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플랫폼 내러티브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권승태
Title Statement
플랫폼 내러티브 / 권승태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커뮤니케이션북스,   2023  
Physical Medium
xxiv, 102 p. ; 19 cm
Series Statement
커뮤니케이션이해총서
ISBN
9791128897566 9791128818004 (세트)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 수록
000 00000n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58868
005 20230920100742
007 ta
008 230918s2023 ulk b 000a kor
020 ▼a 9791128897566 ▼g 04300
020 1 ▼a 9791128818004 (세트)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303.48/33 ▼2 23
085 ▼a 303.4833 ▼2 DDCK
090 ▼a 303.4833 ▼b 2023z3
100 1 ▼a 권승태
245 1 0 ▼a 플랫폼 내러티브 / ▼d 권승태
260 ▼a 서울 : ▼b 커뮤니케이션북스, ▼c 2023
300 ▼a xxiv, 102 p. ; ▼c 19 cm
490 1 0 ▼a 커뮤니케이션이해총서
504 ▼a 참고문헌 수록
830 0 ▼a 커뮤니케이션이해총서
945 ▼a ITMT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03.4833 2023z3 Accession No. 111884893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윈도, 애플, 구글, 네이버, 유튜브, 넷플릭스,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어도비, 로블록스는 무엇을 말하고 있는 걸까. 이 책은 이 시대를 대표하는 플랫폼의 이미지를 설명하고 그 스토리를 이해하면서 그들의 정체를 파악하고자 한다.

그들은 기존의 낡은 성격과 단절하고 혁신을 이뤄 자기 성장과 함께 홍익을 실현한다. 이 책은 플랫폼을 하나의 주인공으로 보고 그 이미지와 변화 과정을 기술한다. 이는 플랫폼이 이미지와 행동으로 말하는 스토리를 내러티브로 일관되게 구성하는 것이다. 그 내러티브는 우리가 삶의 의미를 발견하고 세상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안경이 될 것이다.

플랫폼을 어떻게 설명하고 이해해야 하나
디지털시대, 플랫폼에 대한 총체적 이해 지침서, <플랫폼 내러티브>

“윈도를 켜 워드로 글을 쓰면서 유튜브 뮤직을 듣는다. 모르는 것이 있으면 챗GPT에게 물어 보거나 네이버 검색하거나 구글링을 한다. 애플워치에서 일어나라는 신호를 주면 기지개를 펴면서 일어나 잠깐 산책을 하며 카톡을 확인하고 페이스북에 올라온 친구들의 새로운 피드를 보면서 ‘좋아요’를 누른다. 밥을 먹기 전에 사진을 찍어 인스타그램에 올리고 자기 전에 넷플릭스에서 최신 드라마를 챙겨본다.”
저자가 제시하는 생활상이다. 이 범주에서 벗어나는 현대인들이 얼마나 될까? 우리 일상구조를 지배하고 있는, 그래서 우리 모두 그 틀 안에 살아가게 만드는 거대한 지배조직이 플랫폼이다. 불과 한 세대 정도의 짧은 시간 안에 인류가 이처럼 빠르게 한 흐름으로 진입해서 같이 흘러가게 만든 디지털 세계의 지배 문법이 플랫폼 말고 또 있을까? 디지털로 생각하고 표현하고 생활하고 관계하는 우리 인간의 놀이터 플랫폼의 모든 것을 소개하는 책이 나왔다. 우리가 아는 플랫폼의 모든 생태계를 한눈에 볼 수 있게 잘 지어낸 건축물 같다. 탄생부터 성장, 그리고 미래로의 진화까지 두루두루 살폈다. 영상문화학자 권승태의 <플랫폼 내러티브>다.

이 책은 디지털의 바다, 그리고 그 바다로 들어가서 노는 창이자 무대인 플랫폼의 모든 것을 다룬다. 플랫폼이 어떻게 태어났으며 어떤 성질을 지녔는지, 정체성과 캐릭터, 성장 스토리를 분석해 쉽게 설명해주는 책이다. 제조 플랫폼에서 생태계 플랫폼으로, 그리고 생산자와 소비자를 아우르는 양면 시장으로 진화해오는 플랫폼 세계를 상당히 재미있게 그렸다. 무엇보다 우리가 단 하루도 건너뛰지 않고 만나는 지식 플랫폼 구글과 생활 플랫폼 네이버, 방송 플랫폼 유튜브, 구독 플랫폼 넷플릭스, 소셜 플랫폼 페이스북, 표현 플랫폼 인스타그램, 예술 플랫폼 어도비 등 익숙한 10가지 플랫폼 친구들의 과거와 현재, 미래를 안내해 익숙하기도 하고 흥미롭기도 하다. 단절과 혁신의 드라마틱한 스토리도 가득하다.
플랫폼을 사용하기는 해도 플랫폼 언어를 읽지 못해 문맹자급인 디지털 이주민(digital immigrant)들, 즉 기성세대들에겐 한번 정리하고 넘어가기에 적합한 교양서 같다. 젊은 세대에게도 유용하다. 인터넷, 비디오게임, 모바일 기술 등을 신체의 일부처럼 활용하고 즐기지만 무비판적이고 맹목적 수용자 정도로 빠져버린 디지털 원주민(digital native)들에게도 좋은 지침서가 될 것 같다. 저자도 두 디지털족들에게 ‘새로운 리터러시’이자 ‘자기주도적 활용서’ 두 가지로 읽히길 바란다.

플랫폼을 이해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알려진 특징을 통해 캐릭터를 분석하고 플랫폼의 캐릭터가 어떻게 인터페이스와 콘텐츠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지, 그리고 플랫폼은 어떤 스토리를 갖고 성장했는지를 현실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한 글의 전개 구조도 일관적이면서 재미있다. 디지털 세계, 플랫폼의 바다를 일별하고자 하는 모든 이들에게 강력하게 추천한다. 과거에 대한 이해는 물론 미래에 대한 예측을 위해서도 유용하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권승태(지은이)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미디어영상학과 전임대우 강의교수다. 고려대학교에서 영상문화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Chapman University에서 Film & TV production 전공으로 MFA를 받았다. 성균관대학교에서 한국철학을 전공했다. 20년 이상 방송 영상 분야에서 프로듀서로 활동했다. 주요 저서로 『1인미디어기획제작』(2022), 『디지털영상편집』(2021), 『장마리 플로슈, 시각 정체성』(2016), 『영상스토리텔링의 일반원리』(2015), 『3막의 비밀: 스토리텔링의 보편적 법칙』(2012), 공역서로 『차이와 지속의 기호학, 비주얼 아이덴티티』(2017)가 있다. “영화 &lt에브리씽 에브리웨어 올앳원스&gt의 혼종적 스타일에 관한 연구”(2023), “미학적 관점에서 본 네이버와 구글의 시각 정체성: 웹사이트를 중심으로”(2023) 등 14편의 논문을 KCI 학술지에 게재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플랫폼의 시각적 설명과 서사적 이해

01 기술 플랫폼, 윈도
02 도구 플랫폼, 애플
03 지식 플랫폼, 구글
04 생활 플랫폼, 네이버
05 방송 플랫폼, 유튜브
06 구독 플랫폼, 넷플릭스
07 소셜 플랫폼, 페이스북
08 표현 플랫폼, 인스타그램
09 예술 플랫폼, 어도비
10 공생 플랫폼, 로블록스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이규연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