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대학교 도서관

고려대학교 도서관  고지도 컬렉션  |  地圖. 二 (지도이) – 제주

뒤로가기
地圖. 二 (지도이)
검색 취소
지도 리스트
도움말

고려대학교 도서관

다양한 고지도를
살펴보세요~!

다양한 고지도를 살펴보세요
지명색인

지도를 클릭하면
가까운 지명을 볼 수
있어요~!

지도를 클릭하면 가까운 지명을 볼 수 있어요
패널 숨기기
地圖. 二
– 제주
지도이, Jido 2
간사자
간사자미상
간사년
고종21(1884)
설명
조선 말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회화식 군현지도첩이다. 총 4첩으로 구성되어 있고, 책표지에는 “지도(地圖)”로 제첨이 붙어 있다. 전체 체계는 1.도리표, 2.도별전도, 3.소속 군현의 개별도의 순서이며, 지도의 여백에 각 도와 군현의 인구, 재정곡, 경지면적, 사방경계, 성곽, 창, 면의 이름과 위치에 관한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군현도의 경우 방안식 지도로 작성되어 있다. 제 1첩에 첫머리에는 전 세계를 축적에 근거해서 동서반구로 나누어 그린 서양식 지도인 목판본 <지구전도(地球全圖)>를 부착하였고, 하단에 ?지구도해(地球圖解)?와 ?지구론(地球論)?을 베껴 놓았으며, 그 외에도 지구가 태양을 도는 모양을 도해한 <지구환일도(地毬?日圖)>와 지구 공전에 의해 계절이 바뀌는 것을 도해한 <지구환일성세서도(地毬?日成歲序圖>와 연활자로 인쇄된 설명문을 부착하였다는 점이 특징이다. <지구전도>는 1883년(고종 20) 10월 1일자 『한성순보(漢城旬報)』 창간호에 부록되어 있는 것이고, <지구환일도>는 1884년 1월 30일자 제10호에 부록되어 있는 것이며, <지구환일성세서도>는 1884년 2월 17일자 제12호에 부록되어 있는 것을 지도첩에 옮겨서 장정한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이 지도첩의 작성 시기는 1884년(고종 21)으로 추정할 수 있겠다. 더보기
지명색인
검색취소
001. 강정포(江汀浦)
002. 개노천(蓋老川)
003. 개역악(開域岳)
004. 개파(蓋波)
005. 거은굴(居隱窟)
006. 건공포(乾貢浦)
007. 건인포(健人浦)
008. 고내봉(高內烽)
009. 고둔촌(羔屯村)
010. 고로포(古老浦)
011. 고면과원(古面果園)
012. 과소(果所)
013. 과원(果園)
014. 과원(果園)
015. 과원(果園)
016. 과원(果園)
017. 과원(果園)
018. 관(貫)
019. 관포(館浦)
020. 구소(九所)
021. 구제(九第)
022. 귀덕포(歸德浦)
023. 귀산(龜山)
024. 남산봉(南山烽)
025. 녹산(鹿山)
026. 달산(達山)
027. 당포(唐浦)
028. 대랑수산(大郞秀山)
029. 대정(大靜)
030. 도근천(都近川)
031. 도내봉(道內烽)
032. 도도봉(道圖烽)
033. 돈포(敦浦)
034. 동별창(東別倉)
035. 동여서(東餘鼠)
036. 두모촌(頭毛村)
037. 마두포(馬頭浦)
038. 마라(摩蘿)
039. 명월소(明月所)
040. 모슬봉(摹瑟烽)
041. 모슬소(摹瑟所)
042. 목밀악(木蜜岳)
043. 무주포(無住浦)
044. 무협(巫峽)
045. 문(文)
046. 문점산(文簟山)
047. 반응악(盤凝岳)
048. 배령촌(排舲村)
049. 백록담(白鹿潭)
050. 백배봉(白盃烽)
051. 벌랑포(伐浪浦)
052. 벌포(伐浦)
053. 별방소(別防所)
054. 별현둔(別玄屯)
055. 병풍천(屛風川)
056. 부대악(夫大岳)
057. 부포(釜浦)
058. 비양(飛揚)
059. 사귀포(蛇鬼浦)
060. 사라봉(沙羅烽)
061. 사소(四所)
062. 산봉(山烽)
063. 삼(森)
064. 삼매양봉(三每陽烽)
065. 삼성혈(三姓穴)
066. 삼소(三所)
067. 서(鼠)
068. 서귀소(西歸所)
069. 서별창(西別倉)
070. 서산봉(西山烽)
071. 성천포(星川浦)
072. 성파악(城坡岳)
073. 소화탈(小火脫)
074. 송악(松岳)
075. 송포(松浦)
076. 수산봉(水山烽)
077. 수산봉(首山烽)
078. 수산진(首山鎭)
079. 수영악(水靈岳)
080. 십소(十所)
081. 악산(岳山)
082. 암장포(巖壯浦)
083. 애월소(涯月所)
084. 야래악(野來岳)
085. 어승생악(御乘生岳)
086. 어저수(魚宁藪)
087. 영천천(靈泉川)
088. 예미포(乂尾浦)
089. 오소(五所)
090. 왕가봉(往可烽)
091. 왜포(倭浦)
092. 용생굴(龍生窟)
093. 용태악고(龍泰岳高)
094. 용항포(龍項浦)
095. 우(牛)
096. 우두포(牛頭浦)
097. 우천악(友川岳)
098. 웅원(雄原)
099. 원대봉(元臺烽)
100. 원대포(元臺浦)
101. 위양포(渭陽浦)
102. 육소(六所)
103. 의탈(衣脫)
104. 이소(二所)
105. 일소(一所)
106. 입산(笠山)
107. 저별봉(貯別烽)
108. 정의(旌義)
109. 조천관소(朝天館所)
110. 좌면(左面)
111. 죽(竹)
112. 중면(中面)
113. 지귀(智歸)
114. 지미(指尾)
115. 차귀소(遮歸所)
116. 천미포(川尾浦)
117. 천북소(天北所)
118. 천제담(天帝潭)
119. 천지연(天池淵)
120. 초(草)
121. 초란(草蘭)
122. 추(雛)
123. 칠소(七所)
124. 탈조봉(脫早烽)
125. 팔소(八所)
126. 패자(犻子)
127. 포남포(浦南浦)
128. 한라산(漢拏山)
129. 협재포(俠才浦)
130. 호(虎)
131. 호산봉(蠔山烽)
132. 호촌봉(狐村烽)
133. 화탈(火脫)
목차
전체화면
목차
지명색인
KOREA UNIVERSITY LIBRARY OLD MAP COLLECTION

지명색인도
확인해보세요~!

지명색인도 확인해보세요
KU 고지도 컬렉션
닫기
현재 지도 정보
지도명地圖. 二 (지도이) – 제주
간사자간사자미상
간사년고종21(1884)
설명조선 말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회화식 군현지도첩이다. 총 4첩으로 구성되어 있고, 책표지에는 “지도(地圖)”로 제첨이 붙어 있다. 전체 체계는 1.도리표, 2.도별전도, 3.소속 군현의 개별도의 순서이며, 지도의 여백에 각 도와 군현의 인구, 재정곡, 경지면적, 사방경계, 성곽, 창, 면의 이름과 위치에 관한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군현도의 경우 방안식 지도로 작성되어 있다. 제 1첩에 첫머리에는 전 세계를 축적에 근거해서 동서반구로 나누어 그린 서양식 지도인 목판본 <지구전도(地球全圖)>를 부착하였고, 하단에 ?지구도해(地球圖解)?와 ?지구론(地球論)?을 베껴 놓았으며, 그 외에도 지구가 태양을 도는 모양을 도해한 <지구환일도(地毬?日圖)>와 지구 공전에 의해 계절이 바뀌는 것을 도해한 <지구환일성세서도(地毬?日成歲序圖>와 연활자로 인쇄된 설명문을 부착하였다는 점이 특징이다. <지구전도>는 1883년(고종 20) 10월 1일자 『한성순보(漢城旬報)』 창간호에 부록되어 있는 것이고, <지구환일도>는 1884년 1월 30일자 제10호에 부록되어 있는 것이며, <지구환일성세서도>는 1884년 2월 17일자 제12호에 부록되어 있는 것을 지도첩에 옮겨서 장정한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이 지도첩의 작성 시기는 1884년(고종 21)으로 추정할 수 있겠다. 더보기
지도 리스트지도 리스트40
목차지도이 목차134
지도이 – 제주지도이 – 제주
고지도 컬렉션 정보고지도 컬렉션 정보
고려대학교 도서관 한적실
02841 서울 성북구 안암로 145 고려대학교 도서관
고지도 컬렉션

도서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고지도 중 학술적 가치와 희귀성이 높은 자료를 선별하여 디지털화한 고지도를 검색할 수 있습니다. 현재 40건 726면의 고지도 원문 이미지가 구축되어 있습니다.

교내외 로그인 없이 원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닫기
地圖. 二
(지도이)

조선 말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회화식 군현지도첩이다. 총 4첩으로 구성되어 있고, 책표지에는 “지도(地圖)”로 제첨이 붙어 있다. 전체 체계는 1.도리표, 2.도별전도, 3.소속 군현의 개별도의 순서이며, 지도의 여백에 각 도와 군현의 인구, 재정곡, 경지면적, 사방경계, 성곽, 창, 면의 이름과 위치에 관한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군현도의 경우 방안식 지도로 작성되어 있다. 제 1첩에 첫머리에는 전 세계를 축적에 근거해서 동서반구로 나누어 그린 서양식 지도인 목판본 <지구전도(地球全圖)>를 부착하였고, 하단에 ?지구도해(地球圖解)?와 ?지구론(地球論)?을 베껴 놓았으며, 그 외에도 지구가 태양을 도는 모양을 도해한 <지구환일도(地毬?日圖)>와 지구 공전에 의해 계절이 바뀌는 것을 도해한 <지구환일성세서도(地毬?日成歲序圖>와 연활자로 인쇄된 설명문을 부착하였다는 점이 특징이다. <지구전도>는 1883년(고종 20) 10월 1일자 『한성순보(漢城旬報)』 창간호에 부록되어 있는 것이고, <지구환일도>는 1884년 1월 30일자 제10호에 부록되어 있는 것이며, <지구환일성세서도>는 1884년 2월 17일자 제12호에 부록되어 있는 것을 지도첩에 옮겨서 장정한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이 지도첩의 작성 시기는 1884년(고종 21)으로 추정할 수 있겠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