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58827 | |
005 | 20230919142755 | |
007 | ta | |
008 | 230918s2023 ulka 000c kor | |
020 | ▼a 9788993784770 ▼g 03550 | |
035 | ▼a (KERIS)BIB000016802780 | |
040 | ▼a 241018 ▼c 241018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0 | ▼a 355.02/17 ▼2 23 |
085 | ▼a 355.0217 ▼2 DDCK | |
090 | ▼a 355.0217 ▼b 2023 | |
245 | 0 0 | ▼a 하나의 세계, 아니면 멸망 : ▼b 원자 폭탄의 온전한 의미를 알리기 위한 대중 보고서 / ▼d 아인슈타인, ▼e 오펜하이머 외 15명 지음 ; ▼e 덱스터 마스터스, ▼e 캐서린 웨이 편집 ; ▼e 박유진 옮김 |
246 | 1 9 | ▼a One world or none : ▼b a report to the public on the full meaning of the atomic bomb |
260 | ▼a 서울 : ▼b 인간희극, ▼c 2023 | |
300 | ▼a 255 p. : ▼b 삽화 ; ▼c 25 cm | |
500 | ▼a 공저자: H. H. 아널드, 루이스 N. 리데노어, 한스 베테, 프레데릭 자이츠, E. U. 콘던, 할로 섀플리, 어빙 랭뮤어, 레오 실라드, 월터 리프먼, 해럴드 C. 유리, 필립 모리슨, 유진 P. 위그너, 게일 영 | |
500 | ▼a 부록: 2007년판 서문 | |
650 | 0 | ▼a Atomic bomb |
650 | 0 | ▼a Nuclear energy |
650 | 0 | ▼a Nuclear weapons |
650 | 0 | ▼a Nuclear warfare ▼x Moral and ethical aspects |
650 | 0 | ▼a Scientists' writings |
650 | 0 | ▼a Security, International ▼x Forecasting |
700 | 1 | ▼a Einstein, Albert, ▼d 1879-1955, ▼e 저 ▼0 AUTH(211009)100345 |
700 | 1 | ▼a Oppenheimer, J. Robert, ▼d 1904-1967, ▼e 저 |
700 | 1 | ▼a Arnold, H. H., ▼e 저 |
700 | 1 | ▼a Ridenour, Louis N., ▼e 저 |
700 | 1 | ▼a Bethe, Hans A., ▼e 저 |
700 | 1 | ▼a Seitz, F., ▼c Jr., ▼e 저 |
700 | 1 | ▼a Condon, Edward U., ▼e 저 |
700 | 1 | ▼a Shapley, Harlow, ▼e 저 |
700 | 1 | ▼a Langmuir, Irving, ▼e 저 |
700 | 1 | ▼a Szilard, Leo, ▼e 저 |
700 | 1 | ▼a Lippmann, Walter, ▼e 저 |
700 | 1 | ▼a Urey, Harold C., ▼e 저 |
700 | 1 | ▼a Morrison, Philip, ▼e 저 |
700 | 1 | ▼a Wigner, Eugene P., ▼e 저 |
700 | 1 | ▼a Young, Gale, ▼e 저 |
700 | 1 | ▼a Masters, Dexter, ▼e 편 |
700 | 1 | ▼a Way, Katharine, ▼d 1903-, ▼e 편 |
700 | 1 | ▼a 박유진, ▼e 옮김 |
900 | 1 0 | ▼a 아인슈타인, 알베르트, ▼e 저 |
900 | 1 0 | ▼a 오펜하이머, J. R., ▼e 저 |
900 | 1 0 | ▼a 아널드, H. H., ▼e 저 |
900 | 1 0 | ▼a 리데노어, 루이스 N., ▼e 저 |
900 | 1 0 | ▼a 베테, 한스, ▼e 저 |
900 | 1 0 | ▼a 자이츠, 프레데릭, ▼e 저 |
900 | 1 0 | ▼a 콘던, E. U., ▼e 저 |
900 | 1 0 | ▼a 섀플리, 할로, ▼e 저 |
900 | 1 0 | ▼a 랭뮤어, 어빙, ▼e 저 |
900 | 1 0 | ▼a 실라드, 레오, ▼e 저 |
900 | 1 0 | ▼a 리프먼, 월터, ▼e 저 |
900 | 1 0 | ▼a 유리, 해럴드 C., ▼e 저 |
900 | 1 0 | ▼a 모리슨 필립, ▼e 저 |
900 | 1 0 | ▼a 위그너, 유진 P., ▼e 저 |
900 | 1 0 | ▼a 영, 게일, ▼e 저 |
900 | 1 0 | ▼a 마스터스, 덱스터, ▼e 편 |
900 | 1 0 | ▼a 웨이, 캐서린, ▼e 편 |
945 | ▼a ITMT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55.0217 2023 | Accession No. 111884862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히로시마에 원자 폭탄이 떨어지고 불과 몇 달 후, 핵분열의 막대한 에너지 분출을 마침내 세상에 선보인 과학자들과 오펜하이머를 필두로 한 맨해튼 프로젝트의 주역들은 미국 과학자 협회(The Federation of American Scientists)를 긴급히 결성하여 한자리에 모였다. 인류가 불현듯 손에 쥐게 된 이 막대한 힘의 바탕에는 어떤 과학적 원리가 있으며, 앞으로 그 힘이 어떤 변화를 불러일으킬지 대중의 언어로 알려야 할 필요성을 느낀 그들은 각자의 영역에서 고찰하기 시작한다.
“과연 우리는 이 힘을 감당할 준비가 되어 있는가?” 그렇게 아인슈타인, 닐스 보어, 어빙 랭뮤어, 해럴드 유리, 아서 콤프턴과 같은 당대의 노벨상 수상자들과 이후 노벨상을 수상한 유진 위그너, 한스 베테, 그리고 퓰리처상을 수상한 전설적인 언론인 월터 리프먼, 현역 미 공군 참모총장 H. H. 아널드, 원자 폭탄의 아버지라고 일컬어지는 오펜하이머 등은 하나의 결론에 도달한다. “One World or None”, 하나의 세계, 아니면 멸망! 이제 그들의 강렬한 메시지를 최초의 한국어판으로 만나 보자!
천재들의 브레인스토밍
아인슈타인, 닐스 보어 등 무려 7명의 노벨상 수상자가 참여한 전설의 출판 프로젝트!
트리니티 실험, 히로시마, 나가사키… 인류사 최고 천재들이 인류사 최대 사건을 말하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의 세계, 그 도전과 전망이 한 권의 책으로 응축된다
전쟁의 시작과 과정은 복잡다단했지만, 전쟁의 끝은 단순했다. 방어 불가능한 무기, 그 등장은 강렬했고 모두가 숨을 죽였다. 누구도 말문을 떼지 못하던 그때, 두려움을 애써 밀어내며 입을 여는 사람들이 있었다. 바로 그 무기를 탄생시킨 장본인들이었다. 그들은 “사용설명서”를 작성해야 한다는 의무감을 느꼈다. 이 전례 없는 힘을 인류가 어떻게 다루어야 하는지, 그들조차 막막했지만 각자의 지성을 최대한 짜내어 한 권의 책으로 묶어 낸다. 이렇게 출간된
과학, 밀리터리, 국제정치… 각각의 마니아들을 위한 종합선물 세트!
아인슈타인, 닐스 보어, 어빙 랭뮤어, 해럴드 유리, 아서 콤프턴과 같은 당대의 노벨상 수상자들과 이후 노벨상을 수상한 유진 위그너, 한스 베테, 그리고 퓰리처상을 수상한 전설적인 언론인 월터 리프먼, 현역 미 공군 참모총장 H. H. 아널드 등
닐스 보어 vs. 아인슈타인, 천재들의 브레인스토밍!
“원자 재앙을 어떻게 피할까 하는 문제는 아직도 우리에게 매우 생소한 분야이다. 현재로서는 임시방편들 외에 제대로 된 해결책을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이며, 그 임시방편들이 좀 더 구체적이고 명확해지기를 바랄 수밖에 없다. 다음 장부터는 이 문제에 대한 일반적인 접근 방법들이 제시된다. 저자마다 접근 방법이 다르며 일부 의견은 정반대 관점을 취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유익한 토론과 논쟁의 출발점으로 볼 수 있다. 모든 저자가 동시에 한 가지 의견만을 가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다 같이 ‘하나의 세계’를 염원하고 있으며, 그 뜻을 이루기 위하여 여기에 제시된 제안들을 공정하고 신중하게 고려할 것을 촉구하고 있다는 점에서 모든 저자가 한마음 한뜻이다.”
이들이 밝힌 바와 같이
“앞서 서술된 개요가 현재 우세한 군사 강대국들에게 지나치게 지배적인 역할을 부여한다는 인상을 줄 수도 있다. 그러나 나는 이러한 과업의 본질에 내재된 문제보다는 훨씬 더 심각한 장애물들을 피하기 위하여, 신속한 현실화를 목표로 이 난제를 이해시키고 해결책을 제시하고자 노력하였다. 크고 작은 ‘모든’ 국가들보다는 최고의 군사 강대국들끼리 사전 협약에 도달하는 편이 한결 수월하다. 모든 국가에서 선발된 대변자 조직은 워낙 서투른 매개체인지라, 사전 결과를 신속하게
도출하는 데에도 애를 먹을 것이 뻔하기 때문이다”
이에 비해 닐스 보어의 관점은 온건적이지만 다소 모호하다.
“물론 이것은 지금까지 국익을 보호하기 위하여 반드시 필요하다고 여겨졌던 장벽이 제거되어야만 한다는 뜻이지만, 전례 없는 위기에 맞닥뜨린 지금, 바로 그 장벽이 공동 안보를 방해하고 있으므로 이는 합당한 조치이다. 이 위태로운 상황을 바로잡기 위해서는 모든 국가의 선의가 필요하다. 또한 문명사회에 치명적인 위협이 될지 모르는 문제를 해결해야만 한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우리는 확고한 기반을 모색해 세계 안보에 앞장서야 하며, 이는 기본 인권을 수호하기 위하여 단결하였던 모든 국가들이 현재 만장일치로 의견을 전하고 있는 부분이다.”
두 위대한 과학자가 양자역학 이외의 영역에서도 스타일상 이처럼 묘한 대립점에 서있는 것이 무척 흥미롭다. 그런데 이런 대립점은 한 인물 속에서 동시에 존재하기도 한다. 바로 오펜하이머! 원자 폭탄의 등장에 가장 주도적인 역할을 했던 그가 쓴 5장 “신무기: 서서히 옥죄이는 나사”를 보면 원자 폭탄이 보여준 가공할 만한 파괴성에 대한 경계과 동시에 참신함으로 가득 찬 과학적 성취에 대한 자부심이 은밀하게 읽히는 듯하다. 이처럼 인류사 최고 천재들의 내면까지 살필 수 있는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지은이)
독일 출신의 미국 이론물리학자. 300편이 넘는 과학 논문과 150편이 넘는 과학 이외 일반 분야에 대한 글을 발표했다. 그가 이룬 놀라운 업적과 지적인 독창성은 ‘아인슈타인’이란 단어를 ‘천재’란 말과 동의어로 대중들에게 각인되게 했다. 취리히 대학에서 박사 학위를 받은 1905년은 물리학에서 ‘기적의 해’라고 불리는데 ‘광전 효과’, ‘브라운 운동’, ‘특수 상대성이론’, ‘질량-에너지 등가 법칙’ 등 현대 물리학의 초석을 놓은 논문들을 잇달아 발표해 시간, 공간, 질량, 에너지에 대한 고전역학 이래의 개념을 바꾸어 놓았다. 베를린 과학 아카데미의 교수로 있다가 히틀러의 유대인 박해를 피해 미국으로 가 프린스턴 대학 고등연구소에서 생을 마칠 때까지 재직했다. 2차 대전 때 프랭클린 루즈벨트 미국 대통령에게 ‘극도로 강력한 새로운 유형의 폭탄’에 대한 경고 편지를 써서 맨해튼 프로젝트를 통해 원자탄이 개발되는 데 일조했지만 그것이 무기로 사용되는 것에 대해서는 비난했다. 말년에 인생의 가장 큰 실수로 루즈벨트 대통령에게 편지를 쓴 사실을 거론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전후 민주적인 세계 정부 수립이라는 이상을 강력히 옹호했고 대중들에게 핵무기와 전쟁의 위험을 경고하는 평화 운동에도 헌신했다. 냉전 체제가 고착화되던 1955년 버트란드 러셀과 함께 핵무기의 위험성을 경고한 러셀-아인슈타인 선언에 서명한 것이 그의 마지막 공식 활동이 되었다. 그가 죽기 불과 하루 전이었다.
닐스 보어(지은이)
핵 연구로 원자 시대 도래에 이바지한 인물로서 1922년, 서른일곱 살이라는 나이에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하였고 1943년에 나치를 피해 모국인 덴마크를 떠났다. 그리고 미국으로 넘어온 뒤 우라늄 프로젝트의 개발에 중대한 역할을 하였다.
J. R. 오펜하이머(지은이)
2차 세계 대전 전에 캘리포니아대학교 물리학 교수로 재직하였으며 그곳을 미국 내 가장 중요한 이론물리학의 요람으로 이끌었다. 전쟁 기간 동안에는 뉴멕시코주 로스앨러모스 연구소를 총괄하였다.
박유진(옮긴이)
가천대학교에서 회계학과 영문학을 복수 전공한 뒤 출판사에서 근무하다가 번역가로 전향하였고, 흥미로운 외서를 구내에 소개하기 위해 노력하며 번역에 전념하고 있습니다. 옮긴 책으로는 《그녀의 결혼을 막는 방법》 외 다수가 있으며, 현재 바른 번역 소속 번역가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Table of Contents
추천 _아서 H. 콤프턴 서문: 과학과 문명 _닐스 보어 1 만약 폭탄이 통제 불능 지경에 이르게 되면 _필립 모리슨 2 이것은 별과 함께 이어 온 오래된 이야기다. _할로 섀플리 3 원자 시대의 뿌리 _유진 P. 위그너 4 새로운 힘 _게일 영 5 신무기: 서서히 옥죄이는 나사 _J. R. 오펜하이머 6 원자 시대의 공군 _H. H. 아널드 7 방어는 불가능하다. _루이스 N. 리데노어 8 은밀한 전쟁에 도입된 신기술 _에드워드 U. 콘던 9 위기는 어디까지 왔는가? _프레데릭 자이츠 주니어 & 한스 A. 베테 10 원자 군비 확장 경쟁과 대책 _어빙 랭뮤어 11 그래서 결론이 뭘까? _해럴드 C. 유리 12 사찰 제도로 군비 경쟁을 방지할 수 있을까? _레오 실라드 13 원자 에너지의 국제 관리 _월터 리프먼 14 출구 _알베르트 아인슈타인 15 생사가 걸린 문제다. _미국 (원자) 과학자 협회 부록: 2007년판 서문 _리처드 로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