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58224 | |
005 | 20230911113345 | |
007 | ta | |
008 | 230911s2023 ulka b 001c kor | |
020 | ▼a 9791167071248 ▼g 93710 | |
035 | ▼a (KERIS)BIB000016841638 | |
040 | ▼a 211048 ▼c 211048 ▼d 211009 | |
082 | 0 4 | ▼a 808.04957071 ▼2 23 |
085 | ▼a 808.0497071 ▼2 DDCK | |
090 | ▼a 808.0497071 ▼b 2023 | |
245 | 0 0 | ▼a 작문교육론 / ▼d 권순희 [외]지음 |
250 | ▼a 개정판 | |
260 | ▼a 서울 : ▼b 사회평론아카데미, ▼c 2023 | |
300 | ▼a 514 p. : ▼b 삽화 ; ▼c 26 cm | |
490 | 1 0 | ▼a 사회평론 교육 총서 ; ▼v 17 |
500 | ▼a 공저자: 김경주, 송지언, 이영호, 이윤빈, 이정찬, 주재우, 변경가 | |
504 | ▼a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 |
700 | 1 | ▼a 권순희, ▼g 權純熙, ▼d 1969-, ▼e 저 ▼0 AUTH(211009)27206 |
700 | 1 | ▼a 김경주, ▼g 金敬珠, ▼d 1969-, ▼e 저 ▼0 AUTH(211009)68667 |
700 | 1 | ▼a 송지언, ▼d 1979-, ▼e 저 ▼0 AUTH(211009)135459 |
700 | 1 | ▼a 이영호, ▼g 李瑩鎬, ▼d 1974-, ▼e 저 ▼0 AUTH(211009)5298 |
700 | 1 | ▼a 이윤빈, ▼g 李允彬, ▼d 1977-, ▼e 저 ▼0 AUTH(211009)119034 |
700 | 1 | ▼a 이정찬, ▼g 李正贊, ▼d 1977-, ▼e 저 ▼0 AUTH(211009)15736 |
700 | 1 | ▼a 주재우, ▼g 朱才佑, ▼d 1976-, ▼e 저 ▼0 AUTH(211009)18554 |
700 | 1 | ▼a 변경가, ▼e 저 |
830 | 0 | ▼a 사회평론 교육 총서 ; ▼v 17 |
945 | ▼a ITMT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808.0497071 2023 | 등록번호 111884605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23-12-21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808.0497071 2023 | 등록번호 11188487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808.0497071 2023 | 등록번호 111884882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23-12-07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이 책은 작문의 이론적 기초, 작문 교육의 이해와 실제 등 작문 교육에서 꼭 가르쳐야 할 내용을 담았다. 우리의 교육 현실과 관련된 이론, 학생의 눈높이에 맞춘 사례, 최근의 교육과정과 연구 경향을 중심으로 작문 교육의 내용을 다루었으며, 특히 학생들이 작문의 기본을 학습할 수 있도록 실제적인 글쓰기 유형을 개별 장으로 구성하였다. 또한 온라인상에서의 쓰기, 인터넷과 SNS로 인한 정보의 생산과 수용 방식의 변화, 챗GPT를 활용한 글쓰기 등 새롭게 나타난 글쓰기 양상을 포함한 최신의 작문 교육 교재라 할 수 있다.
작문의 이론적 기초, 작문 교육의 목표와 방법 등 작문 교육을 위해 필요한 내용은 모두 담은 작문 교육의 기본서. 이번 개정판은 2022 개정 교육과정 중 ‘쓰기’ 영역과 ‘독서와 작문’에 나타난 성취기준, 제반 내용을 분석하였고, 인공지능 기술 발전에 따른 문식 환경의 변화와 챗GTP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등을 크게 보완하였다. 또한 작문 자동 채점 기술 및 IB 교육에 관한 내용을 보강하였다.
이 책은 크게 세 부로 구성되어 있다. 1부 ‘작문의 이론적 기초와 문식 환경의 변화’는 작문의 정의와 기능, 작문 이론의 발달사, 작문 환경의 변화에 따른 쓰기 교육의 변화를 다룬다. 2부 ‘작문 교육의 이해’는 국어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작문 교육과정의 변천사, 작문 교과서의 구성과 내용, 작문 교수·학습 및 평가의 방법을 개괄적으로 설명한다. 3부 ‘작문 교육의 실제’는 정보 전달을 위한 글, 설득하는 글, 표현적 글, 학습을 위한 글 등 교육과정에 나타난 다양한 종류의 글과 그 쓰기 방법, 그에 적합한 교수·학습법을 제시한다.
각 장은 관련된 이론, 역사, 최신 교육과정과 연구 경향을 두루 다루었다. 학생이나 작가, 기자가 직접 쓴 글을 사례로 내용을 설명하여 추상적인 내용에 좀 더 구체적으로 접근할 수 있다. 또한 생소한 용어를 해설할 수 있는 〈용어설명〉을 덧붙여 작문 교육의 관점에서 해당 용어를 이해할 수 있게 했으며, 다양한 도식과 사진자료를 통해 본문에 대한 이해를 확장하거나, 개념을 정리할 수 있게 했다. 마지막으로 장이 끝날 때마다 〈생각해봅시다〉를 통해 해당 장에서 다룬 내용을 돌아보고 생각을 확장할 수 있다.
현대 사회에서 작문은 단순한 글쓰기를 떠나 복합양식 쓰기로 개념이 바뀌고 있다. 또 한정된 공간에서의 쓰기가 아니라 삶과 밀착된 공간에서의 쓰기도 이루어지고 있다. 학교 현장에서도 이러한 변화를 반영한 작문 교육이 필요하다. 이 책이 작문 교육의 유토피아를 그리는 데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주재우(지은이)
전북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박사 「남북한 초등학교 쓰기교육 내용 비교」(2017, 공저) 「고전 속 도덕적 딜레마를 활용한 논술교육 연구」(2017) 『고전을 활용한 글쓰기교육』(2013)
김경주(지은이)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위원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박사 「표현 교육의 맥락에서 보는 이해와 표현의 요구와 외연」(2014) 「국어과 수업 전문성의 관점에서 보는 국어 교사의 수업 행위와 그 의미」(2012) 「국어과 수업 전문성 신장을 위한 초등교사 연수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연구」(2010)
이정찬(지은이)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위원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박사 「자기표현 글쓰기 교육의 비판적 검토-수사(修辭)와 탐구 그리고 정체성」(2017) 「근대적 문종 인식으로서 ‘설명’의 출현과 그 배경」(2015) 『근대 국어 교과서를 읽는다』(2015, 공저) 『문제해결을 위한 글쓰기와 발표』(2014, 공저)
권순희(지은이)
이화여자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박사 「남북한 초등학교 쓰기교육 내용 비교」(2017, 공저) 「초·중·고 북한 이탈 학생의 쓰기 양상 분석」(2016, 공저) 「문학적 글쓰기를 통한 총체적 사고력 신장 방안」(2011)
이윤빈(지은이)
덕성여자대학교 차미리사교양대학 교수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 『담화통합 글쓰기: 과제표상과 텍스트의 구성』(2017) 『대학 글쓰기 연구와 텍스트 해석』(2015, 공저) 「필자의 쓰기 수준에 따른 유형별 텍스트의 화제 구조 분석 연구」(2014)
송지언(지은이)
홍익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박사 「한국어 쓰기 교육을 위한 ‘세 문장 쓰기’ 과제 개발 연구」(2017, 공저) 「평가자에 따른 작문 평가 결과의 비교 연구」(2016) 「작문 교과서의 논설문 수록 양상과 개선 방안」(2015)
이영호(지은이)
계명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박사 「최명길의 상소문에 나타난 글쓰기 방법 연구」(2016) 「자기 발견을 위한 중등학교 글쓰기 교육의 방향」(2014) 『국어교과논술교육론』(2012)
변경가(지은이)
서원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 이화여자대학교 국어교육과 박사 수료 「초·중등 학습자의 쓰기 개념화 양상 연구」(2017) 「초·중·고 북한 이탈 학생의 쓰기 양상 분석」(2016, 공저) 「초등학생의 국어 능력에 대한 교사의 인식 양상」(2014, 공저)

목차
개정판 머리말 머리말 1부 작문의 이론적 기초와 문식 환경의 변화 1장 쓰기의 본질 및 쓰기 발달 단계 1 쓰기란 무엇인가 2 쓰기 능력은 어떻게 발달하는가 3 쓰기는 어떤 역할을 하는가 2장 쓰기 이론의 전개 1 쓰기 이론은 어떻게 전개되어 왔는가 2 결과 중심 쓰기 이론 3 과정 중심 쓰기 이론 4 대안적 쓰기 이론 3장 쓰기의 과정 1 쓰기는 어떤 과정을 거치는가 2 쓰기 과정 모형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4장 쓰기의 전략 1 쓰기 전략이란 무엇인가 2 계획하기 전략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3 내용 생성하기 전략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4 내용 조직하기 전략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5 표현하기 전략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6 고쳐쓰기 전략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5장 변화된 문식 환경과 작문 교육의 역할 1 문식 환경은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가 2 문식 환경 변화에 따른 표현 양상의 실제는 어떠한가 3 작문 교육 변화의 방향은 어떠해야 하는가 2부 작문 교육의 이해 6장 작문 교육과정 1 작문 교육과정은 어떻게 변화되어 왔는가 2 교수요목~제3차 교육과정-경필 시대의 작문 교육과정 3 제4차 교육과정-수사학 이론으로 재구성된 작문 교육과정 4 제5차~제7차 교육과정-인지주의 이론을 도입한 작문 교육과정 5 2007과 2009·2011 개정 교육과정-사회구성주의 이론과의 통합을 모색한 작문 교육과정 6 2015와 2022 개정 교육과정-핵심 역량으로 재편된 작문 교육과정 7장 작문 교과서 1 작문 교과서는 어떻게 구성되는가 2 교과서에 작문 이론은 어떻게 반영되어 있는가 3 교과서에 반영된 작문 이론을 어떻게 분석할 수 있는가 4 실제성을 높이는 작문 교과서는 어떠한가 8장 작문 교수·학습 방법 1 작문 교수·학습의 원리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2 작문 교수·학습의 방법은 어떠한가 3 작문 교수·학습은 어떻게 실행되어야 하는가 9장 작문의 평가 1 작문 평가란 무엇인가 2 작문 평가에서 중요한 요소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3 작문 평가에는 어떤 유형들이 있는가 4 작문 자동 채점 기술 어디까지 왔는가 3부 작문 교육의 실제 10장 정보 전달의 글쓰기 1 정보 전달의 글쓰기란 무엇인가 2 교육과정에 정보 전달의 글쓰기는 어떻게 나타나 있는가 3 정보 전달의 글, 어떻게 쓰는가 4 정보 전달의 글에는 어떤 것이 있으며, 어떻게 가르치는가 11장 설득하는 글쓰기 1 설득하는 글쓰기란 무엇인가 2 교육과정에 설득하는 글쓰기는 어떻게 나타나 있는가 3 설득하는 글, 어떻게 쓰는가 4 설득하는 글에는 어떤 것이 있으며, 어떻게 가르치는가 12장 표현적 글쓰기 1 표현적 글쓰기란 무엇인가 2 교육과정에 표현적 글쓰기는 어떻게 나타나 있는가 3 표현적 글쓰기, 왜 가르치는가 4 표현적 글에는 어떤 것이 있으며, 어떻게 가르치는가 13장 학습을 위한 글쓰기 1 교육과정에 학습을 위한 글쓰기는 어떻게 나타나 있는가 2 학습과 쓰기는 어떤 관계가 있는가 3 작문 교육은 교과 학습에서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가 4 학습을 위한 글쓰기에는 어떤 것이 있으며, 어떻게 가르치는가 찾아보기 집필진 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