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대학교 도서관

고려대학교 도서관  고지도 컬렉션  |  靑邱圖. 一 (청구도일) – 23층11판

뒤로가기
靑邱圖. 一 (청구도일)
검색 취소
지도 리스트
도움말

고려대학교 도서관

다양한 고지도를
살펴보세요~!

다양한 고지도를 살펴보세요
지명색인

지도를 클릭하면
가까운 지명을 볼 수
있어요~!

지도를 클릭하면 가까운 지명을 볼 수 있어요
패널 숨기기
靑邱圖. 一
– 23층11판
청구도일, Cheonggudo 1
작자
김정호(조선)
간사년
순조34(1834)
설명
고산자 김정호가 1834년에 완성한 필사본 지도책이다. "청구"는 우리나라의 별칭이므로, "청구도"라는 명칭은 "조선지도"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이전의 우리나라 지도는 전도를 제외하면 대부분 행정구역별로 구분한 도별도와 군현도가 대부분이었는데, 청구도는 우리나라 남북을 100리 간격으로 잘라 29층으로 만들고 동서를 70리 간격으로 끊어서 22판으로 만들었으니, 대략 16만분의 일에 해당하는 대축적지도인 셈이다. 지도책은 기·우(奇·偶) 2책으로 장정하여 기(奇)권에는 홀수층을, 우(偶)권에는 짝수층을 묶어서, 홀수층과 짝수층을 서로 잇대어 볼 수 있게 고안하였다. 고려대 도서관 소장 <청구도>는 현전하는 <청구도>류의 원고본으로 추정되며, 보물 제1594-(3)호(2009.04.22)로 지정되어 있다.더보기
지명색인
검색취소
001. 가동면(可洞面)
002. 가리면(加利面)
003. 가산창(駕山倉)
004. 가이곡면(加伊谷面)
005. 가좌촌면(加佐村面)
006. 가차면(加次面)
007. 각산(角山)
008. 갈(葛)
009. 갈(葛)
010. 감치(甘峙)
011. 개천리(介川里)
012. 고곤명면(古昆明面)
013. 고현면(古縣面)
014. 곡자(曲子)
015. 곤명면(昆明面)
016. 곤양(昆陽)
017. 공일치(公日峙)
018. 관률역(官栗驛)
019. 구솔비포(舊乺非浦)
020. 귀룡산(歸龍山)
021. 근남면(近南面)
022. 금동어면(金洞於面)
023. 금매치(金罵峙)
024. 금성강(金城江)
025. 금양(金陽)
026. 금오산(金烏山)
027. 금오산(金鰲山)
028. 남창(南倉)
029. 남항포(南項浦)
030. 내동면(奈洞面)
031. 내원치(內院峙)
032. 내진리면(內晋里面)
033. 내횡면(內橫面)
034. 노량진(露梁津)
035. 녹(鹿)
036. 녹두산(鹿頭山)
037. 누봉산(樓鳳山)
038. 늑(勒)
039. 니산(尼山)
040. 당천(唐川)
041. 대관대(大觀臺)
042. 대구(大口)
043. 대치촌(大峙村)
044. 덕신역(德新驛)
045. 동곡산(銅谷山)
046. 동곡역(銅谷驛)
047. 동면(東面)
048. 동면(東面)
049. 동부면(東部面)
050. 두곡창(豆谷倉)
051. 두음대산(豆音代山)
052. 두치진(豆恥津)
053. 마동면(馬洞面)
054. 마전산(馬田山)
055. 마조(馬槽)
056. 말문면(末文面)
057. 망진산(望晋山)
058. 모방산(茅方山)
059. 목(牧)
060. 목개(目開)
061. 목도(牧島)
062. 무기산(舞妓山)
063. 무량산(無量山)
064. 무이산(武夷山)
065. 문래현(文來峴)
066. 문수산(文殊山)
067. 문창역(文昌驛)
068. 문화역(文化驛)
069. 반성면(班城面)
070. 배왕사(排王寺)
071. 별향창(別餉倉)
072. 병교(幷橋)
073. 병창(兵倉)
074. 봉산(封山)
075. 부인곡면(夫人谷面)
076. 북면(北面)
077. 북면(北面)
078. 비(飛)
079. 사(沙)
080. 사(蛇)
081. 사량(蛇梁)
082. 사수(泗水)
083. 사천(泗川)
084. 사천지(泗川地)
085. 삼천면(三千面)
086. 상서면(上西面)
087. 상족암(床足巖)
088. 서량면(西良面)
089. 서면(西面)
090. 서부면(西部面)
091. 서원(書院)
092. 서원(書院)
093. 서읍내면(西邑內面)
094. 서현(西峴)
095. 섭천면(涉川面)
096. 성방면(城防面)
097. 성을산면(省乙山面)
098. 성현(城峴)
099. 성황산(城隍山)
100. 소곡면(所谷面)
101. 소곡산(所谷山)
102. 소근(所斤)
103. 소사(小沙)
104. 소촌면(召村面)
105. 소촌역(召村驛)
106. 송(松)
107. 송곡면(松谷面)
108. 수(水)
109. 신풍면(新豊面)
110. 신풍역(新豊驛)
111. 심(深)
112. 악양면(岳陽面)
113. 안(鞍)
114. 안심산(安心山)
115. 안점산(鞍岾山)
116. 양경산(陽慶山)
117. 양포면(兩浦面)
118. 양포역(良浦驛)
119. 어령포(於令浦)
120. 역(驛)
121. 연화산(蓮花山)
122. 영이곡면(永耳谷面)
123. 영현면(永縣面)
124. 오색곡면(五色谷面)
125. 옥계(玉溪)
126. 옥계산(玉溪山)
127. 옥산(玉山)
128. 옥산(玉山)
129. 옥산치(玉山峙)
130. 와룡산(臥龍山)
131. 외진리면(外晋耳面)
132. 외횡면(外橫面)
133. 외횡역(外橫驛)
134. 용암산(龍巖山)
135. 우모(牛毛)
136. 우산(牛山)
137. 우현(牛峴)
138. 유곡면(杻谷面)
139. 율원역(栗院驛)
140. 율현(栗峴)
141. 읍창(邑倉)
142. 이(狸)
143. 이곡면(耳谷面)
144. 이맹점(理盲岾)
145. 인천(仁川)
146. 자란(自卵)
147. 장(長)
148. 장령(長嶺)
149. 장암창(長巖倉)
150. 저(猪)
151. 적량면(赤梁面)
152. 정강사(鼎岡祠)
153. 정촌면(鼎村面)
154. 제방산(諸方山)
155. 조(槽)
156. 조창(漕倉)
157. 종송산(宗送山)
158. 좌이산(佐耳山)
159. 중(中)
160. 중남면(中南面)
161. 지곡면(枝谷面)
162. 진목봉산(眞木封山)
163. 진천지(晋川地)
164. 차점(車岾)
165. 창(倉)
166. 창(倉)
167. 천금산(千金山)
168. 천왕산면(天王山面)
169. 초량면(草梁面)
170. 충열사(忠烈祠)
171. 통창(統倉)
172. 팔음산(八音山)
173. 팔조면(八助面)
174. 평거면(平居面)
175. 하남면(下南面)
176. 하동(河東)
177. 하서면(下西面)
178. 하이면(下二面)
179. 하일면(下一面)
180. 학유산(鶴游山)
181. 해현(蟹峴)
182. 현창(縣倉)
183. 환사역(綄紗驛)
184. 황치(黃峙)
185. 횡천(橫川)
186. 횡포역(橫浦驛)
목차
전체화면
목차
지명색인
KOREA UNIVERSITY LIBRARY OLD MAP COLLECTION

지명색인도
확인해보세요~!

지명색인도 확인해보세요
KU 고지도 컬렉션
닫기
현재 지도 정보
지도명靑邱圖. 一 (청구도일) – 23층11판
작자김정호(조선)
간사년순조34(1834)
설명고산자 김정호가 1834년에 완성한 필사본 지도책이다. "청구"는 우리나라의 별칭이므로, "청구도"라는 명칭은 "조선지도"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이전의 우리나라 지도는 전도를 제외하면 대부분 행정구역별로 구분한 도별도와 군현도가 대부분이었는데, 청구도는 우리나라 남북을 100리 간격으로 잘라 29층으로 만들고 동서를 70리 간격으로 끊어서 22판으로 만들었으니, 대략 16만분의 일에 해당하는 대축적지도인 셈이다. 지도책은 기·우(奇·偶) 2책으로 장정하여 기(奇)권에는 홀수층을, 우(偶)권에는 짝수층을 묶어서, 홀수층과 짝수층을 서로 잇대어 볼 수 있게 고안하였다. 고려대 도서관 소장 <청구도>는 현전하는 <청구도>류의 원고본으로 추정되며, 보물 제1594-(3)호(2009.04.22)로 지정되어 있다.더보기
지도 리스트지도 리스트40
목차청구도일 목차110
청구도일 – 23층11판청구도일 – 23층11판
고지도 컬렉션 정보고지도 컬렉션 정보
고려대학교 도서관 한적실
02841 서울 성북구 안암로 145 고려대학교 도서관
고지도 컬렉션

도서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고지도 중 학술적 가치와 희귀성이 높은 자료를 선별하여 디지털화한 고지도를 검색할 수 있습니다. 현재 40건 726면의 고지도 원문 이미지가 구축되어 있습니다.

교내외 로그인 없이 원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닫기
靑邱圖. 一
(청구도일)

고산자 김정호가 1834년에 완성한 필사본 지도책이다. "청구"는 우리나라의 별칭이므로, "청구도"라는 명칭은 "조선지도"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이전의 우리나라 지도는 전도를 제외하면 대부분 행정구역별로 구분한 도별도와 군현도가 대부분이었는데, 청구도는 우리나라 남북을 100리 간격으로 잘라 29층으로 만들고 동서를 70리 간격으로 끊어서 22판으로 만들었으니, 대략 16만분의 일에 해당하는 대축적지도인 셈이다. 지도책은 기·우(奇·偶) 2책으로 장정하여 기(奇)권에는 홀수층을, 우(偶)권에는 짝수층을 묶어서, 홀수층과 짝수층을 서로 잇대어 볼 수 있게 고안하였다. 고려대 도서관 소장 <청구도>는 현전하는 <청구도>류의 원고본으로 추정되며, 보물 제1594-(3)호(2009.04.22)로 지정되어 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