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대학교 도서관

고려대학교 도서관  고지도 컬렉션  |  地圖. 一 (지도일) – 양주

뒤로가기
地圖. 一 (지도일)
검색 취소
지도 리스트
도움말

고려대학교 도서관

다양한 고지도를
살펴보세요~!

다양한 고지도를 살펴보세요
지명색인

지도를 클릭하면
가까운 지명을 볼 수
있어요~!

지도를 클릭하면 가까운 지명을 볼 수 있어요
패널 숨기기
地圖. 一
– 양주
지도일, Jido 1
간사자
간사자미상
간사년
고종21(1884)
설명
조선 말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회화식 군현지도첩이다. 총 4첩으로 구성되어 있고, 책표지에는 “지도(地圖)”로 제첨이 붙어 있다. 전체 체계는 1.도리표, 2.도별전도, 3.소속 군현의 개별도의 순서이며, 지도의 여백에 각 도와 군현의 인구, 재정곡, 경지면적, 사방경계, 성곽, 창, 면의 이름과 위치에 관한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군현도의 경우 방안식 지도로 작성되어 있다. 제 1첩에 첫머리에는 전 세계를 축적에 근거해서 동서반구로 나누어 그린 서양식 지도인 목판본 <지구전도(地球全圖)>를 부착하였고, 하단에 ?지구도해(地球圖解)?와 ?지구론(地球論)?을 베껴 놓았으며, 그 외에도 지구가 태양을 도는 모양을 도해한 <지구환일도(地毬?日圖)>와 지구 공전에 의해 계절이 바뀌는 것을 도해한 <지구환일성세서도(地毬?日成歲序圖>와 연활자로 인쇄된 설명문을 부착하였다는 점이 특징이다. <지구전도>는 1883년(고종 20) 10월 1일자 『한성순보(漢城旬報)』 창간호에 부록되어 있는 것이고, <지구환일도>는 1884년 1월 30일자 제10호에 부록되어 있는 것이며, <지구환일성세서도>는 1884년 2월 17일자 제12호에 부록되어 있는 것을 지도첩에 옮겨서 장정한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이 지도첩의 작성 시기는 1884년(고종 21)으로 추정할 수 있겠다. 더보기
지명색인
검색취소
001. 간파현(干波峴)
002. 강릉(康陵)
003. 검암참(黔岩站)
004. 경복궁(景福宮)
005. 경희궁(慶凞宮)
006. 고양주면(古楊州面)
007. 고저산(高宁山)
008. 고주내(古州內)
009. 광릉(光陵)
010. 광해대(光海臺)
011. 구곡역(仇谷驛)
012. 구음면(龜音面)
013. 금촌면(金村面)
014. 길운산(吉雲山)
015. 내동면(內洞面)
016. 노량(露梁)
017. 노원면(蘆原面)
018. 노적산(露積山)
019. 녹양역(綠楊驛)
020. 대탄(大灘)
021. 도봉(道峯)
022. 독향면(禿香面)
023. 독현도(毒縣島)
024. 돌염산(突厭山)
025. 동작(銅雀)
026. 동창(東倉)
027. 두모포(豆毛浦)
028. 두험천(豆驗川)
029. 마차산(磨差山)
030. 마치(麻峙)
031. 마포(麻浦)
032. 만초천(蔓草川)
033. 망우면(忘憂面)
034. 모화관(慕華館)
035. 목멱산(木覓山)
036. 묘적사(妙寂寺)
037. 미곡면(尾谷面)
038. 백석면(白石面)
039. 백현(栢峴)
040. 별비곡면(別非谷面)
041. 북악(北岳)
042. 북한산성(北漢山城)
043. 불곡산(佛谷山)
044. 불암산(佛岩山)
045. 사가천(沙訶川)
046. 사릉(思陵)
047. 사천(沙川)
048. 산내면(山內面)
049. 삼각산(三角山)
050. 상도면(上道面)
051. 상수천(湘水川)
052. 서강(西江)
053. 서면(西面)
054. 서빙고(西氷庫)
055. 서원(書院)
056. 서흥창(序興倉)
057. 석적면(石積面)
058. 석적산(石積山)
059. 설마치(雪馬峙)
060. 소요산(逍遙散)
061. 소저원(昭宁園)
062. 송계(松溪)
063. 수락산(水落山)
064. 시북곡면(柴北谷面)
065. 신촌(新村)
066. 신혈면(神穴面)
067. 심곡산(深谷山)
068. 쌍수역(雙樹驛)
069. 아차산(峨嵯山)
070. 안현(鞍峴)
071. 어등산면(於䓁山面)
072. 연서(延曙)
073. 영근면(嶺近面)
074. 영근산(嶺近山)
075. 영희전(永禧殿)
076. 옥숙탄(玉宿灘)
077. 온릉(溫陵)
078. 옹막(瓮幕)
079. 용산(龍山)
080. 울즉현(鬱卽峴)
081. 육릉(六陵)
082. 응령(鷹嶺)
083. 의릉(懿陵)
084. 이담면(伊淡面)
085. 이태원(利泰院)
086. 인왕산(仁王山)
087. 장흥면(長興面)
088. 전곶(箭串)
089. 접동산(椄洞山)
090. 정릉(貞陵)
091. 주엽산(注葉山)
092. 진곡면(眞谷面)
093. 진답면(陳畓面)
094. 진벌면(榛伐面)
095. 창경궁(昌慶宮)
096. 창덕궁(昌德宮)
097. 천마산(天磨山)
098. 천보산(天寶山)
099. 천천면(泉川面)
100. 첨리단산(尖里丹山)
101. 청송면(靑松面)
102. 청송산(靑松山)
103. 청절사(淸節祠)
104. 초촌면(哨村面)
105. 초촌천(哨村川)
106. 축석령(祝石嶺)
107. 태릉(泰陵)
108. 토정(土亭)
109. 평구(平丘)
110. 하도면(下道面)
111. 한강(漢江)
112. 한미산(漢美山)
113. 한이산(汗伊山)
114. 해동면(海東面)
115. 해현(蟹峴)
116. 현내면(縣內面)
117. 현창(縣倉)
118. 호구래(壺口唻)
119. 홍복산(弘福山)
120. 회암면(檜岩面)
121. 흑석(黑石)
122. 흥국사(興國寺)
목차
전체화면
목차
지명색인
KOREA UNIVERSITY LIBRARY OLD MAP COLLECTION

지명색인도
확인해보세요~!

지명색인도 확인해보세요
KU 고지도 컬렉션
닫기
현재 지도 정보
지도명地圖. 一 (지도일) – 양주
간사자간사자미상
간사년고종21(1884)
설명조선 말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회화식 군현지도첩이다. 총 4첩으로 구성되어 있고, 책표지에는 “지도(地圖)”로 제첨이 붙어 있다. 전체 체계는 1.도리표, 2.도별전도, 3.소속 군현의 개별도의 순서이며, 지도의 여백에 각 도와 군현의 인구, 재정곡, 경지면적, 사방경계, 성곽, 창, 면의 이름과 위치에 관한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군현도의 경우 방안식 지도로 작성되어 있다. 제 1첩에 첫머리에는 전 세계를 축적에 근거해서 동서반구로 나누어 그린 서양식 지도인 목판본 <지구전도(地球全圖)>를 부착하였고, 하단에 ?지구도해(地球圖解)?와 ?지구론(地球論)?을 베껴 놓았으며, 그 외에도 지구가 태양을 도는 모양을 도해한 <지구환일도(地毬?日圖)>와 지구 공전에 의해 계절이 바뀌는 것을 도해한 <지구환일성세서도(地毬?日成歲序圖>와 연활자로 인쇄된 설명문을 부착하였다는 점이 특징이다. <지구전도>는 1883년(고종 20) 10월 1일자 『한성순보(漢城旬報)』 창간호에 부록되어 있는 것이고, <지구환일도>는 1884년 1월 30일자 제10호에 부록되어 있는 것이며, <지구환일성세서도>는 1884년 2월 17일자 제12호에 부록되어 있는 것을 지도첩에 옮겨서 장정한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이 지도첩의 작성 시기는 1884년(고종 21)으로 추정할 수 있겠다. 더보기
지도 리스트지도 리스트40
목차지도일 목차104
지도일 – 양주지도일 – 양주
고지도 컬렉션 정보고지도 컬렉션 정보
고려대학교 도서관 한적실
02841 서울 성북구 안암로 145 고려대학교 도서관
고지도 컬렉션

도서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고지도 중 학술적 가치와 희귀성이 높은 자료를 선별하여 디지털화한 고지도를 검색할 수 있습니다. 현재 40건 726면의 고지도 원문 이미지가 구축되어 있습니다.

교내외 로그인 없이 원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닫기
地圖. 一
(지도일)

조선 말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회화식 군현지도첩이다. 총 4첩으로 구성되어 있고, 책표지에는 “지도(地圖)”로 제첨이 붙어 있다. 전체 체계는 1.도리표, 2.도별전도, 3.소속 군현의 개별도의 순서이며, 지도의 여백에 각 도와 군현의 인구, 재정곡, 경지면적, 사방경계, 성곽, 창, 면의 이름과 위치에 관한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군현도의 경우 방안식 지도로 작성되어 있다. 제 1첩에 첫머리에는 전 세계를 축적에 근거해서 동서반구로 나누어 그린 서양식 지도인 목판본 <지구전도(地球全圖)>를 부착하였고, 하단에 ?지구도해(地球圖解)?와 ?지구론(地球論)?을 베껴 놓았으며, 그 외에도 지구가 태양을 도는 모양을 도해한 <지구환일도(地毬?日圖)>와 지구 공전에 의해 계절이 바뀌는 것을 도해한 <지구환일성세서도(地毬?日成歲序圖>와 연활자로 인쇄된 설명문을 부착하였다는 점이 특징이다. <지구전도>는 1883년(고종 20) 10월 1일자 『한성순보(漢城旬報)』 창간호에 부록되어 있는 것이고, <지구환일도>는 1884년 1월 30일자 제10호에 부록되어 있는 것이며, <지구환일성세서도>는 1884년 2월 17일자 제12호에 부록되어 있는 것을 지도첩에 옮겨서 장정한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이 지도첩의 작성 시기는 1884년(고종 21)으로 추정할 수 있겠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