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대학교 도서관

고려대학교 도서관  고지도 컬렉션  |  靑邱圖. 二 (청구도이) – 십층십팔판,십구판

뒤로가기
靑邱圖. 二 (청구도이)
검색 취소
지도 리스트
도움말

고려대학교 도서관

다양한 고지도를
살펴보세요~!

다양한 고지도를 살펴보세요
지명색인

지도를 클릭하면
가까운 지명을 볼 수
있어요~!

지도를 클릭하면 가까운 지명을 볼 수 있어요
패널 숨기기
靑邱圖. 二
– 십층십팔판,십구판
청구도이, Cheonggudo 2
작자
김정호(조선)
간사년
순조34(1834)
설명
고산자 김정호가 1834년에 완성한 필사본 지도책이다. "청구"는 우리나라의 별칭이므로, "청구도"라는 명칭은 "조선지도"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이전의 우리나라 지도는 전도를 제외하면 대부분 행정구역별로 구분한 도별도와 군현도가 대부분이었는데, 청구도는 우리나라 남북을 100리 간격으로 잘라 29층으로 만들고 동서를 70리 간격으로 끊어서 22판으로 만들었으니, 대략 16만분의 일에 해당하는 대축적지도인 셈이다. 지도책은 기·우(奇·偶) 2책으로 장정하여 기(奇)권에는 홀수층을, 우(偶)권에는 짝수층을 묶어서, 홀수층과 짝수층을 서로 잇대어 볼 수 있게 고안하였다. 고려대 도서관 소장 <청구도>는 현전하는 <청구도>류의 원고본으로 추정되며, 보물 제1594-(3)호(2009.04.22)로 지정되어 있다.더보기
지명색인
검색취소
001. 가마천(加麻川)
002. 가산(嘉山)
003. 갈지면(葛之面)
004. 고미랑(古彌郞)
005. 고봉산(故峯山)
006. 고성(古城)
007. 고성동(古城洞)
008. 고운산면(古雲山面)
009. 고읍(古邑)
010. 고읍면(古邑面)
011. 고현면(高峴面)
012. 곽산(郭山)
013. 관유산(官遊山)
014. 관적강(串赤江)
015. 광림산(廣林山)
016. 구령산(九靈山)
017. 구림천(九林川)
018. 구성지(龜城地)
019. 구정성령(九井星嶺)
020. 구화산(鳩化山)
021. 금로곶(金老串)
022. 길상사(吉祥寺)
023. 남강(南江)
024. 남면(南面)
025. 남면(南面)
026. 남면(南面)
027. 남창(南倉)
028. 남창(南倉)
029. 납청정(納淸亭)
030. 농오리산(籠吾里山)
031. 능한산성(凌漢山城)
032. 달천(獺川)
033. 당아령(唐峨嶺)
034. 당오참(唐吾站)
035. 대명동면(大明洞面)
036. 대석현(大石峴)
037. 대신현(大新峴)
038. 대웅산(大雄山)
039. 대장산(大藏山)
040. 대정강(大定江)
041. 대현(大峴)
042. 덕건면(德建面)
043. 덕안(德安)
044. 덕안면(德安面)
045. 덕암면(德巖面)
046. 도직령(盜直嶺)
047. 도치곶(都致串)
048. 독자산(禿子山)
049. 독장산(獨將山)
050. 독장산(獨將山)
051. 돈산(頓山)
052. 동면(東面)
053. 동면(東面)
054. 동면(東面)
055. 동면(東面)
056. 동발소(東撥所)
057. 동부(東部)
058. 동북면(東北面)
059. 동을랑산(冬乙郞山)
060. 동주면(東州面)
061. 동창(東倉)
062. 동창(東倉)
063. 두미산(豆米山)
064. 둔산창(屯山倉)
065. 둔전면(屯田面)
066. 마산(馬山)
067. 마산면(馬山面)
068. 마파현(馬坡峴)
069. 망우(望隅)
070. 망해산(望海山)
071. 목장창(牧場倉)
072. 묘두산(猫頭山)
073. 묘봉산(妙峯山)
074. 무학산(舞鶴山)
075. 방우산(放牛山)
076. 방축포(方築浦)
077. 방현면(防峴面)
078. 벌사롱산(伐思弄山)
079. 보혈사(普穴寺)
080. 봉두산(鳳頭山)
081. 북강(北江)
082. 북면(北面)
083. 북창(北倉)
084. 사송강(四松江)
085. 사음산(舍音山)
086. 사포(蛇浦)
087. 사현(蛇峴)
088. 삼봉(三峯)
089. 삼장천(三長川)
090. 서면(西面)
091. 서면(西面)
092. 서면(西面)
093. 서면(西面)
094. 서면(西面)
095. 서면(西面)
096. 서부(西部)
097. 서북면(西北面)
098. 서양산(西陽山)
099. 서원면(西院面)
100. 서창(西倉)
101. 석현(石峴)
102. 소산(所山)
103. 소현(小峴)
104. 송현(松峴)
105. 신안면(新安面)
106. 신창(新倉)
107. 신창(新倉)
108. 신현(新峴)
109. 신현(薪峴)
110. 심산(深山)
111. 심원사(深源寺)
112. 심원산(深源山)
113. 아이면(阿耳面)
114. 영자현(永子峴)
115. 오봉산(五峯山)
116. 오산면(五山面)
117. 오창(敖倉)
118. 용두면(龍頭面)
119. 운산지(雲山地)
120. 운흥면(雲興面)
121. 원통산(元通山)
122. 월구봉(月九峯)
123. 월라리(月羅里)
124. 위봉(胃峯)
125. 은현(銀峴)
126. 이거리현(利巨里峴)
127. 이성면(泥城面)
128. 이평(梨坪)
129. 이현(梨峴)
130. 임해(臨海)
131. 임해산(臨海山)
132. 임해산(臨海山)
133. 자성산(慈聖山)
134. 장경산(長庚山)
135. 장구산(長驅山)
136. 장림면(長林面)
137. 장수현(長水峴)
138. 정주(定州)
139. 제석산(帝釋山)
140. 족해(族海)
141. 지경치(地境峙)
142. 지경현(地境峴)
143. 지령산(地靈山)
144. 진소현(津小峴)
145. 진해곶(鎭海串)
146. 차령(車嶺)
147. 천검산(天劍山)
148. 천현(泉峴)
149. 철마천(鐵馬川)
150. 청룡산(靑龍山)
151. 청암산(靑巖山)
152. 청천강(淸川江)
153. 촌공포(寸公浦)
154. 취봉(鷲峯)
155. 칠악산(七岳山)
156. 태천(泰川)
157. 통경봉(通京峯)
158. 파산(巴山)
159. 해창(海倉)
160. 해창(海倉)
161. 향적산(香積山)
162. 협수대(挾水臺)
163. 호리면(號里面)
164. 화악산(華岳山)
165. 효성령(曉星嶺)
목차
전체화면
목차
지명색인
KOREA UNIVERSITY LIBRARY OLD MAP COLLECTION

지명색인도
확인해보세요~!

지명색인도 확인해보세요
KU 고지도 컬렉션
닫기
현재 지도 정보
지도명靑邱圖. 二 (청구도이) – 십층십팔판,십구판
작자김정호(조선)
간사년순조34(1834)
설명고산자 김정호가 1834년에 완성한 필사본 지도책이다. "청구"는 우리나라의 별칭이므로, "청구도"라는 명칭은 "조선지도"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이전의 우리나라 지도는 전도를 제외하면 대부분 행정구역별로 구분한 도별도와 군현도가 대부분이었는데, 청구도는 우리나라 남북을 100리 간격으로 잘라 29층으로 만들고 동서를 70리 간격으로 끊어서 22판으로 만들었으니, 대략 16만분의 일에 해당하는 대축적지도인 셈이다. 지도책은 기·우(奇·偶) 2책으로 장정하여 기(奇)권에는 홀수층을, 우(偶)권에는 짝수층을 묶어서, 홀수층과 짝수층을 서로 잇대어 볼 수 있게 고안하였다. 고려대 도서관 소장 <청구도>는 현전하는 <청구도>류의 원고본으로 추정되며, 보물 제1594-(3)호(2009.04.22)로 지정되어 있다.더보기
지도 리스트지도 리스트40
목차청구도이 목차95
청구도이 – 십층십팔판,십구판청구도이 – 십층십팔판,십구판
고지도 컬렉션 정보고지도 컬렉션 정보
고려대학교 도서관 한적실
02841 서울 성북구 안암로 145 고려대학교 도서관
고지도 컬렉션

도서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고지도 중 학술적 가치와 희귀성이 높은 자료를 선별하여 디지털화한 고지도를 검색할 수 있습니다. 현재 40건 726면의 고지도 원문 이미지가 구축되어 있습니다.

교내외 로그인 없이 원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닫기
靑邱圖. 二
(청구도이)

고산자 김정호가 1834년에 완성한 필사본 지도책이다. "청구"는 우리나라의 별칭이므로, "청구도"라는 명칭은 "조선지도"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이전의 우리나라 지도는 전도를 제외하면 대부분 행정구역별로 구분한 도별도와 군현도가 대부분이었는데, 청구도는 우리나라 남북을 100리 간격으로 잘라 29층으로 만들고 동서를 70리 간격으로 끊어서 22판으로 만들었으니, 대략 16만분의 일에 해당하는 대축적지도인 셈이다. 지도책은 기·우(奇·偶) 2책으로 장정하여 기(奇)권에는 홀수층을, 우(偶)권에는 짝수층을 묶어서, 홀수층과 짝수층을 서로 잇대어 볼 수 있게 고안하였다. 고려대 도서관 소장 <청구도>는 현전하는 <청구도>류의 원고본으로 추정되며, 보물 제1594-(3)호(2009.04.22)로 지정되어 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