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57378 | |
005 | 20230904153545 | |
007 | ta | |
008 | 230904s2023 ulka b 001c kor | |
020 | ▼a 9791167071163 ▼g 93370 | |
035 | ▼a (KERIS)BIB000016838093 | |
040 | ▼a 211062 ▼c 211062 ▼d 211009 | |
082 | 0 4 | ▼a 495.7071 ▼2 23 |
085 | ▼a 497.071 ▼2 DDCK | |
090 | ▼a 497.071 ▼b 2023z3 | |
100 | 1 | ▼a 박재현, ▼g 朴宰賢, ▼d 1971- ▼0 AUTH(211009)102846 |
245 | 1 0 | ▼a 화법 교육을 위한 의사소통 이론 / ▼d 박재현 지음 |
246 | 3 0 | ▼a 의사소통 이론 |
250 | ▼a 3판 | |
260 | ▼a 서울 : ▼b 사회평론아카데미, ▼c 2023 | |
300 | ▼a 376 p. : ▼b 삽화 ; ▼c 26 cm | |
490 | 1 0 | ▼a 사회평론 교육 총서 ; ▼v 11 |
500 | ▼a 이전판의 표제는 '국어 교육을 위한 의사소통 이론'임 | |
504 | ▼a 참고문헌(p. 365-373)과 색인수록 | |
740 | 0 | ▼a 국어 교육을 위한 의사소통 이론 |
830 | 0 | ▼a 사회평론 교육 총서 ; ▼v 11 |
945 | ▼a ITMT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497.071 2023z3 | 등록번호 111884403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23-12-07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497.071 2023z3 | 등록번호 11188463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이 책은 2014년 우수학술도서로 선정된 ‘국어 교육을 위한 의사소통 이론’의 개정판이다. 원활하고 성공적인 의사소통에 요구되는 긍정적인 자아 개념의 확립과 공감적 듣기, 대화의 기본 원리 그리고 신뢰와 감성, 논증을 활용한 설득 전략 등을 다양한 사례를 들어 가며 깊이 있게 분석했다. 화법 역량을 신장하는 데 필요한 대화, 면담, 토의, 토론, 협상, 발표, 연설과 관련된 24개의 주제를 12개의 장에 담아 소개하였다.
그 어느 때보다 소통의 중요성이 증대한 오늘, 이 책은 '공감'을 중심으로 효과적으로 의사소통하고 서로에게 위로를 전하는 방법을 소개한다. 이 책에서 다루는 의사소통과 관련한 개념은 의사소통을 위한 자기 점검에서부터 인간관계를 위한 자기 노출과 공감, 대화를 원활하게 만드는 비언어 의사소통, 소통의 전제가 되는 언어공동체 등 개인의 내면에서부터 인간사회까지 그 범위가 확장된다. 또한 연설, 논증, 토론, 토의, 협상, 면담, 발표 등 여러 가지 의사소통의 양식을 구체적으로 다루고 있다. 의사소통과 관련한 기본 개념을 풍부하게 이해하고 이론적 배경을 다지는 데에도 도움이 되지만, 무엇보다 초·중·고등학교에서 학생들에게 화법을 가르치는 교사와 예비 교사들에게 도움이 될 것이다.
이 책은 총 12부 24개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장은 도입부를 통해 해당 주제를 다루는 이유, 이 장의 내용이 앞의 내용과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친절하게 소개한다. 본문에서는 각 장에서 다루는 주요 개념과 그 이론적 배경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다양한 사례도 포함하고 있다. 특히 ‘화법 교사 메모’를 통해 교사들이 화법을 가르칠 때 유의해야 할 점, 참고하면 좋을 점을 설명한다. 마지막으로 ‘화법 교육 방향’은 각 장에서 배운 핵심 개념을 갈무리하며, 화법 교육에서 유의해야 할 점을 설명한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목차
3판 머리말 머리말 I. 자아 개념과 의사소통 불안 1. 의사소통과 자아 개념 1) 자아 개념의 형성 과정 2) 자아 개념과 의사소통 방식 2. 의사소통 불안 1) 의사소통 불안의 개념 2) 의사소통 불안의 유형 3) 의사소통 불안의 원인 4) 의사소통 불안의 대처 방법 II. 자기 노출과 공감적 대화 1. 자기 노출 1) 자기 노출의 개념 2) 자기 노출의 효능 3) 자기 노출의 차원 4) 자기 노출의 방법 2. 공감적 대화 1) 공감적 듣기의 개념 2) 공감적 듣기의 방법 3) 감정 표현의 방법: 비폭력 대화 III. 대화의 원리 1. 협력의 원리 1) 협력의 원리 2) 대화 함축 2. 예의의 원리 1) 예의 규칙 2) 공손성의 원리 3) 예의 이론 IV. 비언어 의사소통 1. 비언어 의사소통의 본질 1) 비언어 의사소통의 개념 2) 비언어 의사소통의 유형 2. 비언어 의사소통의 사용 1) 비언어 의사소통의 기능 2) 비언어 의사소통의 사용 원리 V. 의사소통 문화와 언어 공동체 1. 문화적 차원 1) 고-맥락 문화와 저-맥락 문화 2) 문화적 차원 이론 2. 언어 공동체 1) 언어 공동체의 사전적 정의 2) 언어 공동체의 변수 3) 언어 공동체의 조건: 담화 관습 4) 언어 공동체의 범위: 중층과 중복 5) 담화 공동체 VI. 발표와 연설을 위한 설득 메시지 조직 1. 동기화 단계 조직 1) 설득 메시지 조직의 유형 2) 동기화 단계 조직의 기원 3) 동기화 단계 조직의 세부 단계 4) 동기화 단계 조직의 특성 5) 청자 입장에 따른 동기화 단계 2. 내용 연결 표현 1) 내용 연결 표현의 개념 2) 내용 연결 표현의 성격 3) 내용 연결 표현의 유형 4) 내용 연결 표현의 기능 VII. 청자 분석 1. 청자 분석의 원리 1) 청자 분석의 중요성 2) 정교화 가능성 모형 2. 청자 분석과 메시지 조직 1) 메시지 조직의 핵심 변인 2) 핵심 변인의 종합적 적용 VIII. 화자의 공신력과 감성적 설득 전략 1. 화자의 공신력 1) 화자의 공신력의 기원 2) 화자의 공신력의 개념 3) 화자의 공신력의 차원 4) 화자의 공신력 신장 방안 2. 감성적 설득 전략 1) 감성적 소구의 개념 2) 감성적 소구의 중요성 3) 감성적 소구의 유형 4) 감성적 소구의 사용 전략 IX. 논증: 이성적 설득 전략 1. 논증의 원리 1) 논증의 개념 2) 논증의 조건 3) 논증의 요소 4) Toulmin의 논증 모형 2. 논증의 방법과 오류 1) 연역 논증 2) 귀납 논증 3) 인과 논증 4) 유추 논증 5) 기타 오류 유형 X. 토론 1. 토론의 본질 1) 토론의 성격 2) 토론의 목적 3) 토론의 논제 4) 토론의 규칙 5) 토론의 유형 2. 토론의 방법 1) 입증 책임 2) 필수 쟁점 3) 입론 모형 4) 반대 신문 XI. 토의와 협상 1. 토의 1) 토의의 개념과 유형 2) 토의 참여자의 역할과 태도 3) 토의의 절차 4) 토의의 소통 방법 5) 토의 문제 상황 대처 방법 6) 집단사고의 증상과 예방 7) 회의의 원칙 2. 협상 1) 협상의 개념 2) 협상의 원리 3) 협상의 절차 4) 협상의 전략 XII. 면담과 발표(프레젠테이션) 1. 면담 1) 면담의 본질 2) 면담의 절차 3) 면담 질문 방법 4) 면접 5) AI 면접 2. 발표 1) 발표의 본질 2) 발표의 내용 구성 3) 매체 자료 설계와 제작 4) 발표의 표현 전략 5) 청중과 상호작용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