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음악 비평·해석·분석

음악 비평·해석·분석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송무경, 1971- 정혜윤, 鄭惠允, 1973-, 저
Title Statement
음악 비평·해석·분석 / 송무경, 정혜윤 지음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연세대학교 대학출판문화원,   2020   (2021 2쇄)  
Physical Medium
ix, 270 p. : 삽화, 악보 ; 23 cm
ISBN
9788968504273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p. 256-263)과 색인수록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57345
005 20230906135220
007 ta
008 230904s2020 ulkag b AQ 001c kor
020 ▼a 9788968504273 ▼g 93670
035 ▼a (KERIS)BIB000015686335
040 ▼a 011001 ▼c 011001 ▼d 211009
082 0 4 ▼a 780.15 ▼2 23
085 ▼a 780.15 ▼2 DDCK
090 ▼a 780.15 ▼b 2020z11
100 1 ▼a 송무경, ▼d 1971- ▼0 AUTH(211009)155710
245 1 0 ▼a 음악 비평·해석·분석 / ▼d 송무경, ▼e 정혜윤 지음
260 ▼a 서울 : ▼b 연세대학교 대학출판문화원, ▼c 2020 ▼g (2021 2쇄)
300 ▼a ix, 270 p. : ▼b 삽화, 악보 ; ▼c 23 cm
504 ▼a 참고문헌(p. 256-263)과 색인수록
700 1 ▼a 정혜윤, ▼g 鄭惠允, ▼d 1973-, ▼e▼0 AUTH(211009)155709
945 ▼a ITMT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780.15 2020z11 Accession No. 111884370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송무경(지은이)

2005년 이래 연세대학교 음악대학 교수로 재직하면서 화성학, 고등음악이론, 쉔커식 분석이론 등을 가르치며, 석.박사 학생들의 논문을 지도하고 있다.『연주자를 위한 조성음악분석1&2』(예솔, 2004, 2006)를 시작으로, 『새롭게 배우는 음악이론』(심설당, 2011), 『음악 논문 작성법: 음악분석에서 글쓰기까지』(음악세계, 2016)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에 걸치는 왕성한 저술 활동을 하고 있는 그는 2009년부터 현재까지 한국서양음악학회 편집위원과 위원장을 역임하며, 2012년부터는 한국서양음악이론학회 회장직을 수행하고 있다. 2014년에는 제13차 국제음악지각인지 학회와 제5차 아시아태평양 지역 음악인지과학회가 공동으로 주최한 국제학술대회(ICMPC 13 & APSCOM 5)의 조직위원장을 맡아 이를 성공적으로 개최한 바 있다. 숭실고등학교에서 합창반 반주자와 문학반 반장을 하며 음악과 문학에 꿈을 키운 송무경은 연세대학교에서 작곡을 공부하고 미국 텍사스 주립대학교(University of Texas at Austin)에서 음악이론으로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정혜윤(지은이)

서울대학교에서 음악이론과 미학으로 학사와 석사를 마쳤으며, 미국 미시건대학교(앤아버)에서 음악이론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명지대학교 예술학부 부교수로 재직 중이다. 공저로 『예술과 철학: 현대 예술과 철학의 만남』(2011)이 있고, 논문으로 「음악에 대한 공감, 가능하며 유효한가」(2018), 「음악의 행위성: 발제주의에 의한 해명」(2018), 「음악적 표현성에 대한 확장된 형식의 시뮬레이션 이론」(2017), 「개념적 혼성의 음악적 적용」(2017), 「신경미학, 무엇이 문제인가?」(2016), 「청자의 상상함과 음악적 이해: 형식주의적 분석과 해석학적 분석의 경계를 넘어서」(2009) 등이 있다. 영미 분석철학 전통의 음악미학, 신경미학, 음악지각인지, 음악분석이론 등의 분야를 연구해왔으며, 현재는 신체화된 인지와 현상학의 관점에서 음악과 청자, 그리고 환경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소리에 대한 인간의 미적 경험이 인간됨의 본성에 대해 밝혀주는 것이 무엇인지를 규명하는 데 관심을 갖고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저자 서문

제1장 음악분석
1.1. 음악비평과 해석, 분석 간의 관계
1.2. 음악분석의 역사
제2장 의미화 작업으로서의 분석 제3장 형식주의ㆍ실증주의적 음악분석
3.1. 음악적 형식주의와 논리실증주의, 그 이면의 이야기
3.2. 쉥커의 이론과 쉥커식 분석

제4장 해석학적 음악분석
4.1. 내러티브적 음악분석
4.2. 개념적 혼성에 의한 음악분석
4.3. 기호학적 음악분석
제5장 음악분석 다시 보기 참고문헌
찾아보기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