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코헛의 프로이트 강의

코헛의 프로이트 강의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Kohut, Heinz, 1913-1981 Rubovits-Seitz, Philip F. D., 1921-, 저 이천영, 역
Title Statement
코헛의 프로이트 강의 / 하인즈 코헛, Philip F. D. Seitz 지음 ; 이천영 옮김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한국심리치료연구소,   2018  
Physical Medium
315 p. ; 23 cm
Varied Title
Kohut's Freudian vision
ISBN
9788997465378
Subject Added Entry-Topical Term
Psychoanalysis
주제명(개인명)
Kohut, Heinz,   1913-1981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58694
005 20230918174646
007 ta
008 230915s2018 ulk 000c kor
020 ▼a 9788997465378 ▼g 93180
035 ▼a (KERIS)BIB000014815723
040 ▼a 241018 ▼c 241018 ▼d 211009
041 1 ▼a kor ▼h eng
082 0 0 ▼a 150.19/5/092 ▼2 23
085 ▼a 150.195092 ▼2 DDCK
090 ▼a 150.195092 ▼b 2018
100 1 ▼a Kohut, Heinz, ▼d 1913-1981 ▼0 AUTH(211009)34556
245 1 0 ▼a 코헛의 프로이트 강의 / ▼d 하인즈 코헛, ▼e Philip F. D. Seitz 지음 ; ▼e 이천영 옮김
246 1 9 ▼a Kohut's Freudian vision
260 ▼a 서울 : ▼b 한국심리치료연구소, ▼c 2018
300 ▼a 315 p. ; ▼c 23 cm
600 1 0 ▼a Kohut, Heinz, ▼d 1913-1981
650 0 ▼a Psychoanalysis
700 1 ▼a Rubovits-Seitz, Philip F. D., ▼d 1921-, ▼e
700 1 ▼a 이천영, ▼e
900 1 0 ▼a 코헛, 하인즈, ▼e
945 ▼a ITMT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150.195092 2018 Accession No. 111884744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정신분석학에 대한 코헛의 강의개론은 이 책의 제1부에서 처음으로 발간되었다. 이 개론을 토대로 한 1963년 논문과 함께 이 강의 자료들은 코헛 전문지식의 유용성과 프로이트 이론의 독특한 통합으로서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다. 코헛은 자기심리학에서 제시했던 이론의 틀조차도 전통적인 정신분석에 대한 그의 헌신을 강조하였다.

정신분석학에 대한 코헛의 강의개론은 이 책의 제1부에서 처음으로 발간되었다. 이 개론을 토대로 한 1963년 논문과 함께 이 강의 자료들은 코헛 전문지식의 유용성과 프로이트 이론의 독특한 통합으로서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다. 코헛은 자기심리학에서 제시했던 이론의 틀조차도 전통적인 정신분석에 대한 그의 헌신을 강조하였다. 그는 자신이 이론적 구조를 공식화하는데 세가지 기준을 설정하였다. 첫째, “새로운 자기심리학은 전통적인 정신분석학 이론과 깨지지 않은 연속체로 이어져 있어야 한다.” 둘째, “특히 현대 자아심리학의 형태로 확장되어 비록 그 이론이 제한된 영역에서 적용된다 할지라도 고전적 이론들이 틀린 것도 시대에 뒤떨어진 것도 아니라는 사실을 무시해서는 안 된다.”셋째, 새로운 이론은 “독단적이고,최종적이 아니라, 발전가능성과 변화에 개방적이어야 한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하인즈 코헛(지은이)

자아심리학, 대상관계 이론, 인간주의 심리학의 영향을 받아 그의 자기 심리학을 개발했다. 그러나 대부분의 통찰들은 자기애적 장애를 가진 환자들에 대한 자신의 최초의 연구로부터 비롯되었다. 그는 많은 동료들과 학생들에 의해 시카고 정신분석학회에서 최고의 이론가이자 교수로 존경받았다.

이천영(옮긴이)

호서대에서 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한국예술종합학교 및 호서대학교 상담심리학과의 외래교수로 가르치고 있다. 대표 역서로 한국심리치료연구소의 <코헛의 프로이트 강의>와 <하인즈 하트만과 자아심리학>, <자기와 대상세계>가 있으며, 본서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은 그가 그간 강의와 연구를 통해 프로이트와 정신분석학에 대해 얻은 지식을 종합하고 녹여낸 첫 저서이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감사의 글
역자 서문
서 론

제1장 코헛의 정신분석학 강의(1958~1960)
제1강 정신분석학의 세 발달 시기
제2강 정신분석학의 시작
제3강 역동적 관점과 지형학적 관점
제4강 갈등,전이,그리고 유아성욕
제5강 적절한 좌절과 외상적 좌절, 기억과 환상 그리고 백일몽
제6강 심리적 외상과 경제적 관점
제7강 원초적 억압과 “실제 신경증”
제8강 발생학적 관점
제9강 증상형성
제10강 수직적 관점에서 본 증상형성
제11강 프로이트의 정신증 이론
제12강 우울증에 대한 프로이트의 이론과 전 오이디푸스 공포증
제13강 「꿈의 해석」 제7장
제14강 꿈의 망각
제15강 퇴행(Ⅰ)
제16강 퇴행(Ⅱ)
제17강 소원성취(Ⅰ)
제18강 소원성취(Ⅱ)
제19강 꿈의 기능(Ⅰ)
제20강 꿈의 기능(Ⅱ)
제21강 일차과정과 이차과정
제22강 무의식과 의식, 그리고 현실
제23강 정신분석 이론의 발달 2단계
제24강 우울증
제25강 구조적 모델과 중화
제26강 공격성(Ⅰ)
제27강 공격성(Ⅱ)
제28강 자아이상
제29강 자기애
제30강 이중 본능 이론
제31강 불안 개념의 변화
제32강 억압,증상,그리고 불안:제1,2,장
제33강 억압,증상,그리고 불안:제3,4장
제34강 억압,증상,그리고 불안:제5장

제2장 정신분석학의 개념과 이론(1963)
Heinz Kohut and Phillip F.D. Seitz

제3장 코헛의 프로이트 이론 종합 방법
Phillip F.D. Rubovits-Seitz

제4장 자기애와 자기심리학에 대한 코헛의 개념
:프로이트 이론의 연속성 Phillip F.D. Rubovits-Seitz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