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59173 | |
005 | 20230926150216 | |
007 | ta | |
008 | 230922s2023 ulka b 000c kor | |
020 | ▼a 9791198047755 ▼g 94340 | |
020 | 1 | ▼a 9791198047731 (세트) |
035 | ▼a (KERIS)BIB000016850683 | |
040 | ▼a 244008 ▼c 244008 ▼d 211009 | |
082 | 0 4 | ▼a 323.042 ▼2 23 |
085 | ▼a 323.042 ▼2 DDCK | |
090 | ▼a 323.042 ▼b 2023 | |
100 | 1 | ▼a 신상범, ▼d 1966- ▼0 AUTH(211009)7131 |
245 | 1 0 | ▼a 우리 동네가 실험실이 된다면? : ▼b 리빙랩과 사회적 혁신 / ▼d 신상범, ▼e 조계원 지음 |
260 | ▼a 서울 : ▼b 버니온더문, ▼c 2023 | |
300 | ▼a 161 p. : ▼b 삽화 ; ▼c 21 cm | |
490 | 1 0 | ▼a 정치연구총서 ; ▼v 02 |
504 | ▼a 참고문헌: p. 161 | |
536 | ▼a 이 저서는 2017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한국사회과학연구의 지원을 받아 수행한 연구임 ▼g (NRF-2017S1A3A2066657) | |
700 | 1 | ▼a 조계원, ▼g 趙啓元, ▼d 1977-, ▼e 저 ▼0 AUTH(211009)88107 |
830 | 0 | ▼a 정치연구총서 ; ▼v 02 |
945 | ▼a ITMT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23.042 2023 | 등록번호 111885059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23-12-12 | 예약 예약가능(1명 예약중)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고려대학교 정치연구소에서 발행한 정치연구총서 시리즈 중 두 번째 책인 이 책은 리빙랩(Living Lab)이라는 하나의 혁신 메커니즘을 소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리빙랩이란 일반 시민, 정부, 대학, 기업, 전문가 등 다양한 행위자들이 협력해서 그들이 사는 지역에서 발견되는 특정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혁신적인 아이디어나 기술, 혹은 상품 등을 개발하는 다양한 실험을 진행하고, 시제품을 제작하는 등의 활동을 뜻한다. 이 활동은 과거의 전문적이고, 뛰어난 개인들의 연구실이나 실험실에서 했던 혁신이 아닌, 우리가 사는 지역의 구체적인 문제에서 출발해 그 문제와 관련이 있는 다양한 사람들의 협업에 의해 사회적인 방식으로 수행된다. 즉 리빙랩은 전문가가 아니어도 일반인 스스로가 혁신을 위해 도전할 수 있는 유연한 파트너십을 특징으로 하고 있으며, 우리가 사는 장소가 곧 실험실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리빙랩을 생소하게 느낄 수 있는 일반 독자를 위해 1장에서는 리빙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2장에서는 유럽의 리빙랩을 살펴본다. 3장에서는 한국의 리빙랩을 들여다보고, 4장에서는 대학 수업 기반 리빙랩 활동을 다양하게 소개한다. 리빙랩이 기존의 정치과정을 대체할 수는 없지만, 시민을 각성시키고 시민의 능력과 자질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할 수는 있다. 우리가 사는 장소를 변화시킬 수 있는 것은 깨어 있는 시민의 능력과 자질이다. 이 책을 통해 우리 사회 변화의 시작을 살펴보자.
정치학의 관점에서 리빙랩을 분석한다!
한국에서는 2010년대 초반에 리빙랩이 소개된 이후 전국에서 많은 리빙랩 사례가 생겨나고 있다. 한국은 비서구권 국가 중에서 리빙랩 활동을 가장 활발하게 하는 국가다. 한국의 리빙랩은 중앙집중식, 그리고 정부 주도형이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는데, 전형적인 상향식(bottom up)인 유럽식과 비교하면 장단점이 있다. 이 책에서는 유럽 도시들의 리빙랩과 한국의 리빙랩을 소개하며 비교하고 있다. 또한, 리빙랩의 개념과 역사, 국내외 현황, 중요성과 함의 등을 소개하고, 특히 대학 수업에서의 리빙랩 활동 사례를 통해 대학 수업 기반 리빙랩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리빙랩 활동 과정에서 사람들은 보통 자기 자신에게 가장 절실한 문제를 제기한다. 그 문제는 개인의 문제일 수도 있지만, 공동체의 문제일 수도 있다. 리빙랩은 물론 이러한 문제를 치료하는 만병통치약은 아니다. 또한, 기존 정치를 대체할 새로운 모델이 되기보다는 기존 정치의 단점을 보완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이러한 리빙랩의 효용에 대해 생각해보고, 내가 속한 지역에는 어떤 문제가 있는지, 그리고 그 문제가 어떤 기술이나 아이디어를 통해 해결할 수 있을지를 이 책을 읽고 고민하는 계기를 만들어보자.
정보제공 :

저자소개
조계원(지은이)
고려대학교 정치연구소 연구교수. 정치사상 전공으로 공화주의를 중심으로 한 현대정치이론과 감정이론을 현실 문제에 적용하는 데 관심을 가지고 연구하고 있다. 주요 역서로 『지배와 정의에 관한 일반이론』(2019), 『혐오와 수치심』(2015)이 있으며, 주요 논문으로 「온라인 행동주의와 집합 감정: 청와대 국민청원을 중심으로」(2021), 「직장 내 괴롭힘 방지와 일터 민주주의: 공화주의적 시각」(2019)이 있다.
신상범(지은이)
고려대학교 역사교육과를 졸업하고, 고려대학교에서 정치학 석사, 미국 인디애나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박사논문 주제는 중국의 무역 및 투자 자유화가 중국 환경정책의 제도화에 미친 영향이며, 미국정치학회의 과학기술 및 환경분과에서 2년에 한 번씩 수여하는 최우수 박사논문상(Virgina Welsh Best Dissertation Award)을 수상했다. 주로 중국 및 동아시아의 환경정치 및 환경협력을 연구해왔으며, 최근에는 지구환경정치의 행위자 중 도시에 초점을 맞추어 도시환경정 치, 순환경제와 리빙랩 등을 연구해왔다. 2006년 연세대학교 국제관계학과에 부임해 조교수, 부교수를 거쳐 현재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학부와 대학원에서 중국정치경제, 지구환경정치, 국제개발협력 등을 강의해왔다. 교내에서 총 2회의 최우수교육자상과 9회의 강의우수교수상을 수상했으며, 미국 오하이오주 마이애미 대학교와 보스턴의 브릿지워터 대학교에서 총 3회의 교수교환 여름학기 강의를 진행했다. 2021년에는 국제관계학과의 이론을 이용해 게임을 제작하는 수업인 국제관계와 게임 과목을 개설했고, 이 수업의 결과를 미국정치학회의 PS: Political Science & Politics에 논문으로 출판했다. 2020년에는 연세대학교 리빙랩연구센터를 설립해 센터장을 맡고 있으며, 원주지역을 중심으로 학생들과 함께 지역문제해결 활동을 진행하고 있다. 연세대학교 미래캠퍼스 동아시아국제학부장, 교수학습센터장, ACE사업 부단장 등을 역임했으며, 현재 연세대학교 빈곤문제국제개발연구원장 및 리빙랩연구센터장을 맡고 있다.

목차
들어가는 말 4 1장 리빙랩이란? 리빙랩의 핵심 특징 18 리빙랩의 단계들 25 리빙랩의 쟁점들 28 2장 유럽의 리빙랩 순환경제와 리빙랩 37 탄소중립과 리빙랩 47 유럽 리빙랩의 특징 58 3장 한국의 리빙랩 도입 및 확산 64 주민의 다양한 역할 70 한국 리빙랩의 특징 78 한국 정치와 리빙랩 87 그래도 남는 문제 98 4장 대학 수업 기반 리빙랩 활동 연세대학교 리빙랩연구센터 소개 106 시민 리빙랩 사례 109 학생 리빙랩 사례 114 대학 수업 기반 리빙랩 활동 분석 141 대학 리빙랩에서 대학의 역할 149 나가는 말 156 참고문헌 1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