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대학교 도서관

고려대학교 도서관  고지도 컬렉션  |  大朝鮮國全圖 (대조선국전도) – 한양경성도

뒤로가기
大朝鮮國全圖 (대조선국전도)
검색 취소
지도 리스트
도움말

고려대학교 도서관

다양한 고지도를
살펴보세요~!

다양한 고지도를 살펴보세요
지명색인

지도를 클릭하면
가까운 지명을 볼 수
있어요~!

지도를 클릭하면 가까운 지명을 볼 수 있어요
패널 숨기기
大朝鮮國全圖
– 한양경성도
대조선국전도, Daechosunguk
간사자
간사자미상
간사년
고종32(1895)
설명
목판본. 1책(11장). 작자 미상. 1장은 대조선국전도, 2장은 한양경성도, 3장은경성부근지도, 4장부터는 경기도, 강원도, 황해도, 평안도, 충청도, 전라도, 경상도, 함경도 순으로 편철되어 있다. 기재내용을 보면 군명(郡名) ·산 ·영(嶺) ·강 ·군계(郡界) 등을 표시하고, 특히서울과 각 군과의 거리를 리(里) 수로 표기하고 있어 전국의 거리를 이해할 수가있다. 비교적 정밀하게 작성되었으며, 제작연대는 <한양경성도> 부분에 미국 공사관(1883년), 영국 공사관(1884년), 러시아 공사관(1885년), 프랑스 공사관(1889년), 독일 영사관(1891년)이 모두 표기되어 있으므로 1891년 이후이며, 대학원 소장본 앞표지 하단에 남아 있는 원소장자의 수증기(受贈記)에 "乙未[1895]春 芭溪所送"으로 되어 있으므로, 하한년 기준 1895(高宗 32)년으로 추정한다.더보기
지명색인
검색취소
001. 가회방(嘉會坊)
002. 건덕방(建德坊)
003. 건천동(乾川洞)
004. 경모궁(景慕宮)
005. 경복궁(景福宮)
006. 경행방(慶幸坊)
007. 경희궁(慶熙宮)
008. 관인방(寬仁坊)
009. 광통방(廣通坊)
010. 광화문(光化門)
011. 광화방(廣化坊)
012. 광희문(光凞門)
013. 교동(校洞)
014. 교서동(校書洞)
015. 구덕령사(舊德領事)
016. 구일본공사관(舊日本公使館)
017. 군기교(軍器橋)
018. 낙동(駱洞)
019. 낙선방(樂善坊)
020. 난동(蘭洞)
021. 남별궁(南別宮)
022. 남별영(南別營)
023. 남부(南部)
024. 남소문동(南小門洞)
025. 남소영(南小營)
026. 냉동(冷洞)
027. 다동(茶洞)
028. 대광교(大廣橋)
029. 대사동(大寺洞)
030. 대정동(大貞洞)
031. 돈의문(敦義門)
032. 동묘(東廟)
033. 동부(東部)
034. 동학동(東學洞)
035. 마군생교(馬軍生橋)
036. 만리현(萬里峴)
037. 맹현(孟峴)
038. 명례방(明禮坊)
039. 명철방(明哲坊)
040. 모교(毛橋)
041. 모화관(慕華館)
042. 무계동(茂溪洞)
043. 무침교(無沉橋)
044. 묵동(墨洞)
045. 문묘(文廟)
046. 미공서(米公署)
047. 미동(美洞)
048. 박동(薄洞)
049. 반석방(盤石坊)
050. 반송방(盤松坊)
051. 백악(白岳)
052. 백운동(白雲洞)
053. 백자동(柏子洞)
054. 법공서(法公署)
055. 본영(本營)
056. 봉대오소(烽臺五所)
057. 북동(北洞)
058. 북부(北部)
059. 사직(社稷)
060. 삼청동(三淸洞)
061. 생민동(生民洞)
062. 서린방(瑞麟坊)
063. 서부(西部)
064. 선희궁(宣禧宮)
065. 성명방(誠明坊)
066. 성북동(城北洞)
067. 소광교(小廣橋)
068. 소의문(昭義門)
069. 소정동(小貞洞)
070. 송기교(松杞橋)
071. 송첨교(松簷橋)
072. 수교(水橋)
073. 수동(壽洞)
074. 수진방(壽進坊)
075. 수표교(水標橋)
076. 숙정문(肅靖門)
077. 순동(巡洞)
078. 순화방(順化坊)
079. 숭교방(崇敎坊)
080. 숭례문(崇禮門)
081. 숭신방(崇信坊)
082. 신교(新橋)
083. 신무문(神武門)
084. 신창동(新倉洞)
085. 신흥사(新興寺)
086. 쌍리문동(雙里門洞)
087. 아공서(俄公署)
088. 안국방(安國坊)
089. 안암동(安巖洞)
090. 야동(冶洞)
091. 야조현(夜照峴)
092. 약현(藥峴)
093. 양덕방(陽德坊)
094. 양생방(養生坊)
095. 어의동(於議洞)
096. 여경방(餘慶坊)
097. 연동(蓮洞)
098. 연화방(蓮花坊)
099. 영미동(永美洞)
100. 영영사(英領事)
101. 영은문(迎恩門)
102. 오간수(五間水)
103. 오류동(五流洞)
104. 왕전(王田)
105. 왜관동(倭館洞)
106. 유동(鍮洞)
107. 율동(栗洞)
108. 응봉(鷹峯)
109. 의통방(義通坊)
110. 이간수문(二間水門)
111. 이교(二橋)
112. 이교(圯橋)
113. 이동(泥洞)
114. 이문동(里門洞)
115. 이사(尼舍)
116. 이합(尼合)
117. 이현(泥峴)
118. 이현(梨峴)
119. 인건방(仁建坊)
120. 인창방(仁昌坊)
121. 일본공사관(日本公使館)
122. 장경교(長慶橋)
123. 장통교(長通橋)
124. 장통방(長通坊)
125. 장흥동(長興洞)
126. 재동(齋洞)
127. 저경궁(儲慶宮)
128. 저동(苧洞)
129. 저동(苧洞)
130. 적선방(積善坊)
131. 전동(典洞)
132. 정선방(貞善坊)
133. 종(鐘)
134. 주동(鑄洞)
135. 죽동(竹洞)
136. 준수방(俊秀坊)
137. 중부(中部)
138. 중학교(中學橋)
139. 진장방(鎭長坊)
140. 징청방(澄淸坊)
141. 차동(車洞)
142. 창경궁(昌慶宮)
143. 창덕궁(昌德宮)
144. 창동(倉洞)
145. 창의궁(彰義宮)
146. 창의문(彰義門)
147. 천연정(天然亭)
148. 철물교(鐵物敎)
149. 청공서(淸公署)
150. 청교(靑橋)
151. 청전국(淸電局)
152. 초교(初橋)
153. 초동(草洞)
154. 초청교(初靑橋)
155. 추유현(秋踰峴)
156. 치락산(馳駱山)
157. 태묘(太廟)
158. 태평방(太平坊)
159. 파자교(杷子橋)
160. 평동(平洞)
161. 필동(筆洞)
162. 필운방(弼雲坊)
163. 하도감(下都監)
164. 하랑교(河浪橋)
165. 한동(翰洞)
166. 한북문(漢北門)
167. 함춘원(含春苑)
168. 합동(蛤洞)
169. 혜정교(惠政橋)
170. 혜화문(惠化門)
171. 호동(壺洞)
172. 홍제원(弘濟院)
173. 황교(黃橋)
174. 회현방(會賢坊)
175. 효경교(孝經橋)
176. 훈도방(薰陶坊)
177. 흥덕동(興德洞)
178. 흥인지문(興仁之門)
179. 흥화문(興化門)
목차
전체화면
목차
지명색인
KOREA UNIVERSITY LIBRARY OLD MAP COLLECTION

지명색인도
확인해보세요~!

지명색인도 확인해보세요
KU 고지도 컬렉션
닫기
현재 지도 정보
지도명大朝鮮國全圖 (대조선국전도) – 한양경성도
간사자간사자미상
간사년고종32(1895)
설명목판본. 1책(11장). 작자 미상. 1장은 대조선국전도, 2장은 한양경성도, 3장은경성부근지도, 4장부터는 경기도, 강원도, 황해도, 평안도, 충청도, 전라도, 경상도, 함경도 순으로 편철되어 있다. 기재내용을 보면 군명(郡名) ·산 ·영(嶺) ·강 ·군계(郡界) 등을 표시하고, 특히서울과 각 군과의 거리를 리(里) 수로 표기하고 있어 전국의 거리를 이해할 수가있다. 비교적 정밀하게 작성되었으며, 제작연대는 <한양경성도> 부분에 미국 공사관(1883년), 영국 공사관(1884년), 러시아 공사관(1885년), 프랑스 공사관(1889년), 독일 영사관(1891년)이 모두 표기되어 있으므로 1891년 이후이며, 대학원 소장본 앞표지 하단에 남아 있는 원소장자의 수증기(受贈記)에 "乙未[1895]春 芭溪所送"으로 되어 있으므로, 하한년 기준 1895(高宗 32)년으로 추정한다.더보기
지도 리스트지도 리스트40
목차대조선국전도 목차20
대조선국전도 – 한양경성도대조선국전도 – 한양경성도
고지도 컬렉션 정보고지도 컬렉션 정보
고려대학교 도서관 한적실
02841 서울 성북구 안암로 145 고려대학교 도서관
고지도 컬렉션

도서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고지도 중 학술적 가치와 희귀성이 높은 자료를 선별하여 디지털화한 고지도를 검색할 수 있습니다. 현재 40건 726면의 고지도 원문 이미지가 구축되어 있습니다.

교내외 로그인 없이 원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닫기
大朝鮮國全圖
(대조선국전도)

목판본. 1책(11장). 작자 미상. 1장은 대조선국전도, 2장은 한양경성도, 3장은경성부근지도, 4장부터는 경기도, 강원도, 황해도, 평안도, 충청도, 전라도, 경상도, 함경도 순으로 편철되어 있다. 기재내용을 보면 군명(郡名) ·산 ·영(嶺) ·강 ·군계(郡界) 등을 표시하고, 특히서울과 각 군과의 거리를 리(里) 수로 표기하고 있어 전국의 거리를 이해할 수가있다. 비교적 정밀하게 작성되었으며, 제작연대는 <한양경성도> 부분에 미국 공사관(1883년), 영국 공사관(1884년), 러시아 공사관(1885년), 프랑스 공사관(1889년), 독일 영사관(1891년)이 모두 표기되어 있으므로 1891년 이후이며, 대학원 소장본 앞표지 하단에 남아 있는 원소장자의 수증기(受贈記)에 "乙未[1895]春 芭溪所送"으로 되어 있으므로, 하한년 기준 1895(高宗 32)년으로 추정한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