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대학교 도서관

고려대학교 도서관  고지도 컬렉션  |  左海圖 (좌해도) – 함경도

뒤로가기
左海圖 (좌해도)
검색 취소
지도 리스트
도움말

고려대학교 도서관

다양한 고지도를
살펴보세요~!

다양한 고지도를 살펴보세요
지명색인

지도를 클릭하면
가까운 지명을 볼 수
있어요~!

지도를 클릭하면 가까운 지명을 볼 수 있어요
패널 숨기기
左海圖
– 함경도
좌해도, Jwahaedo
간사자
간사자미상
간사년
1712-1750
설명
필사본. 1첩(12)매. 전사자 미상. 동람도 스타일의 전도와 도별도를 모은 지도첩이다. 전사(轉寫) 수준이 높고 기록된 정보도 자세한 우수한 지도첩이다. 또한 금강산을 그린 <금강도>와 총석정을 그린<총석도>를 말미에 부록되어 있는 점이 이채롭다. 제작시기는 백두산 정계비가 표기되어 있으므로 1712년 이후이고, 대구(大邱)가 대구(大丘)로 남아 있으므로 1750년 이전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더보기
지명색인
검색취소
001. 가파령(茄坡嶺)
002. 갑령(甲嶺)
003. 갑산(甲山)
004. 강계(江界)
005. 강구(江口)
006. 강구산(江龜山)
007. 거산(居山)
008. 건원(乾元)
009. 검봉산(劍峯山)
010. 경성(鏡城)
011. 경원(慶源)
012. 경흥(慶興)
013. 고령(高嶺)
014. 고릉(古陵)
015. 고무창(古茂昌)
016. 고산(高山)
017. 고산(高山)
018. 고여연(古閭延)
019. 고우예(古虞芮)
020. 고원(高原)
021. 고자성(古慈城)
022. 고풍산(古豊山)
023. 공령(空嶺)
024. 광춘령(光春嶺)
025. 구가파(舊茄坡)
026. 국미산(國味山)
027. 국태산(國泰山)
028. 귀문관(鬼門關)
029. 길주(吉州)
030. 길주양도(吉州羊島)
031. 나난(羅暖)
032. 난항령(暖項嶺)
033. 남증산(南甑山)
034. 노은동산(蘆隱東山)
035. 노지령(老之嶺)
036. 녹둔도(鹿屯島)
037. 녹야(鹿野)
038. 단천(端川)
039. 대덕산(大德山)
040. 대동강(大同江)
041. 대박산(大膊山)
042. 대택(大澤)
043. 덕명(德明)
044. 덕산(德山)
045. 덕안릉(德安陵)
046. 덕원(德源)
047. 동관(潼關)
048. 동랑산(冬郞山)
049. 동림고성(東林古城)
050. 동인(同仁)
051. 두리산(頭里山)
052. 두만강(豆滿江)
053. 마양도(馬養島)
054. 마운령(磨雲嶺)
055. 마유령(馬踰嶺)
056. 마천령(磨天嶺)
057. 말갈(靺鞨)
058. 말능도(末能島)
059. 맹산(孟山)
060. 명천(明川)
061. 명천양도(明川羊島)
062. 모음위(毛陰徫)
063. 목책(木柵)
064. 묘도(卯島)
065. 묘파(廟坡)
066. 무산(茂山)
067. 무산령(茂山嶺)
068. 무이(撫夷)
069. 문천(文川)
070. 미전(美錢)
071. 반룡산(盤龍山)
072. 방원(防垣)
073. 백덕산(白德山)
074. 백두산(白頭山)
075. 백산령(白山嶺)
076. 백악산(白岳山)
077. 별해(別害)
078. 보다회산(甫多會山)
079. 보로(甫老)
080. 보화(寶化)
081. 본궁(本宮)
082. 볼하(乶下)
083. 봉천대(奉天臺)
084. 부령(富寧)
085. 부전령(赴戰嶺)
086. 부전령(赴戰嶺)
087. 북병(北兵)
088. 북청(北靑)
089. 분계강(分界江)
090. 분수령(分水嶺)
091. 삼삼파(森森坡)
092. 삼수(三水)
093. 서북(西北)
094. 서북천(西北川)
095. 서수라(西水羅)
096. 석왕사(釋王寺)
097. 석왕산(釋王山)
098. 설렬(雪烈)
099. 설령(雪嶺)
100. 성대산(聖代山)
101. 성진(城津)
102. 성천강(成川江)
103. 소농(小農)
104. 속산령(束山嶺)
105. 송진산(松眞山)
106. 송화강(松花江)
107. 숙신씨국(肅愼氏國)
108. 순릉(純陵)
109. 숭의(崇義)
110. 슬해(瑟海)
111. 시중대(侍中臺)
112. 신가파(新茄坡)
113. 신방(神方)
114. 쌍계산(雙溪山)
115. 쌍청(雙靑)
116. 아산(阿山)
117. 아오지(阿吾地)
118. 안변(安邊)
119. 안원(安原)
120. 압록강(鴨綠江)
121. 압춘산(鴨春山)
122. 양덕(陽德)
123. 양영(梁永)
124. 어랑(漁郞)
125. 어면(魚面)
126. 어유(魚游)
127. 어유간(魚游澗)
128. 연운산(連雲山)
129. 영달(永達)
130. 영변(寧邊)
131. 영흥(永興)
132. 오국성(五國城)
133. 오만령(五蔓嶺)
134. 오을족(吾乙足)
135. 오촌(吾村)
136. 온성(穩城)
137. 온성초도(穩城草島)
138. 온정(溫井)
139. 요덕(耀德)
140. 용흥강(龍興江)
141. 운룡(雲龍)
142. 원산(圓山)
143. 유원(柔遠)
144. 윤성(輪成)
145. 의릉(義陵)
146. 이동(梨洞)
147. 이성(利城)
148. 이천(伊川)
149. 익릉(翼陵)
150. 인차외(仁遮外)
151. 임진강상류(臨津江上流)
152. 임하천(林下川)
153. 자작(自作)
154. 장군판(將軍坂)
155. 장덕산(長德山)
156. 장백산(長白山)
157. 장진책(長津柵)
158. 장평산(長平山)
159. 재덕(在德)
160. 적도(赤島)
161. 적지(赤池)
162. 정계비(定界碑)
163. 정평(定平)
164. 정화릉(定和陵)
165. 조산(造山)
166. 종성(鍾城)
167. 주을온(朱乙溫)
168. 죽전원도(竹田園島)
169. 중령(中嶺)
170. 증산(甑山)
171. 지릉(智陵)
172. 진동(鎭東)
173. 진수산(鎭水山)
174. 차유령(車踰嶺)
175. 천불산(天佛山)
176. 천을이(天乙伊)
177. 천평(天坪)
178. 철령(鐵嶺)
179. 총령(蔥嶺)
180. 충천령(衝天嶺)
181. 칠보산(七寶山)
182. 타락산(駝駱山)
183. 토라산(吐羅山)
184. 토문강(土門江)
185. 팔지(八池)
186. 폐무산(廢茂山)
187. 폐후주(廢厚州)
188. 풍산(豊山)
189. 필오포(弼午浦)
190. 학산(鶴山)
191. 학포(鶴浦)
192. 함관령(咸關嶺)
193. 함흥(咸興)
194. 행영(行營)
195. 허천강(虛川江)
196. 허항령(虛項嶺)
197. 현토(玄菟)
198. 혜산(惠山)
199. 호타리(胡打里)
200. 혼동강(混同江)
201. 홍단수(紅丹水)
202. 홍원(洪原)
203. 화도(花島)
204. 화등산(火登山)
205. 황룡부(黃龍府)
206. 황제릉(皇帝陵)
207. 황제평(皇帝坪)
208. 황척파(黃拓坡)
209. 황초령(黃草嶺)
210. 황토령(黃土嶺)
211. 황토파(黃土坡)
212. 회령(會寧)
213. 회양계(淮陽界)
214. 후주강(厚州江)
215. 후치령(厚峙嶺)
216. 훈융(訓戎)
217. 훈춘강(訓春江)
218. 흑수(黑水)
219. 흡곡(歙谷)
목차
전체화면
목차
지명색인
KOREA UNIVERSITY LIBRARY OLD MAP COLLECTION

지명색인도
확인해보세요~!

지명색인도 확인해보세요
KU 고지도 컬렉션
닫기
현재 지도 정보
지도명左海圖 (좌해도) – 함경도
간사자간사자미상
간사년1712-1750
설명필사본. 1첩(12)매. 전사자 미상. 동람도 스타일의 전도와 도별도를 모은 지도첩이다. 전사(轉寫) 수준이 높고 기록된 정보도 자세한 우수한 지도첩이다. 또한 금강산을 그린 <금강도>와 총석정을 그린<총석도>를 말미에 부록되어 있는 점이 이채롭다. 제작시기는 백두산 정계비가 표기되어 있으므로 1712년 이후이고, 대구(大邱)가 대구(大丘)로 남아 있으므로 1750년 이전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더보기
지도 리스트지도 리스트40
목차좌해도 목차16
좌해도 – 함경도좌해도 – 함경도
고지도 컬렉션 정보고지도 컬렉션 정보
고려대학교 도서관 한적실
02841 서울 성북구 안암로 145 고려대학교 도서관
고지도 컬렉션

도서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고지도 중 학술적 가치와 희귀성이 높은 자료를 선별하여 디지털화한 고지도를 검색할 수 있습니다. 현재 40건 726면의 고지도 원문 이미지가 구축되어 있습니다.

교내외 로그인 없이 원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닫기
左海圖
(좌해도)

필사본. 1첩(12)매. 전사자 미상. 동람도 스타일의 전도와 도별도를 모은 지도첩이다. 전사(轉寫) 수준이 높고 기록된 정보도 자세한 우수한 지도첩이다. 또한 금강산을 그린 <금강도>와 총석정을 그린<총석도>를 말미에 부록되어 있는 점이 이채롭다. 제작시기는 백두산 정계비가 표기되어 있으므로 1712년 이후이고, 대구(大邱)가 대구(大丘)로 남아 있으므로 1750년 이전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