘酒法·造茶食法·北紙法 등 잡다한 항 목들이 수록되어 있다. 閑情錄은 許筠(1569-1618)의 閑情錄 卷之十六의<治農>에 있는 擇地·資本·定居·種穀·種蔬·樹植·蠶?·牧養·順時·務勤·習儉·浸稻種·揷秧·耘稻·稻種·收麥·藏麥· 蕎麥·小豆·菉豆·蠶豆·赤豆·冬瓜·養蠶·養牛·牛病醫治急用單方·養鷄·養魚 등 49개 항목을 필 사한 것이다.
이 자료는 농업·축산·수산·양잠 등 농가의 전 분야에 걸쳐 폭넓게 연구하여 지은 박물학 적 농업기술서라 하겠다.
<Abstract>
This is a comprehensive book on agriculture ranging from horticulture, fruit farms, irrigation to the utilization of water written by Bak, SeDang(박세당, 朴世堂), a civil minister and scholar in the JoSeon Dynasty. His penname was SeoGye(서계, 西溪).