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대학교 도서관

고려대학교 도서관  고지도 컬렉션  |  朝鮮古分道地圖. 二 (조선고분도지도이)

뒤로가기
朝鮮古分道地圖. 二 (조선고분도지도이)
검색 취소
지도 리스트
도움말

고려대학교 도서관

다양한 고지도를
살펴보세요~!

다양한 고지도를 살펴보세요
지명색인

지도를 클릭하면
가까운 지명을 볼 수
있어요~!

지도를 클릭하면 가까운 지명을 볼 수 있어요
패널 숨기기
朝鮮古分道地圖. 二
조선고분도지도이, Chosungobundojido 2
작자
간사년
순조34(1834)
설명
필사본. 4첩. 김정호 작. 1834년(순조 34). 표지에 붉은 색으로 "조선고분도지도(朝鮮古分道地圖)"라고 명명되어 있으나, 실제로는 고산자 김정호의 4책본 <청구도(靑邱圖)>의 전사본이다. 주지하다시피 <대동여지도>의 전신에 해당하는 <청구도>는 모두 필사본이어서 목판본 <대동여지도>처럼 널리 보급되지는 못했으나, {대동지지}에 대한 자매편 지도의 성격을 가진 책이다. 전사자에 따라 2책 또는 4책으로 만들기도 했는데, 고려대 도서관 소장 <조선고분도지도>는 4책본 <청구도>의 대표적인 유물이다. 더보기
지명색인
검색취소
001. 가덕(加德)
002. 가동(可洞)
003. 가조(加助)
004. 가조(加助)
005. 각(角)
006. 간비도(干非島)
007. 갈포(乫浦)
008. 감동(甘冬)
009. 감물(甘勿)
010. 강여산(舡餘山)
011. 개운(開雲)
012. 거문산(巨文山)
013. 견내량(見乃梁)
014. 계명산(鷄鳴山)
015. 고(古)
016. 고내포(古內浦)
017. 고산(高山)
018. 고성(固城)
019. 고지(古智)
020. 고포진(孤浦津)
021. 곡자산(曲子山)
022. 곤지(坤地)
023. 관음암(觀音巖)
024. 광려산(匡廬山)
025. 광이(光二)
026. 광일(光一)
027. 괘방산(掛方山)
028. 구만(九萬)
029. 구봉(龜峯)
030. 구산(龜山)
031. 구산(龜山)
032. 구지봉(龜旨峯)
033. 구천포(九泉浦)
034. 구허(丘墟)
035. 굴현(掘峴)
036. 궁(弓)
037. 근주(近珠)
038. 금곡(金谷)
039. 금만산(金澫山)
040. 금정산성(金井山城)
041. 기비현(其比峴)
042. 기장(機張)
043. 기포(碁浦)
044. 김해(金海)
045. 낙락사(落落沙)
046. 남(南)
047. 남(南)
048. 남산(南山)
049. 남산(南山)
050. 남산(南山)
051. 남산(南山)
052. 남삼운(南三運)
053. 남이운(南二運)
054. 남일운(南一運)
055. 남촌(南村)
056. 노(露)
057. 노론덕(老論德)
058. 노현(露峴)
059. 녹(祿)
060. 농덕포(農德浦)
061. 능현(綾峴)
062. 다(茶)
063. 다달산(茶達山)
064. 다대(多大)
065. 다아리(多阿里)
066. 대고장(大庫壯)
067. 대곡(大谷)
068. 대광이(大光耳)
069. 대금산(大金山)
070. 대둔(大芚)
071. 대목(大木)
072. 대범의(大凡矣)
073. 대상동(大上同)
074. 대저도(大渚島)
075. 대주(大酒)
076. 대죽(大竹)
077. 대하(大鰕)
078. 대하동(大下同)
079. 덕(德)
080. 덕산(德山)
081. 도선(道先)
082. 도하운(道下運)
083. 동(東)
084. 동(東)
085. 동(東)
086. 동(東)
087. 동래(東莱)
088. 동백(冬栢)
089. 동산현(東山峴)
090. 동삼운(東三運)
091. 동성천(東城川)
092. 동읍내(東邑內)
093. 동이운(東二運)
094. 동일운(東一運)
095. 동지산(冬至山)
096. 동평(東平)
097. 두모포(豆毛浦)
098. 두배치(斗背峙)
099. 두척산(斗尺山)
100. 마(馬)
101. 마륜(馬輪)
102. 마산포(馬山浦)
103. 마암(馬巖)
104. 마현(馬峴)
105. 만산(萬山)
106. 망(望)
107. 망어(莽魚)
108. 망해대(望海臺)
109. 명월산(明月山)
110. 명지도(鳴旨島)
111. 모등(毛等)
112. 목(木)
113. 목(牧)
114. 목(牧)
115. 목우(牧牛)
116. 몰운대(沒雲臺)
117. 무송적(茂松迪)
118. 미산(眉山)
119. 반룡산(磐龍山)
120. 반산(磐山)
121. 배둔(背屯)
122. 배응현(裵應峴)
123. 백동(栢冬)
124. 백사(白沙)
125. 백산(栢山)
126. 백산(白山)
127. 백이산(伯夷山)
128. 벌(伐)
129. 범방대(泛舫臺)
130. 범어사(梵魚寺)
131. 법수산(法水山)
132. 변(邊)
133. 별천(別川)
134. 병곡(竝谷)
135. 봉림산(鳳林山)
136. 부(釜)
137. 부다(富多)
138. 부산(釜山)
139. 부악(父岳)
140. 부인산(夫人山)
141. 부철암(夫鐵巖)
142. 북(北)
143. 북(北)
144. 북곡(北谷)
145. 북일운(北一運)
146. 북현(北峴)
147. 분성(盆城)
148. 불모산(佛母山)
149. 불암(佛巖)
150. 비룡산(飛龍山)
151. 비산(飛山)
152. 비파(比巴)
153. 사두(巳頭)
154. 사배야현(沙背也峴)
155. 사의(蓑衣)
156. 사천(沙川)
157. 사천(絲川)
158. 산산(蒜山)
159. 산성(山城)
160. 산외(山外)
161. 산익(山翼)
162. 삼각산(三角山)
163. 삼랑봉(三浪峯)
164. 삼랑조(三浪漕)
165. 삼의강(三義江)
166. 상동(上東)
167. 상동(上東)
168. 상령(常令)
169. 상리(上里)
170. 상산(上山)
171. 상서(上西)
172. 상서(上西)
173. 상서(上西)
174. 생동산(生董山)
175. 서(西)
176. 서(西)
177. 서(西)
178. 서(西)
179. 서(鼠)
180. 서산(西山)
181. 서삼운(西三運)
182. 서이운(西二運)
183. 서일운(西一運)
184. 서평(西平)
185. 석동산(析桐山)
186. 석우암(石牛巖)
187. 석포(石浦)
188. 선두산(船頭山)
189. 선소(船所)
190. 선암산(仙巖山)
191. 선지(仙池)
192. 설(雪)
193. 성법(省法)
194. 성산(城山)
195. 성산(城山)
196. 성화야(省火也)
197. 성황산(城隍山)
198. 소고장(小庫壯)
199. 소광이(小光耳)
200. 소목(小木)
201. 소범의(小凡矣)
202. 소산(蘇山)
203. 소요저(所要渚)
204. 소주(小酒)
205. 소죽(小竹)
206. 소하(小鰕)
207. 손도진(孫渡津)
208. 송(松)
209. 송근(松斤)
210. 송도(松道)
211. 송현산(松峴山)
212. 수(水)
213. 승령사(丞令寺)
214. 승악산(勝岳山)
215. 시락(時落)
216. 시락포(時落浦)
217. 식산(食山)
218. 신교천(薪橋川)
219. 신문(新門)
220. 신어산(神魚山)
221. 신풍(新豊)
222. 아용(阿用)
223. 아이(阿爾)
224. 안골(安骨)
225. 안도(安道)
226. 안민(安民)
227. 안인(安仁)
228. 앵림산(鶯林山)
229. 앵산(鶯山)
230. 양산(梁山)
231. 양전(良田)
232. 어령(於嶺)
233. 어응적(於應赤)
234. 엄광산(嚴光山)
235. 여음포(余音浦)
236. 여항산(餘航山)
237. 연(椽)
238. 연(椽)
239. 연미(燕尾)
240. 염산(簾山)
241. 영미(永彌)
242. 영천(靈川)
243. 영초(迎草)
244. 오륙도(五六島)
245. 오해야항(吾海也項)
246. 오회정(五灰亭)
247. 옥림산(玉林山)
248. 옥지연(玉池淵)
249. 옥포(玉浦)
250. 온정(溫井)
251. 요암(腰巖)
252. 우(牛)
253. 우산(牛山)
254. 운봉산(雲峯山)
255. 웅(熊)
256. 웅산(熊山)
257. 웅암산(熊巖山)
258. 웅천(熊川)
259. 원문(轅門)
260. 월영대(月影臺)
261. 유등야(柳等也)
262. 유민산(流民山)
263. 윤산(輪山)
264. 윤산(輪山)
265. 율적(栗赤)
266. 율전현(栗田峴)
267. 율천(栗川)
268. 율현(栗峴)
269. 음지(陰地)
270. 응봉(鷹峯)
271. 의상대(義相臺)
272. 이길(爾吉)
273. 이물(利勿)
274. 잉촌(芿村)
275. 자암산(子巖山)
276. 자여(自如)
277. 장모(長帽)
278. 장목(長木)
279. 장무봉(壯無峯)
280. 장복산(長福山)
281. 저(楮)
282. 저(猪)
283. 적석산(積石山)
284. 적치(赤峙)
285. 적항(赤項)
286. 적항점산(赤項占山)
287. 전산(前山)
288. 절영(絶影)
289. 정암진(鼎巖津)
290. 제도(諸島)
291. 제포(薺浦)
292. 조(漕)
293. 조라포(助羅浦)
294. 좌이(佐耳)
295. 주림(朱林)
296. 주촌(酒村)
297. 죽(竹)
298. 죽(竹)
299. 죽(竹)
300. 죽(竹)
301. 죽(竹)
302. 중북(中北)
303. 증산(甑山)
304. 지(紙)
305. 지고(指高)
306. 진례(進禮)
307. 진해(鎭海)
308. 창원(昌原)
309. 천성(天城)
310. 천주산(天柱山)
311. 천치(天峙)
312. 철마산(鐵馬山)
313. 첨산(檐山)
314. 청량산(淸凉山)
315. 청룡산(靑龍山)
316. 청천(晴川)
317. 초량왜관(草梁倭館)
318. 초리(草理)
319. 초자(初赼)
320. 축(祝)
321. 춘곡(春谷)
322. 춘원(春元)
323. 취(鷲)
324. 취봉산(鷲峯山)
325. 취산(鷲山)
326. 칠산(七山)
327. 칠천(漆千)
328. 탄산(炭山)
329. 태산(太山)
330. 태산(太山)
331. 태산(胎山)
332. 태산진(太山津)
333. 태야(台也)
334. 태야강(台也江)
335. 파수(巴水)
336. 팔곡계(八谷溪)
337. 포덕산(飽德山)
338. 포도도(葡萄島)
339. 포이포(包伊浦)
340. 하계(下界)
341. 하동(下東)
342. 하동(下東)
343. 하백(河伯)
344. 하북(下北)
345. 하북(下北)
346. 하북(下北)
347. 하서(下西)
348. 하청(河淸)
349. 학천(鶴遷)
350. 함안(咸安)
351. 합포해(合浦海)
352. 해(海)
353. 해(海)
354. 해(海)
355. 해(海)
356. 해양강(海陽江)
357. 형효암(兄曉菴)
358. 혜락원(惠洛院)
359. 호(狐)
360. 호(虎)
361. 호천(狐川)
362. 화(花)
363. 화지산(花池山)
364. 화포(火浦)
365. 활천(活川)
366. 황령산(荒嶺山)
367. 황산(黃山)
368. 황산강(黃山江)
369. 회현(會賢)
370. 흑산(黑山)
371. 흥성사(興聖寺)
목차
전체화면
목차
지명색인
KOREA UNIVERSITY LIBRARY OLD MAP COLLECTION

지명색인도
확인해보세요~!

지명색인도 확인해보세요
KU 고지도 컬렉션
닫기
현재 지도 정보
지도명朝鮮古分道地圖. 二 (조선고분도지도이)
작자
간사년순조34(1834)
설명필사본. 4첩. 김정호 작. 1834년(순조 34). 표지에 붉은 색으로 "조선고분도지도(朝鮮古分道地圖)"라고 명명되어 있으나, 실제로는 고산자 김정호의 4책본 <청구도(靑邱圖)>의 전사본이다. 주지하다시피 <대동여지도>의 전신에 해당하는 <청구도>는 모두 필사본이어서 목판본 <대동여지도>처럼 널리 보급되지는 못했으나, {대동지지}에 대한 자매편 지도의 성격을 가진 책이다. 전사자에 따라 2책 또는 4책으로 만들기도 했는데, 고려대 도서관 소장 <조선고분도지도>는 4책본 <청구도>의 대표적인 유물이다. 더보기
지도 리스트지도 리스트40
목차조선고분도지도이 목차23
조선고분도지도이조선고분도지도이
고지도 컬렉션 정보고지도 컬렉션 정보
고려대학교 도서관 한적실
02841 서울 성북구 안암로 145 고려대학교 도서관
고지도 컬렉션

도서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고지도 중 학술적 가치와 희귀성이 높은 자료를 선별하여 디지털화한 고지도를 검색할 수 있습니다. 현재 40건 726면의 고지도 원문 이미지가 구축되어 있습니다.

교내외 로그인 없이 원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닫기
朝鮮古分道地圖. 二
(조선고분도지도이)

필사본. 4첩. 김정호 작. 1834년(순조 34). 표지에 붉은 색으로 "조선고분도지도(朝鮮古分道地圖)"라고 명명되어 있으나, 실제로는 고산자 김정호의 4책본 <청구도(靑邱圖)>의 전사본이다. 주지하다시피 <대동여지도>의 전신에 해당하는 <청구도>는 모두 필사본이어서 목판본 <대동여지도>처럼 널리 보급되지는 못했으나, {대동지지}에 대한 자매편 지도의 성격을 가진 책이다. 전사자에 따라 2책 또는 4책으로 만들기도 했는데, 고려대 도서관 소장 <조선고분도지도>는 4책본 <청구도>의 대표적인 유물이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