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n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59330 | |
005 | 20230926171237 | |
007 | ta | |
008 | 230925s2023 ulk 000a kor | |
020 | ▼a 9788937427176 ▼g 0381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82 | 0 4 | ▼a 895.744 ▼2 23 |
085 | ▼a 897.46 ▼2 DDCK | |
090 | ▼a 897.46 ▼b 이어령 2023 | |
100 | 1 | ▼a 김성곤 |
245 | 1 0 | ▼a 이어령 읽기 : ▼b 인공지능과 생명사상 시대의 문명, 문화, 문학 / ▼d 김성곤 |
260 | ▼a 서울 : ▼b 민음사, ▼c 2023 | |
300 | ▼a 417 p. ; ▼c 19 cm | |
600 | 1 4 | ▼a 이어령, ▼g 李御寧, ▼d 1934-2022 |
945 | ▼a ITMT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897.46 이어령 2023 | Accession No. 111885271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문학평론가 김성곤이 문학, 문화, 문명, 예술, 인생이라는 주제를 놓고 이어령과 나눈 대화의 기록으로, 이어령 선생이 암 투병 중일 때부터 세상을 떠날 때까지 정기적으로 만나 대화한 내용을 꼼꼼하게 기록하고 정리해 완성한 이어령론이다.
김성곤에게 멘토와도 같았던 이어령은 죽음을 눈앞에 두고도 의연한 태도로 성찰과 혜안이 깃든 비교문화론, 인류문명론, 동서문학론을 펼쳤다. 각 주제에 대한 이어령의 말과 그 말에 대한 김성곤의 의견이 더해지며 완성된 ‘이어령론’이자 ‘이어령이 남긴 말들에 대한 보고서’인 이 책은 넓은 의미의 대화를 지향한다. 이 책을 읽는 누구나가 저자의 자리에 서서 이어령의 말을 독해하고 그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길어올릴 수 있다.
평생에 걸쳐 자신의 문학적 유산을 가꿔 온 이어령이 변화와 혼란의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들에게 전하는 주옥같은 메시지들은 일상이라는 파도에 휩쓸려 본질에 대한 질문을 자주 잊고 사는 우리에게 드물고도 귀한 대화의 희열을 선사할 것이다.
■ 문학이란 무엇인가?
대화의 시작은 이어령의 본령이라 할 수 있는 문학이다. 이어령은 문학을 일컬어 “유서가 아니라 유언과도 같은 것”이라고 정의한다. 그에 따르면 문학은 문서로 쓰인 논리적인 학문이 아니다. 문학은 우리의 상상 속에서 비상하는 예술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말로 하는 유언과도 같은 문학을 다만 ‘공부’하고 있는 이 시대의 경직된 학습 태도는 문학에 어울리지 않는다. “여러분은 유서를 공부하고 있어요. 유서는 문구나 자구 하나 하나를 고치고 도장 찍는 것인데, 문학이나 인문학은 그런 것이 아닙니다.” 이어령의 문학론에 대한 김성곤의 응답은 우리 마음속의 대답이기도 하다. 작가란 누구이고 문학의 의미란 무엇일까. 이러한 질문은 정의란 무엇이고 사랑이란 무엇인지에 대한 화두로 뻗어나간다.
■ 인공지능 시대에 우리는 어떻게 사고해야 하는가?
일찍이 『디지로그』라는 책을 통해 디지털과 아날로그의 만남에 주목했던 이어령은 인공지능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 태도에 대해서도 중요한 통찰을 제공한다. 이어령은 인공지능 시대의 시작을 말이 가축화되고 기계화되는 과정에 비유한다. 말이 등장할 시기에 말과 경쟁하는 사람, 말 위에 올라타는 사람, 말을 가축으로 만드는 사람, 짐을 풀어서 내리는 사람 등이 있었듯 인공지능 시대에도 이 기술을 둘러싸고 다양한 사람들이 생겨날 것이며, 그때 우리는 문명에 끌려가지 말고 문명에 올라타 그것을 컨트롤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에 김성곤 평론가는 영화와 문학 작품을 통해 인공지능과 컴퓨터 테크놀로지가 인간 삶에 이용되면서도 오용되지 않기 위해 경계해야 할 지점들을 참조한다. 인공지능이라는 전대미문의 변화 역시 긴 역사의 시각으로 바라보면 대처하지 못할 것이 없다.
■ 생명 자본주의 시대의 중심 가치는 무엇인가?
이어령 교수는 생명 자본주의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그에 따르면 우리가 알고 있는 자본주의는 물질 자본주의이고, 증식하지 않는 것을 증식하는 것처럼 하는 유사 캐피털리즘이다. 그렇다면 그가 말하는 생명 자본은 무엇일까. 교육, 문화, 문학 같은 것들이 바로 생명 자본의 씨앗이 될 수 있다. 그것들은 무한대의 소비와 생산을 가능케 하는 것으로, 비용이 예정되거나 한정된 것이 아니며 과잉 생산되는 것도 아니다. 공기와 같고 물과 같은 것이다. 이에 대한 김성곤 교수의 해석은 생명 자본의 현실화와 가능성에 더 힘을 실어 준다. 끊임없이 증식하는 자본처럼 교양과 학식과 고매한 인격으로 불어나는 생명이라면, 그것은 분명 가치 있는 생명 자본이 될 수 있을 것이라는 희망이 그것이다.
두 사람의 문학 비평가가 나누는 대화답게 이 책은 문학을 문화와 문명과 연결하는 빛나는 통찰들로 가득하다. 수업 시간에 배웠던 「청산별곡」의 진짜 의미에서부터 『파친코』 이면의 현실에 이르기까지, 이어령 교수와 김성곤 평론가의 해박한 지식과 예리한 통찰이 빚어낸 이 책은 이어령 교수가 남기고 간 문학적, 문화적, 문명사적 유언과도 같다. 이제 독자인 우리가 유서가 아니라 유언을 듣는 태도로 그가 남긴 말들을 곱씹어볼 차례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김성곤(지은이)
뉴욕 주립대학교(버펄로)에서 영문학 박사 학위를 받았고, 컬럼비아대학교에서 비교문학 박사 과정을 수료했다. 2017년 뉴욕 주립대학교에서 명예 인문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2018년에는 조지 워싱턴대학교에서 초빙 석학교수로 강의했다. 2014년까지 서울대학교 영어영문학과 교수로 재직했으며, 서울대 언어교육원장, 출판문화원장, 미국학연구소장을 역임했다. 학계에서는 국제비교한국학회 회장, 문학과 영상학회 회장, 한국아메리카학회 회장, 현대영미소설학회 회장을 지냈으며, 정부에서는 문체부 산하 한국문학번역원장을 맡아 한국문학의 세계화를 위해 일했다. 현재 서울대학교 명예교수이자 다트머스대학교 객원 교수로 있다. 저서로 『문화로 보는 세상, 문화로 읽는 미래』, 『경계해체시대의 인문학』, 『문학의 명장면』, 『경계를 넘어서는 문학』, 『글로벌 시대의 문학』, 『뉴미디어 시대의 문학』 등이 있다. 우호인문학상, 김환태평론문학상을 수상했으며, 2018년 스페인 정부로부터 La Orden del Merito Civil (Cruz de Oficial) 훈장을 수훈했다.

Table of Contents
이어령 교수를 떠나보내며 9 서문 23 1부 바람과 물결 사이에서 본 문학, 문명, 문화 문학이란 무엇인가? _이어령 31 문학을 한다는 것의 의미 _김성곤 39 지식인은 누구이며,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가? _이어령 59 지식인과 작가의 본질과 본분 _김성곤 69 한국은 대륙 문명과 해양 문명의 연결점 _이어령 83 중국과 일본 사이, 중국과 미국 사이에 낀 한국 _김성곤 93 동서 문화의 융합과 퓨전 _이어령 133 동서 문화의 이해와 오역이 초래하는 오해 _김성곤 156 2부 인공지능 인공지능, 디지로그, 생명사상 _이어령 167 인공지능 시대의 전망과 문제점 _김성곤 181 드론의 시점 _이어령 205 드론과 메타버스 시대의 도래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_김성곤 210 현대의 은둔: 정보로부터의 도피 _이어령 213 이름 짓기와 정보 쓰레기, 그리고 탈진실 시대의 도래 _김성곤 220 ‘꼬부랑 할머니’의 무한한 가능성 _이어령 226 ‘꼬부랑 할머니’와 『아라비안나이트』 _김성곤 231 3부 이성, 자연, 문명 이성주의와 신비주의, 종(鐘)의 의미, 시작과 엔딩, 그릇 _이어령 237 종(鐘)의 상징, 현대의 폐차장, 우리는 모두 무언가를 담는 그릇 _김성곤 247 인간, 문화, 언어, 곤충 _이어령 254 프로메테우스, 에피메테우스, 판도라 _김성곤 274 오리엔탈리즘, 디아스포라,「파친코」와 디아스포라 _김성곤 278 자연과 문명: 「청산별곡」과 「헌화가」 _이어령 310 주자학 유교: 한국인의 과거 지향성과 당파성의 근원 _김성곤 325 과거로 되돌아가기, 귀족문화 _이어령 330 산업자본주의와 비인간화 _김성곤 340 4부 생명사상 생명 사상, 생명자본주의, 기호 _이어령 349 포스트모던 기호학: 기호는 거짓일 수도 있어 _김성곤 357 허먼 멜빌, 고양이 _이어령 363 고양이와 개를 통해 본 한국 문화 _김성곤 367 허먼 멜빌의 『모비 딕』 읽기 _김성곤 373 살만 루슈디의 『광대 샬리마르』 읽기 _김성곤 380 애니그마와 암호 해독 _이어령 384 엔트로피, 열림과 닫힘 _김성곤 393 우주선과 한반도 _이어령 400 트로피로서의 한반도 _김성곤 408 나가면서: 이어령 교수를 기억하며 4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