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58900 | |
005 | 20230919171316 | |
007 | ta | |
008 | 230918s2023 ggk b 001c kor | |
020 | ▼a 9788925417936 ▼g 93370 | |
035 | ▼a (KERIS)BIB000016821707 | |
040 | ▼a 011001 ▼c 011001 ▼d 211009 | |
082 | 0 4 | ▼a 370.9519 ▼2 23 |
085 | ▼a 370.953 ▼2 DDCK | |
090 | ▼a 370.953 ▼b 2023z2 | |
100 | 1 | ▼a 이용길, ▼g 李容吉, ▼d 1961- |
245 | 2 0 | ▼a (주해) 한국교육사 / ▼d 이용길 |
246 | 0 | ▼i 한자표제: ▼a 註解 韓國敎育史 |
246 | 1 1 | ▼a Annotated history of Korean education |
260 | ▼a 파주 : ▼b 교육과학사, ▼c 2023 | |
300 | ▼a 429 p. ; ▼c 26 cm | |
504 | ▼a 참고문헌(p. 418-423)과 색인수록 | |
945 | ▼a ITMT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0.953 2023z2 | 등록번호 11188491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저자소개
이용길(지은이)
전북(全北) 남원(南原) 출생으로 본관(本貫)은 광주(廣州), 자(字)는 세욱(世旭), 호(號)는 성곡(誠谷)이며, 군장대학교 청소년교육지도과 교수이다. 5세부터 전북 남원시 보절면 성시리 756번지의 가숙(家塾)인 서당(書堂) 운산숙(雲山塾)에서 「명심보감(明心寶鑑)」, 「소학(小學)」, 「4서[논어(論語) ․ 맹자(孟子) ․ 중용(中庸) ․ 대학(大學)]」 등을 13세인 중학교 1학년(방과 후 ․ 방학) 때까지 배웠다. 1995학년도에 교육사 철학 전공으로 원광대학교 대학원에서 교육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원광대학교,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원광보건대학교, 전주교육대학교, 전주교육대학교 대학원, 전주비전대학교, 호원대학교, 군산중앙고등학교 등에서 교육학을 강의하였다. 육군 정치훈련 장교(중위), 한국교육사학회 이사, 참마음교육학회 이사, 사단법인 창조교육학회 이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민족대백과사전 교열위원 ․ 과제평가위원, 한국교육사학회 편집위원, 동신대학교 창업교육 및 창조프로그램 개발위원, 전북 교원단체 총연합회 대의원, 전주교육대학교 생명윤리 연구위원, 한국교육학회 이사 ․ 기획조직위원장, 대한민국 국회 정강정책(교육부문)위원, 원광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박사학위 논문심사위원, 고려대학교 대학원 고전번역협동과정 ․ 교육학과 박사학위 논문심사위원, 국방부 국방정신전력원 발전자문위원, 한국교육사학회장 등을 역임하였다. 2023년 현재 사단법인 창조교육학회 이사장, 학창교육연구소장, 삼정복지재단 이사, 한국교원단체 총연합회 대학교수 위원회 위원, 한국청소년연구원 청소년 전문가 패널단 등으로 활동하고 있다. 논문은 <성(誠)사상의 한국교육사적 전개와 지적성장>(2017) 외 64편이 있으며, 저서로는 「한국 신교육 백년사」(공저, 2001), 「창조교육의 사상과 실천」(공저, 2005), 「창조교육교수 ․ 학습의 이론과 실제」(2011), 「인간과 창조」(2013), 「창조교육론」(2017), 「창조교육사상」(2019) 등이 있다. 시집으로 <덕화향기 그윽하시니>(2008), <고은뜻 이어가리>(2017)와 시조집 <그러하니 然 마음을 따라 因 만났던가 緣>(2022)이 있고, 광주 민주항쟁 5.18 증언기록 소설 <그렇게 스러져 간 달맞이꽃 첫사랑>(2020)이 있다. 「21세기 한국인물사」(2005)에 교육 분야의 권위자로, 「한국인물사」(2011)에 창조교육이론의 권위자로 등재되었다. 2003년 한국교육사학회 학술상, 2009년 창조성 국제연합 우수 논문상, 2014년 대한민국 교육대상, 2017년 대한민국 무궁화 평화대상, 2018년 창조혁신 한국인 대상 등을 수상하였다.

목차
머리말 2 일러두기 4 제1장 한반도의 상고(上古)시대 문화와 교육 11 제1절 공동체 사회의 성립과 교육 11 제2절 상고시대 사회의 교육적 현상 18 제2장 부족연맹국가(部族聯盟國家) 시대의 교육 21 제1절 고조선(古朝鮮)의 교육 21 제2절 부족국가(部族國家)의 교육 28 제3장 삼국(三國)시대의 교육 31 제1절 시대적 배경과 교육 31 제2절 고구려(高句麗)의 교육 33 제3절 백제(百濟)의 교육 38 제4절 신라(新羅)의 교육 42 제4장 통일신라(統一新羅)와 발해(渤海)의 교육 47 제1절 시대적 배경과 교육 47 제2절 통일신라 국학(國學)의 교육 51 1. 설립 51 2. 직제 52 3. 입학자격과 수업 연한 53 4. 교육내용 53 5. 생활 분야의 전문 기술교육 54 제3절 독서삼품과[讀書三品科; 독서출신과(讀書出身科)] 55 제4절 발해의 교육 56 1. 유학(儒學)제도의 정비와 발달 56 2. 교육기관 57 제5절 교육사상가 60 1. 강수(强首; 생년대 미상~692) 60 2. 원효(元曉; 617~686) 61 3. 설총(薛聰; 658~몰연대 미상) 65 4. 최치원(崔致遠; 857~908) 68 제5장 고려(高麗)시대의 교육 71 제1절 시대적 배경과 교육 71 제2절 고려의 교육제도 74 1. 고려 초기의 학교 교육 74 2. 고려시대 관학(官學) 76 3. 고려시대 사학(私學) 86 제3절 과거제도와 교육 92 1. 과거제도의 성립과 내용 92 2. 과거제도와 학교 교육 99 제4절 교육사상가 101 1. 최충(崔沖; 984~1068) 101 2. 안향(安珦; 1243~1306) 104 3. 이집(李集; 1327~1387) 108 4. 이색(李穡; 1328~1396) 113 5. 정몽주(鄭夢周; 1337~1392) 117 제6장 조선(朝鮮) 시대의 교육 121 제1절 시대적 배경과 교육 121 제2절 조선 시대의 교육제도 124 1. 성균관(成均館) 124 2. 4학(四學) 135 3. 향교(鄕校) 139 4. 서원(書院) 144 5. 서당(書堂) 164 6. 종학(宗學) 172 7. 무학(武學) 교육 181 8. 생활 분야 전문기술[잡학(雜學)]교육 188 제3절 교육법규 및 교육규범 251 1. 경국대전의 교육 관계규정 251 2. 학령(學令) 253 3. 구재학규(九齋學規) 256 4. 유생경학권려절목[儒生經學勸勵節目; 지금에 와서는 진학절목(進學節目)이라고 한다] 257 5. 경외학교절목(京外學校節目) 259 제4절 과거제도와 교육 262 1. 문과소과[文科小科; 생원과(生員科)ㆍ진사과(進士科)] 263 2. 문과대과(文科大科) 265 3. 무과(武科) 267 4. 잡과(雜科) 268 5. 특별시(特別試) 과거 277 6. 과거제도와 교육 297 제5절 교육사상가 298 1. 권근(權近; 1352~1400) 298 2. 김인후(金麟厚; 1510~1560) 304 3. 이황(李滉; 1501~1570) 308 4. 조식(曺植; 1501~1572) 312 5. 이이(李珥; 1536~1584) 315 제6절 실학사상과 교육 319 1. 실학의 발생 319 2. 실학의 성격 321 3. 실학의 교육 326 4. 실학의 교육사상가 330 제7장 조선 시대와 대한제국의 근대교육과 일제 강점기 임시정부의 교육 337 제1절 시대적 배경과 교육 337 제2절 조선 시대 말기와 대한제국의 근대교육 339 1. 근대학교의 성립 339 2. 일본의 통감부 설치와 대한제국의 교육주권 상실 371 제3절 일제 강점기 임시정부의 교육과 일제의 식민지교육 377 1. 임시정부의 교육 377 2. 일제의 식민지 교육정책 381 제4절 교육사상가 382 1. 남궁 억(南宮 檍; 1863~1939) 382 2. 이승훈(李昇薰; 1864~1930) 386 3. 안창호(安昌浩; 1878~1938) 387 제8장 대한민국(大韓民國) 교육 391 제1절 시대적 배경과 교육 391 제2절 미군정기(美軍政期)의 교육 392 제3절 대한민국의 교육 394 1. 제1공화국의 교육 394 2. 제2공화국의 교육 397 3. 제3공화국의 교육 398 4. 제4공화국의 교육 400 5. 제5공화국의 교육 401 6. 제6공화국의 교육 403 7. 문민정부(文民政府)의 교육 405 8. 국민(國民)의 정부(政府)의 교육 406 9. 참여정부(參與政府)의 교육 407 10. 이명박정부(李明博政府)의 교육 408 11. 박근혜정부(朴槿惠政府)의 교육 409 12. 문재인정부(文在寅政府)의 교육 410 제4절 교육사상가 412 1. 이종록(李鍾祿; 1921~2016) 412 2. 한기언(韓基彦; 1925~2001) 415 참고문헌 418 발문 424 찾아보기 4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