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김대중 1차 망명과 반유신 민주화 운동

김대중 1차 망명과 반유신 민주화 운동 (Loan 1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류상영, 柳相榮, 1963- 정근주, 저 장신기, 저
Title Statement
김대중 1차 망명과 반유신 민주화 운동 / 류상영, 정근주, 장신기 공저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연세대학교 출판문화원,   2023  
Physical Medium
xviii, 182 p. : 삽화 ; 23 cm
Series Statement
연세대학교 김대중도서관 연구총서 ;5
ISBN
9788968507502
주제명(개인명)
김대중,   金大中,   1924-2009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58674
005 20230918085901
007 ta
008 230915s2023 ulka AQ 000c dkor
020 ▼a 9788968507502 ▼g 93910
035 ▼a (KERIS)BIB000016822606
040 ▼a 211046 ▼c 211046 ▼d 211009
082 0 4 ▼a 951.9043092 ▼2 23
085 ▼a 953.078092 ▼2 DDCK
090 ▼a 953.078092 ▼b 2023z2
100 1 ▼a 류상영, ▼g 柳相榮, ▼d 1963- ▼0 AUTH(211009)26350
245 1 0 ▼a 김대중 1차 망명과 반유신 민주화 운동 / ▼d 류상영, ▼e 정근주, ▼e 장신기 공저
260 ▼a 서울 : ▼b 연세대학교 출판문화원, ▼c 2023
300 ▼a xviii, 182 p. : ▼b 삽화 ; ▼c 23 cm
490 1 0 ▼a 연세대학교 김대중도서관 연구총서 ; ▼v 5
600 1 4 ▼a 김대중, ▼g 金大中, ▼d 1924-2009
700 1 ▼a 정근주, ▼e
700 1 ▼a 장신기, ▼e▼0 AUTH(211009)112003
830 0 ▼a 연세대학교 김대중도서관 연구총서 ; ▼v 5
945 ▼a ITMT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953.078092 2023z2 Accession No. 111884723 Availability In loan Due Date 2023-12-18 Make a Reservation Available for Reserve R Service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김대중도서관이 장기 프로젝트로 기획 중인 김대중 연구총서 시리즈의 다섯번째로, 올해 8월 8일 김대중 납치사건(1973년 8월 8일)발생 50주년을 기억하고자 특별히 기획·출간된 연구서다. 김대중 납치사건의 배경이 되는 유신정권 초기 김대중 망명 활동의 내용과 성격을 최초로 연구한 3편의 논문이 수록되어 있다는 점에서 학문적인 의미가 크다.

한편, 연세대 김대중도서관은 2003년 11월 개관한 아시아 최초의 대통령도서관으로, 민주주의·시장경제·평화 등 김대중 전 대통령이 추구한 인류 보편적인 가치를 연구하고 관련 사료를 수집, 제공하는 전문적인 학술연구기관이다.

이 도서는 김대중도서관이 장기 프로젝트로 기획 중인 김대중 연구총서 시리즈의 다섯번째로, 올해 8월 8일 김대중 납치사건(1973년 8월 8일)발생 50주년을 기억하고자 특별히 기획·출간된 연구서다.
김대중 납치사건은 한국 현대사와 한일관계에 있어 매우 큰 영향을 주었기 때문에 이와 관련한 조사와 연구는 상당수 이루어졌다. 그러나 납치사건의 배경이 되는 김대중 1차 망명 활동에 대한 연구는 전무했다. 때문에 이 책은 김대중 납치사건의 배경이 되는 유신정권 초기 김대중 망명 활동의 내용과 성격을 최초로 연구한 3편의 논문이 수록되어 있다는 점에서 학문적인 의미가 매우 크다.
한편, 연세대 김대중도서관은 2003년 11월 개관한 아시아 최초의 대통령도서관으로, 민주주의·시장경제·평화 등 김대중 전 대통령이 추구한 인류 보편적인 가치를 연구하고 관련 사료를 수집, 제공하는 전문적인 학술연구기관이다.

1) 이 책은 유신 정권 초기 미국과 일본에서 이뤄진 김대중 망명활동의 내용과 성격을 1차 사료에 근거해서 분석한 최초의 연구서라는 점에서 학문적인 의미가 크다. 김대중은 유신반대선언을 한 최초의 인물이엇다. 1972년 10월 17일 유신이 선포되었는데 그 다음날인 10월 18일에 일본 도쿄에 있던 김대중은 유신반대 성명을 발표했다. 이는 국내외를 통틀어서 최초의 유신반대 행동이라는 점에서 역사적 의미가 있다. 김대중은 1973년 8월 8일 일본 도쿄에서 중앙정보부 요원들에 의해 납치되기 전까지 일본과 미국을 오가면서 반유신 투쟁을 전개했는데, 이는 유신 정권 초기 이뤄진 민주화운동으로서 역사적 의미가 매우 크다. 그런데 이렇게 역사적 의미가 큰 김대중 망명활동에 대한 연구는 그동안 이뤄지지 않았었다. 이 연구는 미국과 일본에서 이뤄진 김대중의 망명투쟁을 활동지역별로 구분해서 치밀하게 분석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2) 김대중납치사건은 한국현대사와 한일관계에 있어 매우 큰 영향을 주었기 때문에 이와 관련한 조사와 연구는 많이 이뤄졌다. 그런데 정작 납치사건의 배경이 되는 김대중 1차망명활동에 대한 연구는 전무했다. 납치사건의 성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사건의 배경이 되는 김대중 1차망명에 대한 연구가 필수적임에도 그동안 납치사건 발생과 그 이후 전개 과정에 대한 내용이 주로 다뤄졌었다. 유신 정권은 김대중의 망명활동이 성공하는 것에 큰 부담을 느끼고 있었기 때문에 김대중의 자진귀국을 위해 온갖 회유와 협박을 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김대중은 귀국을 거부하고 망명투쟁을 이어가자 결국 납치사건을 일으켰고 김대중은 미국의 도움으로 구사일생 끝에 목숨을 건질 수 있었다. 김대중 1차망명활동과 납치사건은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다. 그렇기 때문에 이 책은 김대중납치사건의 배경을 이해하는 데에 큰 기여를 할 수 있다.

3) 이 책은 한국 민주화운동사 연구의 외연을 확장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김대중은 1차망명활동을 통해 미국인과 일본인을 상대로 한 국제연대 활동을 전개했고 해외 한인들의 역량을 국내 민주화운동의 동력으로 삼으려고 하는 등 한국 민주화운동의 지평을 크게 확장했다. 이와 같은 김대중의 활동은 그 이후 한국 민주화운동 전개 과정에서 큰 영향을 주었다. 김대중 1차망명활동은 한국 민주화운동을 국제적 관점에서 이해하는 데에 중요한 배경이 된다는 점에서 이 책의 의미는 크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류상영(지은이)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1995년에 박사학위를 받았다. 2002년부터 연세대학교 국제학대학원 교수로 한국과 동아시아 정치경제와 역사를 강의하고 있다. 학부에서부터 한국현대사에 관심이 많았고 역사적 사실과 정치경제적 이론을 접목하는 것을 연구의 본령으로 여겨 왔다. 포항제철 성공 요인에 관한 박사 논문을 준비하면서 박태준 회장과 장시간 인터뷰를 진행하였고 박정희 시대에 관한 많은 연구 논문을 발표하였다. 2004년부터 2009년까지 연세대학교 김대중도서관 관장으로서 전시실을 개관하고 사료를 발굴 보존하는 데 힘썼고, 이를 기초로 『김대중 연보 1924-2009』, 『김대중 저작목록집』, 『김대중전집 I』 등을 대표 집필하고 출간하였다. 아울러 40여 회에 걸친 인터뷰를 진행하여 〈김대중 구술사〉를 구축하였고 김대중에 관한 다수의 연구 결과를 출간하였다. 1995년부터 2001년까지 삼성경제연구소에서 수석연구원으로 근무한 바 있고, 이후 일본의 게이오대학과 캐나다의 브리티시 콜롬비아대학(UBC) 그리고 토론토대학(UofT)에서 방문 교수를 지낸 바 있다. 박정희와 김대중에 관한 그의 대표적인 연구로는, “박정희 정권의 산업화전략 선택과 국제정치경제적 맥락”(한국정치학회보, 1996); “한국의 경제발전 궤적과 박정희모델”(선인, 2006); The Park Chung Hee Era(Harvard University Press, 2011, 공저); “1962년 박정희의 통화개혁과 한국의 민족주의”(현대정치연구, 2020); “Chaebol”(Oxford University Press, 2022); 『김대중과 한일관계』(연세대 출판문화원, 2012, 국·일문, 공저); 『김대중과 대중경제론』(연세대 출판문화원, 2013, 국·영문, 공저); 『김대중과 한국야당사』(연세대 출판문화원, 2013, 국·영문, 공저); “日韓關係50年: 金大中外交を再考する”(立敎大學, 2015); The Spirit of Korean Development(Yonsei University Press, 2015); “한국 민족주의의 두 가지 길: 박정희와 김대중의 연설문 텍스트 마이닝”(현대정치연구, 2021, 공저) 등이 있다.

장신기(지은이)

연세대학교 김대중도서관 사료연구 담당. 연세대학교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고 2005년부터 김대중도서관에서 김대중아카이브 구축 및 관련 연구를 하고 있다. <김대중연보 1924-2009> 및 <김대중전집>(전30권) 출간의 실무책임을 맡았으며 저서로는 <성공한 대통령 김대중과 현대사>, <김대중과 중국>(공저) 등이 있다.

정근주(지은이)

일본 호쿠세이가쿠엔대학교 교수. 와세다대학교에서 국제관계학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동 대학교 오픈교육센터에서 부교수로 재직했다. 저서로 <한일관계에 있어서의 역사인식문제의 반복>, <김대중과 한일관계> (공저) 등이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Ⅰ. 제1차 망명기 김대중의 미국에서의 활동 : 류상영(연세대 국제학대학원 교수, 전 김대중도서관 관장)
1. 서론: 김대중의 인식과 전략, 그리고 활동
2. 유신 선포와 김대중의 망명 결심
3. 김대중의 미국에서의 활동과 네트워크
(1) 교포사회 민주화 세력과의 연대와 전략
(2) 미국 주요 인사들과의 네트워크와 전략
4. 미국의 한국에 대한 인식과 한미관계
(1) 박정희 정부의 미국에 대한 인식과 대응
(2) 미국의 유신정권에 대한 분석과 대응
5. 유신체제 직후 야당의 와해와 김대중 회유
6. 맺음말

Ⅱ. 김대중의 제1차 망명기 일본 활동의 의미-정계 및 언론계를 중심으로 : 정근주(호쿠세이가쿠엔 대학교 교수)
1. 들어가는 말
2. 김대중납치사건 이전의 한국 및 김대중에 대한 인식
3. 일본에서의 인적 네트워크 형성
(1) 정계 네트워크
(2) 언론계 및 『세카이(世界)』네트워크
4. 언론을 통한 김대중의 활동 및 주장
(1) 망명 투쟁의 이유 및 유신체재에 대한 반박
(2) 한국 민주주의 정착의 문제점: 국내적 요인
(3) 한국 민주주의 정착의 문제점: 국외적 요인
(4) 통일문제와 민주화
(5) 일본의 한국 인식에 대한 문제점과 김대중의 제언
(6) 민족주의자적 면모와 자주 의지의 표출
5. 맺음말

Ⅲ. 김대중의 1차망명활동과 한민통 구상 : 장신기(연세대학교 김대중도서관 사료연구 담당)
1. 들어가는글
2. 망명 직후, 일본과 미국에서의 활동
(1) 망명투쟁 결심 과정
(2) 망명 초기 일본에서의 생활과 활동
(3) 망명 초기 미국에서의 생활과 활동
(4) 해외 한인들을 기반으로 한 조직 결성을 결심하게 된 계기
3. 한민통 결성 : 시작과 진행과정
(1) 김대중과 재일 한인 민주화 세력이 결합하게 된 배경과 원인
(2) 김대중과 재미 한인 민주화 세력이 결합하게 된 배경과 원인
(3) 한민통이 결성되기까지
4. 한민통의 성격 : 노선
(1) 김대중과 해외 한인운동가들 사이의 입장 차이의 배경
(2) 대한민국 절대지지
(3) 선민주 후통일 노선
5. 한민통의 성격 : 조직과 활동방향
(1) 조직
(2) 활동방향
6. 납치직후 한민통의 변화 방향
(1) 조직 체계 변화
(2) 노선 : 유지와 변화의 양상
7. 결론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국립중앙박물관 (2022)
길승수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