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교육의 평등, 제3의 길 : 자크 랑시에르의 시선 (1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Bingham, Charles W. (Charles Wayne), 1961- Biesta, Gert, 1957- 이민철, 역
서명 / 저자사항
교육의 평등, 제3의 길 : 자크 랑시에르의 시선 / 찰스 빙햄, 거트 비에스타 저 ; 이민철 역
발행사항
서울 :   씨아이알,   2023  
형태사항
xlvii, 283 p. ; 23 cm
원표제
Jacques Rancière : education, truth, emancipation
ISBN
9791168561465
서지주기
참고문헌(p. 272-277)과 색인수록
일반주제명
Education --Philosophy
주제명(개인명)
Rancière, Jacques   Philosophy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58522
005 20230913091842
007 ta
008 230912s2023 ulk 001c kor
020 ▼a 9791168561465 ▼g 93370
035 ▼a (KERIS)BIB000016781746
040 ▼a 211014 ▼c 211014 ▼d 211009
041 1 ▼a kor ▼h eng
082 0 4 ▼a 370.1 ▼2 23
085 ▼a 370.1 ▼2 DDCK
090 ▼a 370.1 ▼b 2023z1
100 1 ▼a Bingham, Charles W. ▼q (Charles Wayne), ▼d 1961- ▼0 AUTH(211009)156084
245 1 0 ▼a 교육의 평등, 제3의 길 : ▼b 자크 랑시에르의 시선 / ▼d 찰스 빙햄, ▼e 거트 비에스타 저 ; ▼e 이민철 역
246 1 9 ▼a Jacques Rancière : ▼b education, truth, emancipation
260 ▼a 서울 : ▼b 씨아이알, ▼c 2023
300 ▼a xlvii, 283 p. ; ▼c 23 cm
504 ▼a 참고문헌(p. 272-277)과 색인수록
600 1 0 ▼a Rancière, Jacques ▼x Philosophy
650 0 ▼a Education ▼x Philosophy
700 1 ▼a Biesta, Gert, ▼d 1957- ▼0 AUTH(211009)34229
700 1 ▼a 이민철, ▼e▼0 AUTH(211009)156085
900 1 0 ▼a 빙햄, 찰스, ▼e
900 1 0 ▼a 비에스타, 거트, ▼e
945 ▼a ITMT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70.1 2023z1 등록번호 111884674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12-23 예약 예약가능 R 서비스 M

컨텐츠정보

책소개

교육과 사회의 양극화는 어제오늘의 문제가 아니다. 학생의 형편에 맞는 내용을 가르쳐야 하느냐, 태어난 환경은 달라도 모두에게 동일한 내용을 가르쳐야 하느냐 하는 논쟁은 끝없이 이어지지만 그 해답은 찾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서로 상반된 이 두 관점은 교육의 불평등을 전제로 평등한 상태로 나아가야 한다는 점에서는 동일하다.

교육의 평등, 배움의 평등은 교사, 교육행정가 등 교육 관련 종사자들뿐 아니라 많은 사람이 관심을 갖는 보편적 주제이다. 교육을 바라보는 랑시에르와 저자의 새로운 관점을 이해함으로써 평등한 교육이란 무엇인지, 그것을 실현하기 위해 어떻게 교육해야 하는지에 대한 시각을 넓힐 수 있기를 기대한다.

- 가르치는 데 있어 교사의 설명은 교육의 불평등을 연장할 뿐
- 교육의 평등은 학생이 스스로 지적 능력을 발휘하게끔 하는 의지를 통해 이루어야

“평등 교육을 바라보는 랑시에르의 새로운 시각”
교육과 사회의 양극화는 어제오늘의 문제가 아니다. 학생의 형편에 맞는 내용을 가르쳐야 하느냐, 태어난 환경은 달라도 모두에게 동일한 내용을 가르쳐야 하느냐 하는 논쟁은 끝없이 이어지지만 그 해답은 찾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서로 상반된 이 두 관점은 교육의 불평등을 전제로 평등한 상태로 나아가야 한다는 점에서는 동일하다.

위 두 관점과는 다르게 이 책은 논의의 기준점을 프랑스의 저명한 철학자 랑시에르(Ranciere)의 저작 『무지한 스승』에 두고, 교육의 평등에 대해서 제3의 관점을 이야기한다.
이에 따르면 아는 자가(교사)가 모르는 자(학생)에게 교육 내용을 설명함으로써 가르치는 방법은 교육의 평등을 끝없이 뒤로 미루는 것이다. 랑시에르는 이러한 ‘설명 프레임’에서 벗어나는 길을 조셉 자코토의 사례에서 찾았다.
자코토의 ‘보편적 가르침’의 사례를 통해 그는 ‘모든 사람은 동등한 지적 능력을 지니고 있다’는 것을 교육의 원리로 제시하며, 교사는 자신이 아는 것을 설명할 것이 아니라 학생의 의지를 북돋아 주는 역할만 하면 된다고 이야기한다.
교사가 할 일은 학생 스스로 자신의 지적 능력을 해방시키도록 돕는 일이다. 즉, 이 책에서는 교육의 평등을 위한 보편적 가르침은 지적 능력과 의지를 통해 자신이 스스로 배울 수 있는 이성적 존재라는 것을 깨닫게 해주는 것이라고 보고 있다.

교육의 평등, 배움의 평등은 교사, 교육행정가 등 교육 관련 종사자들뿐 아니라 많은 사람이 관심을 갖는 보편적 주제이다. 교육을 바라보는 랑시에르와 저자의 새로운 관점을 이해함으로써 평등한 교육이란 무엇인지, 그것을 실현하기 위해 어떻게 교육해야 하는지에 대한 시각을 넓힐 수 있기를 기대한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거트 비에스타(지은이)

아일랜드 메이누스 대학교 교수이자 스코틀랜드 에딘버러 대학교 교육대학의 교수이기도 하다. 네덜란드, 핀란드, 영국, 노르웨이, 스웨덴, 미국 등 여러 나라에서 연구 및 교육 등 다양한 학술활동을 해 왔으며 외국 출생으로서는 최초로 미국 교육철학학회 회장을 역임한 바 있다(2011-2012). 2019년 6월 22일 서울시립대학교에서 열렸던 &lt2019 학교민주시민교육 국제포럼&gt에서 기조강연을 하기도 했다. 『World Centred Education: A View for the Present』(Routledge, 2022), 『The beautiful Risk of Education』(Paradigm, 2013), 『Beyond Learning』(2006)(박은주 옮김, 『학습을 넘어서』, 교육과학사, 2022) 등 공저 포함 20권 이상의 저서가 있으며, 본 도서(『Jacques Ranciere: Education, Truth, Emancipation』)는 2011년 미국교육연구협회 B부문 우수 도서상 수상작이기도 하다.

찰스 빙햄(지은이)

캐나다 사이먼 프레이저 대학교(Simon Fraser University)의 교육학부 조교수이다. 철학적 관점에서 커리큘럼과 교육을 연구하며 인정, 권위, 진리 및 셀프 패션(self-fashioning) 같은 주제들이 교육과정과 교육적 상호작용에서 의미가 있다고 보고 이런 주제들에 포커스를 맞춘다. 『No Education Without Relation』(2004)의 공동 편집자이며 『Schools of Recognition: Identity Politics and Classroom Practices』(2001), 『Authority is Relational: Rethinking Educational Empowerment』(2008) 등의 저서가 있다. 사상적으로 니체, 푸코, 랑시에르, 데리다, 가다머, 프란츠 파농, 바흐친 등의 영향을 받았다.

이민철(옮긴이)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및 동 대학원을 졸업하였다. 중․고등학교에서 교사를 거쳐 교감, 교장 및 서울교육연구정보원 원장 역임 후 퇴임하였다. 제5대 서울시교육청 학생인권위원회 위원장으로 활동했으며 현재 복잡성교육학회 전임이사로 활동 중이다. 번역서로 『학습하는 학교』(공동, 2019), 『복잡계의 새로운 접근-복잡반응과정』(2022)이 있으며, 논문으로는 「서울 혁신미래교육 실현을 위한 교육과정 및 수업 ․ 평가 방안 연구」(공동, 2015), 「복잡반응과정의 교육적 의미」(2020), 「가르침과 배움 사이-복잡반응과정, 해체론, 그리고 랑시에르의 시선」(2023)이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옮긴이 서문

제1장 『무지한 스승』에 대하여
제2장 새로운 해방의 논리
제3장 랑시에르와 프레이리가 그리는 아이의 모습
제4장 포용의 문제
제5장 인정의 페다고지
제6장 교육의 진리, 해방의 진리
제7장 학습자, 학생, 말하는 자
제8장 결론: 세상은 학교가 아니다

미주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 및 역자 소개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