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대학교 도서관

고려대학교 도서관  고지도 컬렉션  |  海東圖 (해동도 부일본)

뒤로가기
海東圖 (해동도 부일본)
검색 취소
지도 리스트
도움말

고려대학교 도서관

다양한 고지도를
살펴보세요~!

다양한 고지도를 살펴보세요
지명색인

지도를 클릭하면
가까운 지명을 볼 수
있어요~!

지도를 클릭하면 가까운 지명을 볼 수 있어요
패널 숨기기
海東圖
해동도 부일본, Haedongdo
간사자
간사자미상
간사년
정조년간
설명
필사본. 1첩(2매). 조선 전기(1463) 정척 양성지의 <동국지도>와 흡사한 한반도 윤곽을 갖추고 있는 지도로, 관서와 관북 지방이 상대적으로 축소되고 왜곡되어 있는 것이 특징인 채색 전도이다. 지도의 제작 연대는 황해도 강음(江陰)과 우봉(牛峰)이 합쳐서 신설된 금천(金川)이 있으므로 효종 3년(1652) 이후이고, 백두산 정계비가 없으므로 숙종 38년(1712) 이전이다. 대비할만한 지도로는 규장각 소장의 1683년 제작 추정의 <팔도총도>와 거의 같은 형태인데, <해동도>는 이보다 약 20년 가량 뒤에 필사된 것으로 보인다. 더보기
지명색인
검색취소
001. 가하(加賀)
002. 갑비문(甲非文)
003. 강호(江戶)
004. 견(見)
005. 광(廣)
006. 국도(國都)
007. 근강(近江)
008. 금(錦)
009. 기내도(畿內道)
010. 기이(紀伊)
011. 남해도(南海道)
012. 능등(能登)
013. 다미(多彌)
014. 단마(但馬)
015. 단파(丹波)
016. 단후(丹後)
017. 담로(淡路)
018. 당자(當資)
019. 대(大)
020. 대견(대見)
021. 대마(對馬)
022. 대우(大隅)
023. 대판(大板)
024. 동산(仝山)
025. 동산도(東山道)
026. 동해도(東海道)
027. 람(藍)
028. 랑삼(郞三)
029. 래량(來良)
030. 록(鹿)
031. 륭마(蕯摩)
032. 무장(武臧)
033. 미농(美濃)
034. 미작(美作)
035. 미장(尾張)
036. 백노일(伯老日)
037. 부토산(富土山)
038. 북해도(北海道)
039. 비전(備前)
040. 비전(肥前)
041. 비중(備中)
042. 비탄(飛彈)
043. 비후(備後)
044. 비후(肥後)
045. 산성(山城)
046. 산양도(山陽道)
047. 산음도(山陰道)
048. 삼(三)
049. 삼하(三河)
050. 상릉(常陵)
051. 상모(相模)
052. 상상(上上)
053. 상야(上野)
054. 상총(上總)
055. 서해도(西海道)
056. 석견(石見)
057. 섭진(攝津)
058. 신농(信濃)
059. 아파(阿波)
060. 안(鴈)
061. 안방(安房)
062. 안예(安藝)
063. 애탕산(愛宕山)
064. 약협(若狹)
065. 열전산(熱田山)
066. 오(五)
067. 옹(甕)
068. 웅야산(熊野山)
069. 원(猿)
070. 원강(遠江)
071. 월전(越前)
072. 월중(越中)
073. 월후(越後)
074. 육(六)
075. 육월(陸粤)
076. 음기(陰岐)
077. 이두(伊豆)
078. 이세(伊勢)
079. 이예(伊豫)
080. 이하(伊賀)
081. 인파(因播)
082. 일기(壹岐)
083. 일소(一艘)
084. 일향(日向)
085. 장문(長門)
086. 전(畑)
087. 좌도(佐渡)
088. 주방(周防)
089. 죽(竹)
090. 준하(駿河)
091. 증(甑)
092. 지마(志摩)
093. 질(蛭)
094. 찬기(讚岐)
095. 축전(筑前)
096. 축후(筑後)
097. 출우(出羽)
098. 출운(出雲)
099. 칠(七)
100. 태화(太和)
101. 토좌(土佐)
102. 파마(播摩)
103. 팔장(八丈)
104. 평호(平戶)
105. 풍전(豊前)
106. 풍후(豊後)
107. 하내(河內)
108. 하야(下野)
109. 하이도(蝦蛦島)
110. 하이지(蝦蛦地)
111. 하총(下總)
112. 화천(和泉)
113. 흥소(興小)
목차
전체화면
목차
지명색인
KOREA UNIVERSITY LIBRARY OLD MAP COLLECTION

지명색인도
확인해보세요~!

지명색인도 확인해보세요
KU 고지도 컬렉션
닫기
현재 지도 정보
지도명海東圖 (해동도 부일본)
간사자간사자미상
간사년정조년간
설명필사본. 1첩(2매). 조선 전기(1463) 정척 양성지의 <동국지도>와 흡사한 한반도 윤곽을 갖추고 있는 지도로, 관서와 관북 지방이 상대적으로 축소되고 왜곡되어 있는 것이 특징인 채색 전도이다. 지도의 제작 연대는 황해도 강음(江陰)과 우봉(牛峰)이 합쳐서 신설된 금천(金川)이 있으므로 효종 3년(1652) 이후이고, 백두산 정계비가 없으므로 숙종 38년(1712) 이전이다. 대비할만한 지도로는 규장각 소장의 1683년 제작 추정의 <팔도총도>와 거의 같은 형태인데, <해동도>는 이보다 약 20년 가량 뒤에 필사된 것으로 보인다. 더보기
지도 리스트지도 리스트40
목차해동도 부일본 목차5
해동도 부일본해동도 부일본
고지도 컬렉션 정보고지도 컬렉션 정보
고려대학교 도서관 한적실
02841 서울 성북구 안암로 145 고려대학교 도서관
고지도 컬렉션

도서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고지도 중 학술적 가치와 희귀성이 높은 자료를 선별하여 디지털화한 고지도를 검색할 수 있습니다. 현재 40건 726면의 고지도 원문 이미지가 구축되어 있습니다.

교내외 로그인 없이 원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닫기
海東圖
(해동도 부일본)

필사본. 1첩(2매). 조선 전기(1463) 정척 양성지의 <동국지도>와 흡사한 한반도 윤곽을 갖추고 있는 지도로, 관서와 관북 지방이 상대적으로 축소되고 왜곡되어 있는 것이 특징인 채색 전도이다. 지도의 제작 연대는 황해도 강음(江陰)과 우봉(牛峰)이 합쳐서 신설된 금천(金川)이 있으므로 효종 3년(1652) 이후이고, 백두산 정계비가 없으므로 숙종 38년(1712) 이전이다. 대비할만한 지도로는 규장각 소장의 1683년 제작 추정의 <팔도총도>와 거의 같은 형태인데, <해동도>는 이보다 약 20년 가량 뒤에 필사된 것으로 보인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