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대학교 도서관

고려대학교 도서관  고지도 컬렉션  |  朝鮮地圖 (조선지도) – 평안북도

뒤로가기
朝鮮地圖 (조선지도)
검색 취소
지도 리스트
도움말

고려대학교 도서관

다양한 고지도를
살펴보세요~!

다양한 고지도를 살펴보세요
지명색인

지도를 클릭하면
가까운 지명을 볼 수
있어요~!

지도를 클릭하면 가까운 지명을 볼 수 있어요
패널 숨기기
朝鮮地圖
– 평안북도
조선지도, Chosunjido
간사자
김재선 성첩
간사년
광무2(1898)
설명
목판본. 1첩(18매). 김재선 성첩. 현채(玄采)가 일본인들이 간행한 각종 조선관련 지리지등을 참고하여 번역 편집한 국한문혼용체의 지리 교과서인 "대한지지(1899)"에 삽입된 도판 자료만을 뜯어내서 <조선지도>라는 이름의 지도첩으로 성첩한 것이다. 첩으로 제작한 사람은 김재선으로 그는 일제강점기 문화재 위조범의 혐의를 받고있는 인물이다. 이 지도첩의 말미에 자필로 고인의 정신적 유산을 보전하기 위해 3차례나 방문하여 지도를 얻어 이 지도첩을 만들었다고 역설하면서도 현채의 발문에서 이름 부분은 제거하여 지도 자료의 원출전이 대한지지임을 숨기고 있다. 더보기
지명색인
검색취소
001. 가도(椵島)
002. 가라동(加羅洞)
003. 가사동(家舍洞)
004. 가산(嘉山)
005. 가상덕(加上德)
006. 간령동(間嶺洞)
007. 갈헌(乫軒)
008. 강계(江界)
009. 개야지동(介也之洞)
010. 개천(价川)
011. 거리령(巨里嶺)
012. 거문빙애(巨門氷厓)
013. 거시항동(拒柴項洞)
014. 건천(乾川)
015. 고도수동(古道水洞)
016. 고려연(古閭延)
017. 고무창(古茂昌)
018. 고산리(高山里)
019. 고성(古城)
020. 고우예(古虞芮)
021. 고운산(古雲山)
022. 고진강(古津江)
023. 공귀산(公貴山)
024. 곽산(郭山)
025. 관적강(串赤江)
026. 광림산(廣林山)
027. 광평(廣坪)
028. 괘인령(掛印嶺)
029. 구계령(九階嶺)
030. 구련성(九連城)
031. 구령(仇寧)
032. 구인령(蚯蚓嶺)
033. 구현(狗峴)
034. 권토산(權土山)
035. 귀성(龜城)
036. 귀후덕령(歸厚德嶺)
037. 나리천(那里川)
038. 나발령(羅發嶺)
039. 낭림산(浪林山)
040. 내강(內江)
041. 노강(老江)
042. 노탄(蘆灘)
043. 달각산(達覺山)
044. 대교강(大橋江)
045. 대길(大吉)
046. 대석령(大石嶺)
047. 대소가차(大小加次)
048. 대소록(大小鹿)
049. 대소문박(大小門朴)
050. 대소방령(大小防嶺)
051. 대소화(大小和)
052. 대소횡건(大小橫巾)
053. 대암천(大巖川)
054. 대우(大牛)
055. 대정강(大定江)
056. 대죽암동(大竹巖洞)
057. 대지(大池)
058. 대청교동(大淸交洞)
059. 대청금동(大淸金洞)
060. 대파(大坡)
061. 도장령(道場嶺)
062. 독로강(禿魯江)
063. 독산(獨山)
064. 동강(東江)
065. 동림(東林)
066. 동무령(東茂嶺)
067. 두융천(杜戎川)
068. 마이산(馬耳山)
069. 마전령(麻田嶺)
070. 마천(馬川)
071. 마해(馬海)
072. 마해류방(馬海留防)
073. 막령(幕嶺)
074. 만포(滿浦)
075. 모대(毛大)
076. 묘동(廟洞)
077. 묘향산(妙香山)
078. 무성령(茂盛嶺)
079. 문수동(文水洞)
080. 문암동(門岩洞)
081. 물이산(勿移山)
082. 미곶(彌串)
083. 박천(博川)
084. 방산(方山)
085. 백벽산(白碧山)
086. 백산(白山)
087. 백수동(白水洞)
088. 백파령(栢坡嶺)
089. 벌등(伐登)
090. 벌초령(伐草嶺)
091. 벽단(碧團)
092. 벽동(碧潼)
093. 별하천(別河川)
094. 별하천(別河川)
095. 보광산(普光山)
096. 보산(甫山)
097. 북강(北江)
098. 북경로(北京路)
099. 북수동(北水洞)
100. 사랑령(舍郞嶺)
101. 사자(獅子)
102. 사향령(射香嶺)
103. 삭주(朔州)
104. 산양회(山羊會)
105. 삼강(三江)
106. 삼봉산(三峯山)
107. 상원(桑院)
108. 상장(上長)
109. 상토(上土)
110. 상토(上土)
111. 서림(西林)
112. 서양산(西陽山)
113. 서천(西川)
114. 서해평(西海坪)
115. 선천(宣川)
116. 설한산(雪寒山)
117. 성동(城洞)
118. 성인동(聖人洞)
119. 성창천(城倉川)
120. 소길(小吉)
121. 소백산(小白山)
122. 소암천(小巖川)
123. 소청교동(小淸交洞)
124. 소청금동(小淸金洞)
125. 소파아(小坡兒)
126. 송골산(松鶻山)
127. 수구(水口)
128. 순(鶉)
129. 숭적산(崇積山)
130. 시천(時川)
131. 식송(植松)
132. 신광(神光)
133. 신광천(神光川)
134. 신도(新島)
135. 신로현(新路峴)
136. 신미(身彌)
137. 신전덕(薪田德)
138. 십만령(十萬嶺)
139. 아이(阿耳)
140. 안주(安州)
141. 알일령(戞日嶺)
142. 압록강(鴨綠江)
143. 애(艾)
144. 야토리(野土里)
145. 약산(藥山)
146. 양(楊)
147. 양강(兩江)
148. 양명(陽明)
149. 양하(楊下)
150. 어목리령(於目里嶺)
151. 어의(御義)
152. 어정(於丁)
153. 업산(業山)
154. 여진포(如嗔浦)
155. 연(鷰)
156. 연명령(淵明嶺)
157. 연평(淵坪)
158. 영동(盈洞)
159. 영변(寧邊)
160. 영원(寧遠)
161. 영원(寧遠)
162. 오가산(五家山)
163. 오가천(吾家川)
164. 오로(吾老)
165. 오만령(五萬嶺)
166. 옥강(玉江)
167. 옥류천(玉流泉)
168. 온정천(溫井川)
169. 온천(溫泉)
170. 완항령(緩項嶺)
171. 용골산(龍骨山)
172. 용도(龍島)
173. 용림(龍林)
174. 용연천(龍淵川)
175. 용천(龍川)
176. 우항령(牛項嶺)
177. 우현(牛峴)
178. 운대산(雲臺山)
179. 운두(雲頭)
180. 운두산(雲豆山)
181. 운산(雲山)
182. 운석(雲石)
183. 웅골산(熊骨山)
184. 월로(月老)
185. 월림강(月林江)
186. 월은정령(月隱井嶺)
187. 위곡(委曲)
188. 위도(韋島)
189. 의주(義州)
190. 이령(利嶺)
191. 이파(利坡)
192. 이파령(梨坡嶺)
193. 인산(麟山)
194. 임토(林土)
195. 임해(臨海)
196. 자당산(慈堂山)
197. 자리(者里)
198. 자성(慈城)
199. 자성강(慈城江)
200. 장동(長洞)
201. 장진(長津)
202. 저(猪)
203. 적유령(狄踰嶺)
204. 적유천(狄踰川)
205. 전천(箭川)
206. 전천산(箭川山)
207. 점진강(占津江)
208. 접(蝶)
209. 접전령(接戰嶺)
210. 정주(定州)
211. 종포(從浦)
212. 종포류방(從浦留防)
213. 주애평(朱厓坪)
214. 죽전령(竹田嶺)
215. 죽전류방(竹田留防)
216. 죽전천(竹田川)
217. 중강령(中江嶺)
218. 중강천(中江川)
219. 지(池)
220. 지(池)
221. 지채(持寨)
222. 직동(直洞)
223. 진두강(津頭江)
224. 진목성(眞木城)
225. 진해곶(鎭海串)
226. 차도(車島)
227. 차령(車嶺)
228. 차우(車牛)
229. 창(倉)
230. 창성(昌城)
231. 창주(昌洲)
232. 천리편(千里鞭)
233. 천마(天磨)
234. 천천(泉川)
235. 철산(鐵山)
236. 청룡산(靑龍山)
237. 청성(淸城)
238. 청수(靑水)
239. 청원(淸原)
240. 청천강(淸川江)
241. 청철동(淸鐵洞)
242. 초산(楚山)
243. 총전령(蔥田嶺)
244. 추구비(秋九非)
245. 추령(楸嶺)
246. 추파(楸坡)
247. 충천령(沖天嶺)
248. 탄(炭)
249. 태백산(太白山)
250. 태일(泰日)
251. 태천(泰川)
252. 택(澤)
253. 파저강(婆猪江)
254. 판내동(板乃洞)
255. 평남(平南)
256. 평야(平野)
257. 평전령(平田嶺)
258. 하산령(河山嶺)
259. 한탄(韓灘)
260. 형제천(兄弟川)
261. 형제천(兄弟川)
262. 호령(狐嶺)
263. 호미령(好未嶺)
264. 호예령(胡芮嶺)
265. 화통령(火通嶺)
266. 황묘(皇墓)
267. 황성(皇城)
268. 황청령(黃靑嶺)
269. 회덕령(回德嶺)
270. 회암(晦巖)
271. 후주강(厚州江)
272. 후창(厚昌)
273. 희천(熙川)
목차
전체화면
목차
지명색인
KOREA UNIVERSITY LIBRARY OLD MAP COLLECTION

지명색인도
확인해보세요~!

지명색인도 확인해보세요
KU 고지도 컬렉션
닫기
현재 지도 정보
지도명朝鮮地圖 (조선지도) – 평안북도
간사자김재선 성첩
간사년광무2(1898)
설명목판본. 1첩(18매). 김재선 성첩. 현채(玄采)가 일본인들이 간행한 각종 조선관련 지리지등을 참고하여 번역 편집한 국한문혼용체의 지리 교과서인 "대한지지(1899)"에 삽입된 도판 자료만을 뜯어내서 <조선지도>라는 이름의 지도첩으로 성첩한 것이다. 첩으로 제작한 사람은 김재선으로 그는 일제강점기 문화재 위조범의 혐의를 받고있는 인물이다. 이 지도첩의 말미에 자필로 고인의 정신적 유산을 보전하기 위해 3차례나 방문하여 지도를 얻어 이 지도첩을 만들었다고 역설하면서도 현채의 발문에서 이름 부분은 제거하여 지도 자료의 원출전이 대한지지임을 숨기고 있다. 더보기
지도 리스트지도 리스트40
목차조선지도 목차23
조선지도 – 평안북도조선지도 – 평안북도
고지도 컬렉션 정보고지도 컬렉션 정보
고려대학교 도서관 한적실
02841 서울 성북구 안암로 145 고려대학교 도서관
고지도 컬렉션

도서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고지도 중 학술적 가치와 희귀성이 높은 자료를 선별하여 디지털화한 고지도를 검색할 수 있습니다. 현재 40건 726면의 고지도 원문 이미지가 구축되어 있습니다.

교내외 로그인 없이 원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닫기
朝鮮地圖
(조선지도)

목판본. 1첩(18매). 김재선 성첩. 현채(玄采)가 일본인들이 간행한 각종 조선관련 지리지등을 참고하여 번역 편집한 국한문혼용체의 지리 교과서인 "대한지지(1899)"에 삽입된 도판 자료만을 뜯어내서 <조선지도>라는 이름의 지도첩으로 성첩한 것이다. 첩으로 제작한 사람은 김재선으로 그는 일제강점기 문화재 위조범의 혐의를 받고있는 인물이다. 이 지도첩의 말미에 자필로 고인의 정신적 유산을 보전하기 위해 3차례나 방문하여 지도를 얻어 이 지도첩을 만들었다고 역설하면서도 현채의 발문에서 이름 부분은 제거하여 지도 자료의 원출전이 대한지지임을 숨기고 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