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대학교 도서관

고려대학교 도서관  고지도 컬렉션  |  靑邱圖. 二 (청구도이) – 십삼판

뒤로가기
靑邱圖. 二 (청구도이)
검색 취소
지도 리스트
도움말

고려대학교 도서관

다양한 고지도를
살펴보세요~!

다양한 고지도를 살펴보세요
지명색인

지도를 클릭하면
가까운 지명을 볼 수
있어요~!

지도를 클릭하면 가까운 지명을 볼 수 있어요
패널 숨기기
靑邱圖. 二
– 십삼판
청구도이, Cheonggudo 2
작자
김정호(조선)
간사년
순조34(1834)
설명
고산자 김정호가 1834년에 완성한 필사본 지도책이다. "청구"는 우리나라의 별칭이므로, "청구도"라는 명칭은 "조선지도"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이전의 우리나라 지도는 전도를 제외하면 대부분 행정구역별로 구분한 도별도와 군현도가 대부분이었는데, 청구도는 우리나라 남북을 100리 간격으로 잘라 29층으로 만들고 동서를 70리 간격으로 끊어서 22판으로 만들었으니, 대략 16만분의 일에 해당하는 대축적지도인 셈이다. 지도책은 기·우(奇·偶) 2책으로 장정하여 기(奇)권에는 홀수층을, 우(偶)권에는 짝수층을 묶어서, 홀수층과 짝수층을 서로 잇대어 볼 수 있게 고안하였다. 고려대 도서관 소장 <청구도>는 현전하는 <청구도>류의 원고본으로 추정되며, 보물 제1594-(3)호(2009.04.22)로 지정되어 있다.더보기
지명색인
검색취소
001. 가야곡면(可也谷面)
002. 가정원(柯亭院)
003. 갈마동면(渴馬洞面)
004. 갈치(葛峙)
005. 거사리천(居士里川)
006. 건은치(件隱峙)
007. 건지산(乾止山)
008. 고남치(古南峙)
009. 고부리현(古富利縣)
010. 고산(高山)
011. 고용계현(古龍溪縣)
012. 고운제현(古雲梯縣)
013. 관촉사(灌燭寺)
014. 광석산(廣石山)
015. 구로치(九老峙)
016. 구자곡면(九子谷面)
017. 군북면(郡北面)
018. 금남원(錦南院)
019. 금산(錦山)
020. 금천(錦川)
021. 기린봉(猉獜峯)
022. 기시천(猉嘶川)
023. 남면(南面)
024. 남이면(南二面)
025. 남이면(南二面)
026. 남이면(南二面)
027. 남일면(南一面)
028. 남일면(南一面)
029. 남일면(南一面)
030. 남제원(南濟院)
031. 남천(南川)
032. 노산(爐山)
033. 달계역(達溪驛)
034. 당돌치(唐突峙)
035. 대야천면(大也川面)
036. 대조곡면(大鳥谷面)
037. 덕유치(德裕峙)
038. 덕지(德池)
039. 동령(東嶺)
040. 동면(東面)
041. 동면(東面)
042. 동일면(東一面)
043. 동일면(東一面)
044. 동향(桐鄕)
045. 두상면(豆上面)
046. 두하면(豆下面)
047. 마니산(摩尼山)
048. 마산(馬山)
049. 만목치(萬木峙)
050. 명치(銘峙)
051. 모촌면(茅村面)
052. 묘치(猫峙)
053. 무주(茂朱)
054. 문수산(文殊山)
055. 문현(門峴)
056. 미륵(彌勒)
057. 반야산(般若山)
058. 반일봉(半日峯)
059. 반일암(半日巖)
060. 반일천(半日川)
061. 백자치(柏子峙)
062. 병산(屛山)
063. 보석사(寶石寺)
064. 봉상면(峯上面)
065. 봉실면(峯實面)
066. 부남면(富南面)
067. 부동면(富東面)
068. 부북면(府北面)
069. 부서면(富西面)
070. 북면(北面)
071. 북면(北面)
072. 북면(北面)
073. 북이면(北二面)
074. 북이면(北二面)
075. 북일면(北一面)
076. 불명산(佛明山)
077. 비봉산(飛鳳山)
078. 비봉산(飛鳳山)
079. 사고(史庫)
080. 삼례역(參禮驛)
081. 서면(西面)
082. 서면(西面)
083. 서면(西面)
084. 서면(西面)
085. 서방산(西方山)
086. 서원(書院)
087. 서이면(西二面)
088. 서일면(西一面)
089. 서창(西倉)
090. 성원(星院)
091. 소양면(所陽面)
092. 소이진(召爾津)
093. 소이치(召爾峙)
094. 송광사(松廣寺)
095. 송산면(松山面)
096. 송원치(松院峙)
097. 송치(松峙)
098. 송치(松峙)
099. 송현(松峴)
100. 순양역(順陽驛)
101. 순절비(殉節碑)
102. 신음산(神陰山)
103. 신천(薪川)
104. 신치(新峙)
105. 심원암(深源庵)
106. 쌍계사(雙溪寺)
107. 안자천(顔子川)
108. 양내면(陽內面)
109. 양량소면(陽良所面)
110. 양산창(陽山倉)
111. 양재역(良才驛)
112. 양정포(良正浦)
113. 엄정산(嚴正山)
114. 여산(礪山)
115. 오대산(五臺山)
116. 오두치(烏頭峙)
117. 오백주면(五百洲面)
118. 옥계(玉溪)
119. 옥계역(玉溪驛)
120. 옥녀봉(玉女峯)
121. 왕사봉(王師峯)
122. 외성창(外城倉)
123. 용계원(龍溪院)
124. 용담(龍潭)
125. 용진면(龍進面)
126. 용추(龍湫)
127. 우북면(紆北面)
128. 운북면(雲北面)
129. 운산(雲山)
130. 운서면(雲西面)
131. 운암산(雲暗山)
132. 운제산(雲梯山)
133. 월봉산(月峯山)
134. 월영산(月影山)
135. 위봉산성(威鳳山城)
136. 유령(杻嶺)
137. 유야면(柳野面)
138. 유치(杻峙)
139. 율령천(栗嶺川)
140. 은진(恩津)
141. 이북면(二北面)
142. 이안면(二安面)
143. 이치(梨峙)
144. 일안면(一安面)
145. 임정서원(林亭書院)
146. 장고산(長古山)
147. 적사곡면(赤寺谷面)
148. 적상산성(赤裳山城)
149. 전주지(全州地)
150. 정자천(程子川)
151. 제원역(濟源驛)
152. 주자천(朱子川)
153. 주췌산(珠萃山)
154. 죽계(竹溪)
155. 죽본면(竹本面)
156. 지륵산(知勒山)
157. 진산(珍山)
158. 진약산(進藥山)
159. 징청연(澄淸淵)
160. 창(倉)
161. 창(倉)
162. 창(倉)
163. 천동면(川東面)
164. 천서면(川西面)
165. 청록산(靑鹿山)
166. 초곡면(草谷面)
167. 초치(招峙)
168. 최고산(最高山)
169. 칠곡(漆谷)
170. 탄치(炭峙)
171. 탄현(炭峴)
172. 탄현(炭峴)
173. 태고정(太古亭)
174. 합광면(合光面)
175. 향령(香嶺)
176. 향적산(香積山)
177. 험액천(險阨川)
178. 호탄(虎灘)
179. 환감치(歡坎峙)
180. 황화정(皇華亭)
181. 후영(後營)
목차
전체화면
목차
지명색인
KOREA UNIVERSITY LIBRARY OLD MAP COLLECTION

지명색인도
확인해보세요~!

지명색인도 확인해보세요
KU 고지도 컬렉션
닫기
현재 지도 정보
지도명靑邱圖. 二 (청구도이) – 십삼판
작자김정호(조선)
간사년순조34(1834)
설명고산자 김정호가 1834년에 완성한 필사본 지도책이다. "청구"는 우리나라의 별칭이므로, "청구도"라는 명칭은 "조선지도"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이전의 우리나라 지도는 전도를 제외하면 대부분 행정구역별로 구분한 도별도와 군현도가 대부분이었는데, 청구도는 우리나라 남북을 100리 간격으로 잘라 29층으로 만들고 동서를 70리 간격으로 끊어서 22판으로 만들었으니, 대략 16만분의 일에 해당하는 대축적지도인 셈이다. 지도책은 기·우(奇·偶) 2책으로 장정하여 기(奇)권에는 홀수층을, 우(偶)권에는 짝수층을 묶어서, 홀수층과 짝수층을 서로 잇대어 볼 수 있게 고안하였다. 고려대 도서관 소장 <청구도>는 현전하는 <청구도>류의 원고본으로 추정되며, 보물 제1594-(3)호(2009.04.22)로 지정되어 있다.더보기
지도 리스트지도 리스트40
목차청구도이 목차95
청구도이 – 십삼판청구도이 – 십삼판
고지도 컬렉션 정보고지도 컬렉션 정보
고려대학교 도서관 한적실
02841 서울 성북구 안암로 145 고려대학교 도서관
고지도 컬렉션

도서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고지도 중 학술적 가치와 희귀성이 높은 자료를 선별하여 디지털화한 고지도를 검색할 수 있습니다. 현재 40건 726면의 고지도 원문 이미지가 구축되어 있습니다.

교내외 로그인 없이 원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닫기
靑邱圖. 二
(청구도이)

고산자 김정호가 1834년에 완성한 필사본 지도책이다. "청구"는 우리나라의 별칭이므로, "청구도"라는 명칭은 "조선지도"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이전의 우리나라 지도는 전도를 제외하면 대부분 행정구역별로 구분한 도별도와 군현도가 대부분이었는데, 청구도는 우리나라 남북을 100리 간격으로 잘라 29층으로 만들고 동서를 70리 간격으로 끊어서 22판으로 만들었으니, 대략 16만분의 일에 해당하는 대축적지도인 셈이다. 지도책은 기·우(奇·偶) 2책으로 장정하여 기(奇)권에는 홀수층을, 우(偶)권에는 짝수층을 묶어서, 홀수층과 짝수층을 서로 잇대어 볼 수 있게 고안하였다. 고려대 도서관 소장 <청구도>는 현전하는 <청구도>류의 원고본으로 추정되며, 보물 제1594-(3)호(2009.04.22)로 지정되어 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