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58714 | |
005 | 20230918131552 | |
007 | ta | |
008 | 230915s2023 ulkad b 000c kor | |
020 | ▼a 9791163285113 ▼g 93370 | |
035 | ▼a (KERIS)BIB000016772435 | |
040 | ▼a 211015 ▼c 211015 ▼d 211009 | |
082 | 0 4 | ▼a 374 ▼2 23 |
085 | ▼a 374 ▼2 DDCK | |
090 | ▼a 374 ▼b 2023z1 | |
245 | 0 0 | ▼a 노인교육론 = ▼x For new normal, platform educational gerontology / ▼d 김미자 [외] |
246 | 1 4 | ▼a 뉴노멀, 초연결, 플랫폼시대의 노인교육론 |
260 | ▼a 서울 : ▼b 동문사, ▼c 2023 | |
300 | ▼a 371 p. : ▼b 삽화, 도표 ; ▼c 26 cm | |
490 | 1 0 | ▼a 평생교육 시리즈 |
500 | ▼a 공저자: 김정희, 배철우, 양원영, 이석진 | |
504 | ▼a 참고문헌: p. 355-371 | |
700 | 1 | ▼a 김미자, ▼e 저 ▼0 AUTH(211009)147212 |
700 | 1 | ▼a 김정희, ▼e 저 ▼0 AUTH(211009)156309 |
700 | 1 | ▼a 배철우, ▼e 저 ▼0 AUTH(211009)91625 |
700 | 1 | ▼a 양원영, ▼e 저 ▼0 AUTH(211009)156312 |
700 | 1 | ▼a 이석진, ▼g 李錫珍, ▼d 1962-, ▼e 저 ▼0 AUTH(211009)156311 |
830 | 0 | ▼a 평생교육 시리즈 |
945 | ▼a ITMT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4 2023z1 | 등록번호 11188476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경제성장에 따른 의학과 과학기술의 발달로 급격하게 평균수명이 연장되었다. 이러한 평균수명의 연장은 노인 인구의 증가라는 인구구조의 변화를 가져왔는데, 고령인구의 증가는 저출산 현상과 맞물려 다양한 사회문제를 야기시킨다. 100세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 모두에게 필요한 지식과 정보를 제공할 뿐 아니라 특별히 평생교육학을 공부하고 있는 분들에게 노인교육의 전문가로서 지식과 기술을 함양하는 데 목적을 두어 집필된 책이다.
경제성장에 따른 의학과 과학기술의 발달로 급격하게 평균수명이 연장되었다. 이러한 평균수명의 연장은 노인 인구의 증가라는 인구구조의 변화를 가져왔는데, 고령인구의 증가는 저출산 현상과 맞물려 인구 감소로 인한 노동력의 부족, 노인 부양 부담의 증가, 노인성 질환, 빈곤과 소외 등 다양한 사회문제를 야기시킨다. 특히, 우리나라는 압축적 경제성장으로 인해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노인 인구가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변화에 대응하여 노년기를 준비하는 데 노인교육의 역할이 그 중요성을 더하고 있다.
이에 이 책은 100세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 모두에게 필요한 지식과 정보를 제공할 뿐 아니라 특별히 평생교육학을 공부하고 있는 분들에게 노인교육의 전문가로서 지식과 기술을 함양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김미자(지은이)
숭실대학교 교육학 박사(평생교육 전공) 평택대학교 사회복지학 박사(사회복지 전공) 현) 구로구 시설관리공단 인사위원회 위원 양천구 생활보장위원회 위원 전) 숭실대학교 대학원 평생교육학과 초빙교수 숭실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초빙교수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빙교수 평택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외래교수
이석진(지은이)
숭실대학교 교육학 박사(평생교육 전공) 국민권익위원회 과장 현) 한국평생교육박사연구회 수석연구원 숭실대학교 부설 글로벌HRD 연구소 연구위원 한국평생교육학회, 평생교육 ? HRD학회, 한국지방자치학회 회원 한국노인학회, 한국성인교육학회, 한국과학교육학회 회원 경산시 서울사무소장
김정희(지은이)
숭실대학교 교육학 박사(평생교육 전공) 현) 온누리다문화평생교육원 원장 (2020년 레인보우스쿨 여성가족부 장관상 수상) 서초구가족센터 운영위원 서울사이버대학교 대우교수 건국대학교 강사 전) 웨스트민스터신학대학원대학교 조교수 강남대, 성신여대, 숭실대 강사
배철우(지은이)
숭실대학교 교육학 박사(평생교육 전공) 현) 한국평생교육박사연구회 부회장 숭실대학교 평생교육학과 겸임교수 백석예술대학교 보건복지학부 외래교수 배움사이버평생교육원 교수 서강독서교육연구소 소장 전) 협성대학교, 경민대학교, 동양대학교 외래교수
양원영(지은이)
숭실대학교 교육학 박사(평생교육 전공)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상담심리학 박사 현) 숭실대학교 글로벌미래교육원 심리학과 주임교수 임상미술심리상담전문가, 뇌교육전문가 한국정신치료학회 회원,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심사위원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이사

목차
PART 01 노인교육의 이해 Chapter 01 현대사회와 노인 제1절 인구 고령화에 대한 이해 제2절 인구 고령화에 따른 사회문제 Chapter 02 노인교육의 개념과 필요성 제1절 노인과 교육 제2절 노인교육의 개념 제3절 노인교육의 의의와 필요성 Chapter 03 노년학의 역사 제1절 노년학 성립과 발전 제2절 노년학의 교육적 영역 제3절 노년학과 노년교육 PART 02 노인학습자의 이해 Chapter 04 노인과 노화의 이해 제1절 노인의 개념 제2절 노화 제3절 노화에 대한 태도 제4절 노화 이론 제5절 성공적 노화 Chapter 05 노인학습자의 신체적·심리적 특성 제1절 노인학습자의 신체적 특성 제2절 노인학습자의 심리적 특성 Chapter 06 노인학습자의 사회적 특성 제1절 노인학습자의 사회적 특성과 사회적 노화이론 제2절 사회적 노화이론과 노인교육의 필요성 PART 03 노인교육의 방법과 현황 Chapter 07 노인교육의 방법 제1절 노인교육 원리 제2절 노인교육 방법 제3절 노인교육 평가 Chapter 08 우리나라 노인교육의 현황 제1절 노인교육에 대한 법적 근거 제2절 운영 주체별 노인교육 현황 제3절 연령대 및 성별 노인교육현황 Chapter 09 외국의 노인교육 제1절 미국 제2절 일본 제3절 영국 제4절 프랑스 제5절 독일 제6절 기타 국가 PART 04 노인교육의 실제 Chapter 10 노인 경제교육 제1절 노년기를 위한 경제적 준비 제2절 퇴직준비교육 제3절 노인과 경제활동 Chapter 11 노인 정신건강 교육 제1절 노인 정신건강 이해 제2절 노인 정신질환의 이해 제3절 노인 정신건강과 교육 Chapter 12 노인 심리상담 제1절 노인 심리상담의 이해 제2절 노인 심리상담 이론 제3절 노인 심리상담의 실제 Chapter 13 노인 문화예술 교육 제1절 노년을 위한 문화예술 교육 제2절 창의적 노화와 창조적 문화예술 교육 제3절 노인 문화예술 교육 프로그램 Chapter 14 노인 정보화 교육 제1절 노인 정보화 교육의 이해 제2절 노인 정보화 교육의 필요성 제3절 노인 정보화 교육을 위한 노인 유형과 교육방안 제4절 노인의 정보화 실태 제5절 요청되는 노인의 정보화교육 프로그램 유형 제6절 노인의 정보화교육 프로그램 실제 제7절 노인의 정보화교육의 과제 PART 05 노인교육의 과제와 전망 Chapter 15 노인교육의 과제와 발전 방향 제1절 노인교육의 현실과 과제 제2절 노인교육의 미래와 발전방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