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대학교 도서관

고려대학교 도서관  고지도 컬렉션  |  靑邱圖. 二 (청구도이) – 십삼판

뒤로가기
靑邱圖. 二 (청구도이)
검색 취소
지도 리스트
도움말

고려대학교 도서관

다양한 고지도를
살펴보세요~!

다양한 고지도를 살펴보세요
지명색인

지도를 클릭하면
가까운 지명을 볼 수
있어요~!

지도를 클릭하면 가까운 지명을 볼 수 있어요
패널 숨기기
靑邱圖. 二
– 십삼판
청구도이, Cheonggudo 2
작자
김정호(조선)
간사년
순조34(1834)
설명
고산자 김정호가 1834년에 완성한 필사본 지도책이다. "청구"는 우리나라의 별칭이므로, "청구도"라는 명칭은 "조선지도"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이전의 우리나라 지도는 전도를 제외하면 대부분 행정구역별로 구분한 도별도와 군현도가 대부분이었는데, 청구도는 우리나라 남북을 100리 간격으로 잘라 29층으로 만들고 동서를 70리 간격으로 끊어서 22판으로 만들었으니, 대략 16만분의 일에 해당하는 대축적지도인 셈이다. 지도책은 기·우(奇·偶) 2책으로 장정하여 기(奇)권에는 홀수층을, 우(偶)권에는 짝수층을 묶어서, 홀수층과 짝수층을 서로 잇대어 볼 수 있게 고안하였다. 고려대 도서관 소장 <청구도>는 현전하는 <청구도>류의 원고본으로 추정되며, 보물 제1594-(3)호(2009.04.22)로 지정되어 있다.더보기
지명색인
검색취소
001. 갈치(葛峙)
002. 검원(檢院)
003. 견소면(見所面)
004. 견수산(犬首山)
005. 겸방면(兼坊面)
006. 계치(界峙)
007. 계치면(界峙面)
008. 고달면(古達面)
009. 고산성(古山城)
010. 고율곡(古栗谷)
011. 곡성(谷城)
012. 교룡산성(蛟龍山城)
013. 구남창(舊南倉)
014. 구례(求禮)
015. 구만(九灣)
016. 구봉산(九峯山)
017. 구천면(龜川面)
018. 군자사(君子寺)
019. 금동면(金洞面)
020. 금산(禁山)
021. 금안면(金岸面)
022. 기지면(機池面)
023. 나모산(羅母山)
024. 남면(南面)
025. 남원(南原)
026. 남원창(藍院倉)
027. 남창(南倉)
028. 남치(藍峙)
029. 내접산(來接山)
030. 대곡면(大谷面)
031. 대명산(大明山)
032. 대부역(大富驛)
033. 대황진(大荒津)
034. 덕진면(德進面)
035. 도명산(道明山)
036. 도상면(道上面)
037. 동갈치면(東葛峙面)
038. 동락산(動樂山)
039. 동면(東面)
040. 두동면(豆洞面)
041. 둔덕면(屯德面)
042. 둔산치(屯山峙)
043. 등귀사(登龜寺)
044. 마산(馬山)
045. 마산면(馬山面)
046. 마아천(亇兒川)
047. 마천(馬川)
048. 만수동(萬水洞)
049. 명저치(鳴猪峙)
050. 묘치(猫峙)
051. 문척면(文尺面)
052. 반야봉(般若峯)
053. 발산(鉢山)
054. 방광면(放光面)
055. 방제천(方梯川)
056. 백공산(百工山)
057. 백파면(白波面)
058. 병방산(丙方山)
059. 봉산(封山)
060. 부연(釜淵)
061. 북상면(北上面)
062. 비명치(飛鳴峙)
063. 비전(碑殿)
064. 사동면(巳洞面)
065. 산내면(山內面)
066. 산동면(山東面)
067. 산동면(山洞面)
068. 상산(霜山)
069. 서룡산(瑞龍山)
070. 서면(西面)
071. 서원(書院)
072. 서창(西倉)
073. 석곡면(石谷面)
074. 석복면(席卜面)
075. 석주진(石柱鎭)
076. 선각천(仙脚川)
077. 설산(雪山)
078. 성남면(城南面)
079. 성덕산(聖德山)
080. 세암산(細巖山)
081. 소의면(所義面)
082. 송내면(松內面)
083. 수대곡면(水大谷面)
084. 수성암(水聲庵)
085. 수성치(宿星峙)
086. 수지면(水旨面)
087. 수지산(愁知山)
088. 순창(淳昌)
089. 시라면(時羅面)
090. 신응사(神凝寺)
091. 실상사(實相寺)
092. 쌍계사(雙溪寺)
093. 아리도(鵝里島)
094. 안국사(安國寺)
095. 안산(鷃山)
096. 압록원(鴨綠院)
097. 엄천면(嚴川面)
098. 여원치(女院峙)
099. 연곡사(燕谷寺)
100. 연탄(淵灘)
101. 영계면(靈溪面)
102. 예산면(曳山面)
103. 오도산(吾道山)
104. 오봉산(五鳳山)
105. 오산(鰲山)
106. 오산면(鰲山面)
107. 오지면(梧枝面)
108. 옥과(玉果)
109. 옥출산(玉出山)
110. 외북면(外北面)
111. 요천(蓼川)
112. 용산(龍山)
113. 용석치(龍石峙)
114. 용왕연(龍王淵)
115. 용유동(龍遊洞)
116. 우곡면(牛谷面)
117. 우치(牛峙)
118. 운봉(雲峯)
119. 원천면(源川面)
120. 위수(渭水)
121. 유등면(柳等面)
122. 유치(柳峙)
123. 율치(栗峙)
124. 응령(應嶺)
125. 이언면(伊彦面)
126. 인월역(引月驛)
127. 임창(任倉)
128. 입평면(立坪面)
129. 잉화벌면(仍火伐面)
130. 자성면(者省面)
131. 작산(鵲山)
132. 잔수진(潺水津)
133. 장덕산(將德山)
134. 장산(莊山)
135. 저연(猪淵)
136. 적산(赤山)
137. 적성면(赤城面)
138. 적성진(赤城津)
139. 적성진(赤城津)
140. 적진봉(赤鎭峯)
141. 정령치(正嶺峙)
142. 정조벌면(廷鳥伐面)
143. 제한역(蹄閑驛)
144. 좌영(左營)
145. 주촌면(朱村面)
146. 주치(走峙)
147. 주포면(周浦面)
148. 죽곡면(竹谷面)
149. 죽곡면(竹谷面)
150. 죽연(竹淵)
151. 중방면(中方面)
152. 중택(中澤)
153. 지리산(智異山)
154. 지리산사(智異山祠)
155. 지좌곡면(只佐谷面)
156. 직전동(稷田洞)
157. 천덕산(天德山)
158. 천왕봉(天王峯)
159. 초랑면(草郞面)
160. 충렬사(忠烈祠)
161. 취령(鷲嶺)
162. 취암사(鷲巖寺)
163. 칠불암(七佛庵)
164. 토수면(吐首面)
165. 팔양치(八良峙)
166. 품곡면(品谷面)
167. 풍악(楓岳)
168. 풍천(楓川)
169. 함양(咸陽)
170. 합도진(蛤島津)
171. 현서치(現瑞峙)
172. 호계면(虎溪面)
173. 화개면(花開面)
174. 화엄사(華嚴寺)
175. 황규동(黃奎洞)
176. 황산(荒山)
177. 황산(荒山)
178. 황산(黃山)
179. 흑성면(黑城面)
180. 흑암산(黑巖山)
목차
전체화면
목차
지명색인
KOREA UNIVERSITY LIBRARY OLD MAP COLLECTION

지명색인도
확인해보세요~!

지명색인도 확인해보세요
KU 고지도 컬렉션
닫기
현재 지도 정보
지도명靑邱圖. 二 (청구도이) – 십삼판
작자김정호(조선)
간사년순조34(1834)
설명고산자 김정호가 1834년에 완성한 필사본 지도책이다. "청구"는 우리나라의 별칭이므로, "청구도"라는 명칭은 "조선지도"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이전의 우리나라 지도는 전도를 제외하면 대부분 행정구역별로 구분한 도별도와 군현도가 대부분이었는데, 청구도는 우리나라 남북을 100리 간격으로 잘라 29층으로 만들고 동서를 70리 간격으로 끊어서 22판으로 만들었으니, 대략 16만분의 일에 해당하는 대축적지도인 셈이다. 지도책은 기·우(奇·偶) 2책으로 장정하여 기(奇)권에는 홀수층을, 우(偶)권에는 짝수층을 묶어서, 홀수층과 짝수층을 서로 잇대어 볼 수 있게 고안하였다. 고려대 도서관 소장 <청구도>는 현전하는 <청구도>류의 원고본으로 추정되며, 보물 제1594-(3)호(2009.04.22)로 지정되어 있다.더보기
지도 리스트지도 리스트40
목차청구도이 목차95
청구도이 – 십삼판청구도이 – 십삼판
고지도 컬렉션 정보고지도 컬렉션 정보
고려대학교 도서관 한적실
02841 서울 성북구 안암로 145 고려대학교 도서관
고지도 컬렉션

도서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고지도 중 학술적 가치와 희귀성이 높은 자료를 선별하여 디지털화한 고지도를 검색할 수 있습니다. 현재 40건 726면의 고지도 원문 이미지가 구축되어 있습니다.

교내외 로그인 없이 원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닫기
靑邱圖. 二
(청구도이)

고산자 김정호가 1834년에 완성한 필사본 지도책이다. "청구"는 우리나라의 별칭이므로, "청구도"라는 명칭은 "조선지도"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이전의 우리나라 지도는 전도를 제외하면 대부분 행정구역별로 구분한 도별도와 군현도가 대부분이었는데, 청구도는 우리나라 남북을 100리 간격으로 잘라 29층으로 만들고 동서를 70리 간격으로 끊어서 22판으로 만들었으니, 대략 16만분의 일에 해당하는 대축적지도인 셈이다. 지도책은 기·우(奇·偶) 2책으로 장정하여 기(奇)권에는 홀수층을, 우(偶)권에는 짝수층을 묶어서, 홀수층과 짝수층을 서로 잇대어 볼 수 있게 고안하였다. 고려대 도서관 소장 <청구도>는 현전하는 <청구도>류의 원고본으로 추정되며, 보물 제1594-(3)호(2009.04.22)로 지정되어 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