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대학교 도서관

고려대학교 도서관  고지도 컬렉션  |  左海圖 (좌해도) – 조선총도

뒤로가기
左海圖 (좌해도)
검색 취소
지도 리스트
도움말

고려대학교 도서관

다양한 고지도를
살펴보세요~!

다양한 고지도를 살펴보세요
지명색인

지도를 클릭하면
가까운 지명을 볼 수
있어요~!

지도를 클릭하면 가까운 지명을 볼 수 있어요
패널 숨기기
左海圖
– 조선총도
좌해도, Jwahaedo
간사자
간사자미상
간사년
1712-1750
설명
필사본. 1첩(12)매. 전사자 미상. 동람도 스타일의 전도와 도별도를 모은 지도첩이다. 전사(轉寫) 수준이 높고 기록된 정보도 자세한 우수한 지도첩이다. 또한 금강산을 그린 <금강도>와 총석정을 그린<총석도>를 말미에 부록되어 있는 점이 이채롭다. 제작시기는 백두산 정계비가 표기되어 있으므로 1712년 이후이고, 대구(大邱)가 대구(大丘)로 남아 있으므로 1750년 이전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더보기
지명색인
검색취소
001. 감악산(紺岳山)
002. 강원(江原)
003. 강화(江華)
004. 경(京)
005. 경기(京畿)
006. 경상(慶尙)
007. 계룡산(鷄龍山)
008. 관동(關東)
009. 관서(關西)
010. 교동(喬桐)
011. 구월산(九月山)
012. 군산도(群山島)
013. 금강(錦江)
014. 금강산(金剛山)
015. 금성(錦城)
016. 금오(金鰲)
017. 낙동강(洛東江)
018. 녹둔도(鹿屯島)
019. 대관령(大關嶺)
020. 대동강(大同江)
021. 대마도(對馬島)
022. 덕진(德津)
023. 두만강(豆滿江)
024. 두치강(豆恥江)
025. 목멱산(木覓山)
026. 묘향산(妙香山)
027. 무목산(無木山)
028. 방산도(方山島)
029. 백두산(白頭山)
030. 백비산(白鼻山)
031. 백악산(白岳山)
032. 비류수(沸流水)
033. 삼각산(三角山)
034. 속리산(俗離山)
035. 속리산(俗離山)
036. 송악산(松岳山)
037. 압록강(鴨綠江)
038. 양진(楊津)
039. 영남(嶺南)
040. 오관산(五冠山)
041. 오대산(五臺山)
042. 우이산(牛耳山)
043. 울릉도(鬱陵島)
044. 웅진(熊津)
045. 윤산(輪山)
046. 인왕산(仁王山)
047. 임진(臨津)
048. 장백산(長白山)
049. 적도(赤島)
050. 전라(全羅)
051. 제주(濟州)
052. 조령(鳥嶺)
053. 주흘산(主屹山)
054. 죽령(竹嶺)
055. 지리산(智異山)
056. 진도(珍島)
057. 천불산(千佛山)
058. 충청(忠淸)
059. 치룡(雉龍)
060. 태백산(太白山)
061. 평안(平安)
062. 풍악산(豊岳山)
063. 한강(漢江)
064. 함경(咸鏡)
065. 함관(咸關)
066. 해서(海西)
067. 호남(湖南)
068. 호서(湖西)
069. 황해(黃海)
070. 흑산도(黑山島)
목차
전체화면
목차
지명색인
KOREA UNIVERSITY LIBRARY OLD MAP COLLECTION

지명색인도
확인해보세요~!

지명색인도 확인해보세요
KU 고지도 컬렉션
닫기
현재 지도 정보
지도명左海圖 (좌해도) – 조선총도
간사자간사자미상
간사년1712-1750
설명필사본. 1첩(12)매. 전사자 미상. 동람도 스타일의 전도와 도별도를 모은 지도첩이다. 전사(轉寫) 수준이 높고 기록된 정보도 자세한 우수한 지도첩이다. 또한 금강산을 그린 <금강도>와 총석정을 그린<총석도>를 말미에 부록되어 있는 점이 이채롭다. 제작시기는 백두산 정계비가 표기되어 있으므로 1712년 이후이고, 대구(大邱)가 대구(大丘)로 남아 있으므로 1750년 이전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더보기
지도 리스트지도 리스트40
목차좌해도 목차16
좌해도 – 조선총도좌해도 – 조선총도
고지도 컬렉션 정보고지도 컬렉션 정보
고려대학교 도서관 한적실
02841 서울 성북구 안암로 145 고려대학교 도서관
고지도 컬렉션

도서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고지도 중 학술적 가치와 희귀성이 높은 자료를 선별하여 디지털화한 고지도를 검색할 수 있습니다. 현재 40건 726면의 고지도 원문 이미지가 구축되어 있습니다.

교내외 로그인 없이 원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닫기
左海圖
(좌해도)

필사본. 1첩(12)매. 전사자 미상. 동람도 스타일의 전도와 도별도를 모은 지도첩이다. 전사(轉寫) 수준이 높고 기록된 정보도 자세한 우수한 지도첩이다. 또한 금강산을 그린 <금강도>와 총석정을 그린<총석도>를 말미에 부록되어 있는 점이 이채롭다. 제작시기는 백두산 정계비가 표기되어 있으므로 1712년 이후이고, 대구(大邱)가 대구(大丘)로 남아 있으므로 1750년 이전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