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대학교 도서관

고려대학교 도서관  고지도 컬렉션  |  地圖. 三 (지도삼) – 함경남도

뒤로가기
地圖. 三 (지도삼)
검색 취소
지도 리스트
도움말

고려대학교 도서관

다양한 고지도를
살펴보세요~!

다양한 고지도를 살펴보세요
지명색인

지도를 클릭하면
가까운 지명을 볼 수
있어요~!

지도를 클릭하면 가까운 지명을 볼 수 있어요
패널 숨기기
地圖. 三
– 함경남도
지도삼, Jido 3
간사자
간사자미상
간사년
고종21(1884)
설명
조선 말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회화식 군현지도첩이다. 총 4첩으로 구성되어 있고, 책표지에는 “지도(地圖)”로 제첨이 붙어 있다. 전체 체계는 1.도리표, 2.도별전도, 3.소속 군현의 개별도의 순서이며, 지도의 여백에 각 도와 군현의 인구, 재정곡, 경지면적, 사방경계, 성곽, 창, 면의 이름과 위치에 관한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군현도의 경우 방안식 지도로 작성되어 있다. 제 1첩에 첫머리에는 전 세계를 축적에 근거해서 동서반구로 나누어 그린 서양식 지도인 목판본 <지구전도(地球全圖)>를 부착하였고, 하단에 ?지구도해(地球圖解)?와 ?지구론(地球論)?을 베껴 놓았으며, 그 외에도 지구가 태양을 도는 모양을 도해한 <지구환일도(地毬?日圖)>와 지구 공전에 의해 계절이 바뀌는 것을 도해한 <지구환일성세서도(地毬?日成歲序圖>와 연활자로 인쇄된 설명문을 부착하였다는 점이 특징이다. <지구전도>는 1883년(고종 20) 10월 1일자 『한성순보(漢城旬報)』 창간호에 부록되어 있는 것이고, <지구환일도>는 1884년 1월 30일자 제10호에 부록되어 있는 것이며, <지구환일성세서도>는 1884년 2월 17일자 제12호에 부록되어 있는 것을 지도첩에 옮겨서 장정한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이 지도첩의 작성 시기는 1884년(고종 21)으로 추정할 수 있겠다. 더보기
지명색인
검색취소
001. 가막동(加莫洞)
002. 가이봉(加伊峯)
003. 갈파지(乫波知)
004. 감장별로(甘長別路)
005. 갑산(甲山)
006. 갑산계(甲山界)
007. 강계동(江界洞)
008. 강계지(江界地)
009. 강구(江口)
010. 거모령(巨毛嶺)
011. 거산(居山)
012. 거산도(居山道)
013. 거차리령(巨次里嶺)
014. 검의덕(儉義德)
015. 검천(劍川)
016. 고무창(古戊昌)
017. 고산도(高山道)
018. 고산참(高山站)
019. 고원(高原)
020. 고후주진(古厚州鎭)
021. 곡구(谷口)
022. 관남령(串南嶺)
023. 관어시(官於屎)
024. 광성령(光城嶺)
025. 광포(廣浦)
026. 구갈파지(舊乫波知)
027. 구룡산(九龍山)
028. 국도(國島)
029. 국태산(國泰山)
030. 귀경대(龜景臺)
031. 금강진(金江津)
032. 금창령(金昌寧)
033. 기린산(麒麟山)
034. 기천창(岐川倉)
035. 나완(羅緩)
036. 낙림산(樂林山)
037. 남산(南山)
038. 노치(老峙)
039. 농덕(籠德)
040. 단천(端川)
041. 대문령(大門嶺)
042. 대야치(大也峙)
043. 대지(大池)
044. 덕릉(德陵)
045. 덕산(德山)
046. 덕원(德源)
047. 덕지탄(德之灘)
048. 도성산(道城山)
049. 도안산(道安山)
050. 도진령(道眞嶺)
051. 동인(同仁)
052. 두류산(豆流山)
053. 두리산(豆里山)
054. 두무산(頭無山)
055. 두미령(頭尾嶺)
056. 마곡(麻谷)
057. 마등령(馬騰嶺)
058. 마등령(馬騰嶺)
059. 마식령(馬息嶺)
060. 마운령(麻雲嶺)
061. 마웅도(馬熊島)
062. 마유(馬踰)
063. 마유령(馬踰嶺)
064. 마유령(馬踰嶺)
065. 마천령(麻天嶺)
066. 만리고(萬里庫)
067. 만세교(萬歲橋)
068. 묘파(廟波)
069. 문천(文川)
070. 박달치(朴達峙)
071. 반룡산(盤龍山)
072. 방색치(防嗇峙)
073. 백계산(白階山)
074. 백두산(白頭山)
075. 백산령(白山嶺)
076. 백악(白岳)
077. 백운산(白雲山)
078. 백흘내(白屹乃)
079. 벌라산(伐羅山)
080. 벌성천(伐成川)
081. 별해(別害)
082. 병풍파(屛風坡)
083. 보다회산(寶多會山)
084. 본궁(本宮)
085. 본궁(本宮)
086. 봉룡(奉龍)
087. 부전령(赴戰嶺)
088. 북청남병(北靑南兵)
089. 분수령(分水嶺)
090. 분토령(分土嶺)
091. 비백산(鼻白山)
092. 비비수(飛非水)
093. 사덕리(沙德里)
094. 사발령(沙鉢嶺)
095. 사수(沙水)
096. 산창(山倉)
097. 삼방(三方)
098. 삼수(三水)
099. 상검산(上劍山)
100. 상서이(上鋤耳)
101. 서을이령(鋤乙耳嶺)
102. 석왕사(釋王寺)
103. 석장령(石長嶺)
104. 설관(雪關)
105. 설령(雪嶺)
106. 설령(雪嶺)
107. 설봉산(雪峯山)
108. 설한령(雪寒嶺
109. 성관산(城串山)
110. 성대산(聖代山)
111. 성력산(聖歷山)
112. 성천강(成川江)
113. 소농(小農)
114. 소덕(蔬德)
115. 소백계산(小白階山)
116. 속산령(束山嶺)
117. 송전(松田)
118. 송전(松田)
119. 송추령(松楸嶺)
120. 순릉(純陵)
121. 시중대(侍中臺)
122. 신방구비(神方仇非)
123. 신은(新恩)
124. 신전덕(薪田德)
125. 쌍가령(雙加嶺)
126. 쌍가령(雙加嶺)
127. 쌍룡평(雙龍坪)
128. 쌍청(雙靑)
129. 아질간령(阿叱間嶺)
130. 안(鞍)
131. 안도리산(安都里山)
132. 안릉(安陵)
133. 안변(安邊)
134. 앙운령(仰雲嶺)
135. 양거천(羊巨川)
136. 어면(魚面)
137. 연도(連島)
138. 연하산(烟霞山)
139. 영성거리(令城巨里)
140. 영풍창(永豊倉)
141. 영흥(永興)
142. 오덕(鰲德)
143. 오만동하류(五萬洞下流)
144. 오봉산(五峯山)
145. 오을족(吾乙足)
146. 완항령(緩項嶺)
147. 용지원(龍池院)
148. 용흥강(龍興江)
149. 우씨천(虞氏川)
150. 우음사(雨音社)
151. 운달산(雲達山)
152. 운롱(雲籠)
153. 운창(雲倉)
154. 웅이(熊耳)
155. 웅이령(熊耳嶺)
156. 원동(院洞)
157. 원산(元山)
158. 원주강(原州江)
159. 원천창(元川倉)
160. 월운령(月雲嶺)
161. 유전령(杻田嶺)
162. 윤동령(尹洞嶺)
163. 은동(銀洞)
164. 은자산(隱子山)
165. 을덕산(乙德山)
166. 응령(鷹嶺)
167. 응봉(鷹峯)
168. 의릉(義陵)
169. 이개수(伊介水)
170. 이송령(李松嶺)
171. 이원(利原)
172. 이포(梨浦)
173. 인차외(仁遮外)
174. 임연수(臨連水)
175. 자작(自作)
176. 자지령(者之嶺)
177. 자항(慈航)
178. 장동(丈同)
179. 장백산(長白山)
180. 장진책(長津柵)
181. 저도(猪島)
182. 전탄(前灘)
183. 정평(定平)
184. 제인(濟仁)
185. 조가령(趙哥嶺)
186. 조룡덕(祖龍德)
187. 종포(終浦)
188. 좌익령(佐翼嶺)
189. 중령(中嶺)
190. 증산(甑山)
191. 진동(鎭東)
192. 진적사(眞積寺)
193. 참두령(斬頭嶺)
194. 참판어시(參判於屎)
195. 천불산(千佛山)
196. 천수령(天守嶺)
197. 천을창(天乙倉)
198. 철령(鐵嶺)
199. 철옹성(鐵瓮城)
200. 초원(草原)
201. 태백산(太白山)
202. 통파(通坡)
203. 평포(平浦)
204. 포도천(葡萄川)
205. 하검산(下劍山)
206. 하난령(何難嶺)
207. 하서이(下鋤耳)
208. 학포(鶴浦)
209. 함관령(咸關嶺)
210. 함덕(鹹德)
211. 함원(咸原)
212. 함흥(咸興)
213. 향령(香嶺)
214. 향로봉(香爐峯)
215. 향파(香坡)
216. 허강산(虛江山)
217. 허린(虛麟)
218. 허천강(虛川江)
219. 허항령(虛項嶺)
220. 허화이령(虛火耳嶺)
221. 현운령(懸雲嶺)
222. 형제수(兄弟水)
223. 혜산(惠山)
224. 호린(呼麟)
225. 호타(胡打)
226. 홍원(洪原)
227. 화릉(和陵)
228. 황룡산(黃龍山)
229. 황수원(黃水院)
230. 황철파(黃鐵坡)
231. 황초령(黃草嶺)
232. 황토령(黃土嶺)
233. 황토파(黃土坡)
234. 회현(灰峴)
235. 후치현(厚致峴)
목차
전체화면
목차
지명색인
KOREA UNIVERSITY LIBRARY OLD MAP COLLECTION

지명색인도
확인해보세요~!

지명색인도 확인해보세요
KU 고지도 컬렉션
닫기
현재 지도 정보
지도명地圖. 三 (지도삼) – 함경남도
간사자간사자미상
간사년고종21(1884)
설명조선 말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회화식 군현지도첩이다. 총 4첩으로 구성되어 있고, 책표지에는 “지도(地圖)”로 제첨이 붙어 있다. 전체 체계는 1.도리표, 2.도별전도, 3.소속 군현의 개별도의 순서이며, 지도의 여백에 각 도와 군현의 인구, 재정곡, 경지면적, 사방경계, 성곽, 창, 면의 이름과 위치에 관한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군현도의 경우 방안식 지도로 작성되어 있다. 제 1첩에 첫머리에는 전 세계를 축적에 근거해서 동서반구로 나누어 그린 서양식 지도인 목판본 <지구전도(地球全圖)>를 부착하였고, 하단에 ?지구도해(地球圖解)?와 ?지구론(地球論)?을 베껴 놓았으며, 그 외에도 지구가 태양을 도는 모양을 도해한 <지구환일도(地毬?日圖)>와 지구 공전에 의해 계절이 바뀌는 것을 도해한 <지구환일성세서도(地毬?日成歲序圖>와 연활자로 인쇄된 설명문을 부착하였다는 점이 특징이다. <지구전도>는 1883년(고종 20) 10월 1일자 『한성순보(漢城旬報)』 창간호에 부록되어 있는 것이고, <지구환일도>는 1884년 1월 30일자 제10호에 부록되어 있는 것이며, <지구환일성세서도>는 1884년 2월 17일자 제12호에 부록되어 있는 것을 지도첩에 옮겨서 장정한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이 지도첩의 작성 시기는 1884년(고종 21)으로 추정할 수 있겠다. 더보기
지도 리스트지도 리스트40
목차지도삼 목차60
지도삼 – 함경남도지도삼 – 함경남도
고지도 컬렉션 정보고지도 컬렉션 정보
고려대학교 도서관 한적실
02841 서울 성북구 안암로 145 고려대학교 도서관
고지도 컬렉션

도서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고지도 중 학술적 가치와 희귀성이 높은 자료를 선별하여 디지털화한 고지도를 검색할 수 있습니다. 현재 40건 726면의 고지도 원문 이미지가 구축되어 있습니다.

교내외 로그인 없이 원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닫기
地圖. 三
(지도삼)

조선 말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회화식 군현지도첩이다. 총 4첩으로 구성되어 있고, 책표지에는 “지도(地圖)”로 제첨이 붙어 있다. 전체 체계는 1.도리표, 2.도별전도, 3.소속 군현의 개별도의 순서이며, 지도의 여백에 각 도와 군현의 인구, 재정곡, 경지면적, 사방경계, 성곽, 창, 면의 이름과 위치에 관한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군현도의 경우 방안식 지도로 작성되어 있다. 제 1첩에 첫머리에는 전 세계를 축적에 근거해서 동서반구로 나누어 그린 서양식 지도인 목판본 <지구전도(地球全圖)>를 부착하였고, 하단에 ?지구도해(地球圖解)?와 ?지구론(地球論)?을 베껴 놓았으며, 그 외에도 지구가 태양을 도는 모양을 도해한 <지구환일도(地毬?日圖)>와 지구 공전에 의해 계절이 바뀌는 것을 도해한 <지구환일성세서도(地毬?日成歲序圖>와 연활자로 인쇄된 설명문을 부착하였다는 점이 특징이다. <지구전도>는 1883년(고종 20) 10월 1일자 『한성순보(漢城旬報)』 창간호에 부록되어 있는 것이고, <지구환일도>는 1884년 1월 30일자 제10호에 부록되어 있는 것이며, <지구환일성세서도>는 1884년 2월 17일자 제12호에 부록되어 있는 것을 지도첩에 옮겨서 장정한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이 지도첩의 작성 시기는 1884년(고종 21)으로 추정할 수 있겠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