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고쳐쓰기, 좋은 글에서 더 나은 글로 : 논문에서 대중서까지 공부하는 작가를 위한 글쓰기, 편집, 출판 가이드 (Loan 2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Germano, William P., 1950- 김미정, 역
Title Statement
고쳐쓰기, 좋은 글에서 더 나은 글로 : 논문에서 대중서까지 공부하는 작가를 위한 글쓰기, 편집, 출판 가이드 / 윌리엄 제르마노 지음 ; 김미정 옮김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고양 :   지금이책,   2023  
Physical Medium
287 p. : 삽화 ; 21 cm
Varied Title
On revision : the only writing that counts
ISBN
9791188554713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p. 279-281)과 색인수록
Subject Added Entry-Topical Term
Manuscripts --Editing Authorship Academic writing
000 00000n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58915
005 20230919103928
007 ta
008 230918s2023 ggka b 001a kor
020 ▼a 9791188554713 ▼g 0380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1 1 ▼a kor ▼h eng
082 0 0 ▼a 808.02 ▼2 23
085 ▼a 808.02 ▼2 DDCK
090 ▼a 808.02 ▼b 2023z1
100 1 ▼a Germano, William P., ▼d 1950-
245 1 0 ▼a 고쳐쓰기, 좋은 글에서 더 나은 글로 : ▼b 논문에서 대중서까지 공부하는 작가를 위한 글쓰기, 편집, 출판 가이드 / ▼d 윌리엄 제르마노 지음 ; ▼e 김미정 옮김
246 1 9 ▼a On revision : ▼b the only writing that counts
260 ▼a 고양 : ▼b 지금이책, ▼c 2023
300 ▼a 287 p. : ▼b 삽화 ; ▼c 21 cm
504 ▼a 참고문헌(p. 279-281)과 색인수록
650 0 ▼a Manuscripts ▼x Editing
650 0 ▼a Authorship
650 0 ▼a Academic writing
700 1 ▼a 김미정, ▼e▼0 AUTH(211009)87776
900 1 0 ▼a 제르마노, 윌리엄, ▼e
945 ▼a ITMT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808.02 2023z1 Accession No. 111884928 Availability In loan Due Date 2023-12-20 Make a Reservation Available for Reserve R Service M
No. 2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Newly arrived Books Corner/ Call Number 808.02 2023z1 Accession No. 151365725 Availability In loan Due Date 2024-02-13 Make a Reservation Available for Reserve R Service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808.02 2023z1 Accession No. 111884928 Availability In loan Due Date 2023-12-20 Make a Reservation Available for Reserve R Service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Newly arrived Books Corner/ Call Number 808.02 2023z1 Accession No. 151365725 Availability In loan Due Date 2024-02-13 Make a Reservation Available for Reserve R Service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윌리엄 제르마노가 편집자이자 저자, 글쓰기 강사이자 학자로서 그간 쌓은 글쓰기 노하우를 바탕으로 반드시 알아야 할 ‘고쳐쓰기의 방법론’을 핵심만 추려 짚어주는 책이다. 현재 쿠퍼유니온대학 영문과 교수로 재직 중인 윌리엄 제르마노는 컬럼비아대학교 출판부와 영국 루트리지 출판사에서 일하며 주디스 버틀러, 벨 훅스, 가야트리 스피박, 폴 드 만 등을 세계적 작가 반열에 올린 저명한 출판인이기도 하다.

이 책의 목적은 리포트, 학위논문, 학술논문, 학술서 등 학술적 글쓰기를 해야 하는 이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지침서가 되는 데 있지만, 글쓰기의 기본을 다룬다는 점에서 인문, 사회, 과학 분야 교양서를 집필하는 작가와 편집자에게도 이 책이 유용한 조언이 될 것이다.

“위대한 글쓰기는 존재하지 않는다.
오로지 ‘위대한 고쳐쓰기’만이 존재할 뿐”
좋은 글은 고쳐쓰기에서 나온다!

오스카 와일드는 “쉼표 하나를 삭제했다가 다시 붙여넣느라 오전 시간을 전부 허비했다”고 한다. 헤밍웨이는 《무기여 잘 있거라》의 마지막 문장을 서른아홉 번이나 고쳐썼고, 톨스토이는 《안나 카레니나》를 하도 많이 고쳐 초고의 형태를 알 수 없을 정도였다고 한다. 그중에도 ‘퇴고의 신’은 오노레 드 발자크다. 원고를 인쇄소에서 조판한 뒤에도 끊임없이 고쳤는데, 언론사나 출판사에서는 그를 위해 특별 교정지를 준비해야 했다고 한다. 한가운데에 활자를 찍고 위아래 양옆에 넓은 여백을 마련해 가필할 수 있도록 했다. 발자크는 여기에 고칠 문구와 더할 문장들을 빽빽하게 써넣었다. 여백이 모자라면 뒷면에 이어 쓰고, 그것도 부족하면 다른 종이에 따로 써서 풀로 붙였다. 위대한 작품은 이렇게 집요한 퇴고를 거쳐 탄생했다.
퇴고는 글쓰기의 마지막 단계다. 작가는 자신이 들일 수 있는 최선의 노력을 고쳐쓰기에 다 쏟아붓는다. 아무리 대단한 작가가 쓴 글이라도 충분히 고치지 않았으면 ‘작품’이 아닌 ‘원고’에 불과하다. 그만큼 퇴고는 글쓰기의 본질이다. 《고쳐쓰기, 좋은 글에서 더 나은 글로》는 윌리엄 제르마노William Germano가 편집자이자 저자, 글쓰기 강사이자 학자로서 그간 쌓은 글쓰기 노하우를 바탕으로 반드시 알아야 할 ‘고쳐쓰기의 방법론’을 핵심만 추려 짚어주는 책이다. 현재 쿠퍼유니온대학 영문과 교수로 재직 중인 윌리엄 제르마노는 컬럼비아대학교 출판부와 영국 루트리지 출판사에서 일하며 주디스 버틀러, 벨 훅스, 가야트리 스피박, 폴 드 만 등을 세계적 작가 반열에 올린 저명한 출판인이기도 하다. 이 책의 목적은 리포트, 학위논문, 학술논문, 학술서 등 학술적 글쓰기를 해야 하는 이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지침서가 되는 데 있지만, 글쓰기의 기본을 다룬다는 점에서 인문, 사회, 과학 분야 교양서를 집필하는 작가와 편집자에게도 이 책이 유용한 조언이 될 것이다.

“다듬는 과정을 즐기자. 나는 글쓰기는 좋아하지 않지만 고쳐쓰기는 아주 좋아한다. 특히 잘라내기를 좋아한다. 삭제키를 눌러 불필요한 단어나 문구나 문장을 없애는 것이다. 따분한 표현을 더 정확하고 빛깔 있는 말로 바꾸는 것도 좋아한다. 문장과 문장의 연결을 튼튼하게 만드는 것도 좋아한다. 단조로운 문장을 유쾌한 리듬과 우아한 선율이 있는 문장으로 고치는 것도 즐겁다. 작은 것을 하나하나 고쳐나가다 보면 내가 도달하고자 하는 곳에 좀 더 가까이 다가가고 있음을 느낄 수 있으며, 결국 그곳에 도달했을 때는 게임을 승리로 이끌어준 것이 글쓰기가 아니라 고쳐쓰기였음을 깨닫게 된다.”

“내 글을 이해하려면…”
글이 말하는 소리에 귀 기울여라!

고쳐쓰기란 단순히 오탈자를 잡아내고 오류를 수정하는 일이 아니다. 오히려 글의 의도를 더 분명히 벼리고, 자기 글을 바닥부터 찬찬히 생각해봄으로써 내가 하려는 말, 내가 가려는 방향, 그리고 독자를 특정 방향으로 이끌려는 이유를 명확히 하는 일에 가깝다. 또한 무엇을 놓쳤는지, 무엇이 방해가 되는지, 문장 배치나 어조는 적절한지 살핀다. 말해야 할 것, 말하지 말아야 할 것, 다른 방식으로 말해야 할 것도 염두에 둔다.
이때 도움이 되는 방법이 소리내어 읽기다. 짜임새 있는 좋은 글은 읽기에도 좋을 뿐 아니라 듣기에도 좋다. 저자는 ‘청각적 쓰기acoustic writing’이라 하여 소리내어 가다듬는 방식을 강조하는데, 여기에서 핵심은 ‘글이 직접 말할’ 수 있도록 반복해 낭독하고 듣는 것이다. 즉, 경청하기다. 이 과정에서 저자는 “단어 자체를 넘어 단어들이 이루는 층위와 기원, 간격과 휴지, 개념을 만들어나가는 크고 작은 모양새도 들을 줄 알아야 한다”고 강조한다.
좋은 글인지 엉성한 글인지는 써놓고 읽어 보면 안다. 좋은 글은 글의 모든 요소가 충실히 제 역할을 하는 덕분에 입에 착 감기는 것이 껄끄러움이 없다. 주제를 제시하면서 주장의 타당성을 충분히 보여주고, 오해를 바로잡고, 독자가 숨을 고르며 내용을 소화할 틈도 허락한다. 이런 글을 쓰려면 우선 초안을 반복해 읽고 듣고 하며 글이 내는 소리에 귀 기울여 한다. 귀―마음속에 있는 귀―는 글쓰기의 가장 소중한 도구다.

“중요한 것은 경청이다. 귀로 읽어야 할 것이 상당히 많다. 다시 읽고 또다시 들어야 할 것이 많다. 경청은 글쓰기와 퇴고 과정에서 다 필요하며, 이 책의 요지도 결국은 경청이라고 할 수 있다.”

‘글이라는 언어’로 만들어진 집은
3A(논지Argument, 구조Architecture, 독자Audience)가 탄탄하다

이른바 좋은 글이란 정확한 문장에 글쓴이의 논지Argument가 논리적으로 전개됐을 때다. 전달하고자 하는 주제가 명확해야 함은 물론이거니와 구조Architecture도 탄탄해야 한다. 하지만 아무리 잘 쓴 글이라도 독자Audience와 소통이 되지 않으면 그 또한 좋은 글이라고 할 수 없다. 고쳐쓰기 과정에서는 무엇보다 논지, 구조, 독자, 이름하여 3A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 이때 공간적 측면에서 글의 구성을 상상해보는 것이 도움이 된다. 글은 지면이라는 2차원 평면에 존재하지만 사실상 다양한 차원을 넘나들기 때문이다.
이 책에서 제안하는 3차원적 관점에서 글의 구성을 살피는 기본 원칙이 있다. 올려다보며 고쳐쓰기, 내려다보며 고쳐쓰기, 가로지르며 고쳐쓰기, 멀리 보며 고쳐쓰기가 바로 그것이다. 올려다보며 고쳐쓰기revising up는 미진한 부분, 빠진 부분을 덧붙여 채워 넣는 과정이고, 내려다보며 고쳐쓰기revising down는 필요 없는 부분을 없애는 과정이다. 이를 통해 재빨리 넘어갈 곳과 여유롭게 풀어 쓸 곳, 요약할 곳과 상세하게 기술할 곳을 파악하며 글의 논지를 강화할 수 있다. 가로지르며 고쳐쓰기revising across는 글의 내적 통일성을 다지는 과정이다. 이 단계에서는 단어, 문장, 문단 등 텍스트의 모든 단위가 하나의 구심점을 향해 가고 있는지 점검한다. 마지막으로 멀리 보며 고쳐쓰기revising out는 독자를 인식하는 과정이다. 이를 통해 글을 쓰는 최종 목표는 독자에 닿기 위함임을 상기할 수 있다.

“내가 쓰는 게 곧 나다.
원고를 고칠 때면 나 자신도 다듬게 된다”

작가 매기 넬슨은 말했다. “당신이 써놓은 것을 가만히 들여다보며 당신이 말하려던 것을 발견하라.” 고쳐쓰기는 글을 통해 전하려는 바를 자기 스스로 바르고 정확히 이해하는 첫 단계이자, 세상 밖으로 글이 나오기 전까지 자신의 생각을 정확히 글로 담아내는 마지막 단계다. 고쳐쓰기 과정에서 가장 어려운 과제이기도 한데, 이는 결국 “나는 왜 쓰는가”에 대한 질문으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글쓰기는 ‘나’를 향한다. 모든 학술적 텍스트에는 ‘나의 생각과 주장’이 드러나야 하고, 비평의 출발점도 ‘나는 이렇게 보았다’가 기본축이다. 소설과 에세이에도 ‘나만의 감성과 관점’이 담겨 있지 않으면 밋밋하다.
저자는 “글쓰기와 고쳐쓰기 모두 인간의 일이다”라고 말한다. 인간이 하는, 인간에 관한 일이라고. 벤저민 프랭클린은 스물두 살에 미리 써놓은 비문에서 이렇게 밝혔다. “인쇄업자 벤저민 프랭클린의 몸이, 그 내용이 진부해지고 글자와 금박도 다 벗겨진 오래된 책처럼 여기에 누워 벌레들의 먹이가 되길 기다린다. …하지만 다시 한번 신성한 작가의 손으로 교정되고 수정되어 더 새롭고 아름다운 책으로 태어나리.” 미국의 작가 너새니얼 매키는 〈안둠불루의 노래〉라는 시에서 우리 인간을 가리켜 “인간성에 점점 가까워지고 있는 초안”이라고 묘사했다. 어쩌면 우리는 쓰고, 고치며, 자기만의 수정본을 안고 살아가는 셈이다.
문을 쾅 닫아버리고 배움을 거부하지 않는 한, 우리는 끊임없이 배우고 성장하며 변화해간다. 더 나은 변화는 글을 쓰고 있는 책상 앞에서, 또 우리가 살고 있는 모든 공간에서 일어난다. 목표한 정도에 다다를 때까지 다듬고, 다시 고민하고, 고쳐쓰는 과정에서 말이다. 주의 깊게 글을 고치다 보면 차량 내비게이션이 “경로를 재탐색합니다”라고 말하는 것처럼 생각의 경로를 틀어야 할 때도 있다. 단 몇 분이라도 길을 잃었다고 생각될 때 고쳐쓰기를 하면 방향성 없는 경로에서 되돌아오게 된다. 때에 따라 적절히 경로를 다시 탐색해보자. 이것이야말로 길을 잃었을 때 배움을 얻는 직관적인 능력이자 경로에서 이탈했더라도 다시 길을 찾을 수 있는 방법이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윌리엄 제르마노(지은이)

미국 컬럼비아대학교에서 영문학을 공부하고 인디애나대학교 블루밍턴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컬럼비아대학교 출판부 편집주간을 지내며 가야트리 스비박, 폴 드 만, 폴 보베 등 세계 석학들의 저작을 출간했고, 영국 루트리지 출판사로 자리를 옮긴 후에는 주디스 버틀러, 벨 훅스, 마저리 가버 등과 작업하며 그들이 세계적인 작가 반열에 오르는 데 일조했다. 문학 및 문화 비평이론 분야에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로 평가받으며, 십수 년간 영미 전역을 누비며 작가이자 편집자로서 글쓰기와 출판 관련 강연과 세미나를 해왔다. 저서로는 《생각을 책으로 내기까지Getting It Published》, 《논문에서 책으로From Dissertation to Book》, 《교수요목Syllabus》(공역) 등이 있다. 현재는 뉴욕에 위치한 쿠퍼유니온대학교 예술과학부 학부장 겸 영문학 교수로 재직 중이다.

김미정(옮긴이)

전문 번역가로 활동하며 인문, 사회 분야의 책을 우리말로 옮기고 있다. 《완벽한 배색》, 《멘탈이 강해지는 연습》, 《최소 노력의 법칙》, 《감정 회복력》, 《행복에 걸려 비틀거리다》(공역) 등 다수의 책을 번역했다. 또한 국제 비영리단체에서 번역을 담당했던 경험을 바탕으로 국내외 비영리단체의 번역 작업을 맡아 진행하고 있다. 현재 소통인(人) 공감 에이전시에서도 활동 중이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1 시작 버튼을 눌러라
2 좋은 글에서 더 나은 글로
3 내 글을 이해하려면
4 논지를 찾을 것
5 구조를 세울 것
6 독자를 기억할 것
7 글이 원하는 것은 무엇일까
감사의 말
참고문헌
찾아보기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