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57342 | |
005 | 20230904152255 | |
007 | ta | |
008 | 230904s2023 ulka b 001c kor | |
020 | ▼a 9791167071002 | |
035 | ▼a (KERIS)BIB000016680665 | |
040 | ▼a 247017 ▼c 247017 ▼d 211009 | |
082 | 0 4 | ▼a 495.70143 ▼2 23 |
085 | ▼a 497.0143 ▼2 DDCK | |
090 | ▼a 497.0143 ▼b 2023z1 | |
245 | 0 0 | ▼a 한국어 의미론 / ▼d 박철우 [외]지음 |
260 | ▼a 서울 : ▼b 사회평론아카데미, ▼c 2023 | |
300 | ▼a 449 p. : ▼b 삽화 ; ▼c 25 cm | |
490 | 1 0 | ▼a 사회평론 교육총서 ; ▼v 22 |
500 | ▼a 공저자: 김윤신, 김진웅, 김진해, 박재연, 이동혁, 이지영, 이찬규, 이혜용, 임채훈, 정연주, 조경순, 최경봉, 최윤지 | |
504 | ▼a 참고문헌(p. 433-441)과 색인수록 | |
650 | 0 | ▼a Korean language ▼x Semantics |
700 | 1 | ▼a 박철우, ▼g 朴哲佑, ▼d 1965-, ▼e 저 ▼0 AUTH(211009)53043 |
700 | 1 | ▼a 김윤신, ▼g 金侖信, ▼d 1969-, ▼e 저 ▼0 AUTH(211009)63310 |
700 | 1 | ▼a 김진웅, ▼d 1973-, ▼e 저 ▼0 AUTH(211009)33811 |
700 | 1 | ▼a 김진해, ▼g 金鎭海, ▼d 1968-, ▼e 저 ▼0 AUTH(211009)26667 |
700 | 1 | ▼a 박재연, ▼g 朴載蓮, ▼d 1973-, ▼e 저 ▼0 AUTH(211009)125675 |
700 | 1 | ▼a 이동혁, ▼g 李東赫, ▼d 1973-, ▼e 저 ▼0 AUTH(211009)138746 |
700 | 1 | ▼a 이지영, ▼g 李知英, ▼d 1972-, ▼e 저 ▼0 AUTH(211009)124821 |
700 | 1 | ▼a 이찬규, ▼g 李燦揆, ▼d 1962-, ▼e 저 ▼0 AUTH(211009)65951 |
700 | 1 | ▼a 이혜용, ▼g 李惠鏞, ▼d 1976-, ▼e 저 ▼0 AUTH(211009)21910 |
700 | 1 | ▼a 임채훈, ▼g 林采勳, ▼d 1974-, ▼e 저 ▼0 AUTH(211009)105376 |
700 | 1 | ▼a 정연주, ▼g 鄭娟朱, ▼d 1983-, ▼e 저 ▼0 AUTH(211009)18044 |
700 | 1 | ▼a 조경순, ▼d 1973-, ▼e 저 ▼0 AUTH(211009)82814 |
700 | 1 | ▼a 최경봉, ▼g 崔炅鳳, ▼d 1965-, ▼e 저 ▼0 AUTH(211009)130033 |
700 | 1 | ▼a 최윤지, ▼g 崔允志, ▼d 1984-, ▼e 저 ▼0 AUTH(211009)155630 |
830 | 0 | ▼a 사회평론 교육총서 ; ▼v 22 |
945 | ▼a ITMT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497.0143 2023z1 | 등록번호 111884367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23-12-04 | 예약 예약가능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우리는 왜 같은 말을 하면서 서로 다른 의미로 받아들일까?
의미론이란 말 그대로 말의 의미를 따지는 일이다. ‘언어의 음운이나 통사 구조에 대해 말하기는 어려워도 의미는 웬만큼 다 알고 통하는 거지!’라고 자만하는 것에서 시작하여 우리는 같은 말을 사용하면서도 서로를 겉돈다. “내 말은 그게 아닌데….”라고 할 때는 이미 늦어버렸다. 물론 가장 안타까운 일은 서로 오해한다는 것조차 깨닫지 못한다는 일이겠지만 말이다. 학계에서는 전혀 다른 이유로 의미론이 국어학의 핵심 분야에서 밀려나 왔다. 의미란 형태나 소리가 아니어서 시각 혹은 청각으로 지각할 수 있는 대상이 아니다 보니 추상적이고 포착하기 어려운 것으로 치부되었고, 의미론은 ‘언어학의 꽃’이라고 불릴 만큼 매력적인 학문임을 인정받음에도, 전문 연구자가 적고 언어학이나 국어학의 핵심 분야로 고려되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더 늦기 전에, 우리 말에 담긴 의미와 전달방법을 낱낱이 해제한 새로운 『한국어 의미론』이 나왔다. 14명의 국어학자들이 각 장을 맡아 써 완성도를 높이고, 시대성과, 적확성, 참신성을 풍부하게 반영한 적용 사례들로 채웠다. 국어학 전공생뿐 아니라 다양한 직업 현장에서 정확한 언어를 구사하고 말의 의미를 온전히 전달하는 데 관심이 있는 일반독자들에게도 반가운 소식이다. 이 책을 통해 소통하는 도구로서의 언어에 대한 인식의 장을 넓히고, 그동안 안다고 자부하면서도 깨닫지 못했던 풍요로운 말의 의미를 발견해나갈 수 있을 것이다.
말의 어딘가 붙어 있을 진정한 의미를 찾아서
‘의미’란 도대체 말의 어디쯤 붙어 있을까? 이 책에서 의미론을 설명하는 첫 문장에는 ‘견월망지(見月忘指)’라는 말이 등장한다. ‘달을 보려면 손가락은 잊어라’는 뜻이며, 속뜻은 ‘본질을 보려면 그 형식이나 수단에 집착하지 말라’ 정도 된다. 하지만 언어학자들이란, 비유하자면, 그 손가락을 연구하는 사람들이다. 어찌 됐든 달을 가리키려면 ‘손가락’이 필요해서다. 그러므로 의미학자들도 손가락을 바라본다. ‘손가락의 어디쯤 의미가 붙어 있을까’를 주로 생각하지만 가끔은 달(본질)을 흘끔거린다. 의미학자는 언어학자 중에서 가장 본질을 의식하는 부류이기 때문이다. 그래도 열심히 손가락(수단)을 보면서 가리키려는 것이 달이 내뿜는 하얗고 찬란한 빛인지, 동그스름한 달의 복스러운 모양인지, 그것에 따라 더 정확히 달을 가리키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 그 방법을 찾아내려 한다. 자연스럽게 의미론은 기호와 음성, 통사 구조를 전부 들여다보며 이들이 바뀌었을 때 의미가 어떻게 바뀌는지로 탐구의 영역을 넓혀간다. 같은 단어들의 나열 순서만 달리했을 뿐인데도 의미는 자꾸만 바뀐다. 같은 말을 했는데 어떤 상황에서는 전혀 다른 의미가 되어버린다. 『한국어 의미론』은 음운론, 형태론, 통사론과 의미론과의 관계를 각각 설명하면서 언어학에서의 의미론의 위치를 총체적으로 가늠한다. 그렇다. 의미를 찾기 위해서는 할 일이 많은 것이다.
“잘했다, 잘했어!”의 의미를 알기 위해 필요한 것들
똑같은 말의 의미가 시대에 따라, 상황에 따라, 말하는 이에 따라, 그리고 그 당시의 정서에 따라 그 모습을 달리한다. 책에 나오는 사례를 따라 하나하나 따져보면 매일 사용하는 말조차 생경하게 느껴질 지경이다. 예컨대 말에 담긴 ‘정서적 의미’에 관해 말하지 않고는 “잘했네”가 다양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설명할 수 없다. 여기서 의미는 단어나 문장에 내재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발화 당시의 심적 태도로 결정된다. 이미 정의된 개념적 의미나 내포적 의미, 사회적 의미로는 설명할 수 없다. 우리가 날마다 새로운 상황을, 상대의 정서를 지각하지 않는다면 내가 과연 잘한 것인지, 못한 것인지, “잘했네” 단 석 자의 의미를 풀 수 없다는 얘기다. 의미를 따라가기 위해선 예민한 촉수를 부지런하게 움직여야만 한다.
파도 파도 끝이 없는 의미의 향연은 우리를 위태한 곳으로 데려가기도 한다. ‘아내, 부인, 마누라, 안사람, 여편네’라는 단어는 인간과 여성, 배우자라는 속성을 모두 충족한다는 점에서 같은 말인 동시에 ‘전혀 다른’ 말이 될 수 있다. 우리가 흔히 알고 있듯이 ‘여편네’란 말은 화자가 대상자인 아내를 평소에 비하하거나, 불쾌한 감정을 가지고 있을 수 있음을 내포하고 있다. 여전히 여성 인권의 신장을 외쳐야 하는 지금, ‘여편네’라는 말을 사용했다간 수많은 눈총을 받기 십상이다. 하지만 이러한 의미에 대해 상당히 많은 사람이 수긍한다고 하더라도 어떤 사람들은 동의하지 않는다면 어떻게 할까? 어떻게 해야 하는 문제이기 앞서 당연히 동의하지 않을 수 있다는 점을 인지해야 한다. ‘개념적 의미’는 대부분의 사람이 동의할 수 있으며, 고정성을 가지고 있는 반면 ‘연상적 의미’는 일부가 이를 부정한다고 해도 성립될 수 있기 때문이다. 어떤 사람이 ‘여편네’라는 단어에 “정감 있고 좋지 않나? 나는 아내라는 단어가 더 이상한데 말이야”라고 하더라도 문제가 되지 않는다. 불특정 다수인 독자들을 대상으로 지면에 기사를 쓰는 기자들이 비슷한 의미의 단어들을 놓고 선택을 고심하는 것도 어떤 이들에게는 너무나 당연한 의미가 누군가에겐 전혀 그렇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점에서 의미란 한없이 개방적이다. 그래서 더 어렵게만 느껴진다. 동시에 짜릿하기도 한 것이겠지만.
공손한 말이 반드시 ‘공손성’을 지닌 건 아니다
심지어 의미론의 세계에선 예의 바른 공손한 표현조차 논란거리가 된다. 가벼운 마음으로 산뜻하게 누군가를 도와줬는데 상대방이 너무나 깍듯하게 구구절절 감사의 말을 하면 되레 이상한 감정이 드는 건 왜일까? ‘사람이라면 이런 걸 도와주는 건 당연한 거 아닌가? 나를 그동안 어떤 사람으로 봐 왔던 거지? 이렇게 선 그어서 예의 차릴 것까지 있어?’ 우리가 말을 할 때는 정보 전달의 효율성만을 따지기보다 인간관계를 잘 유지하기 위해 상대방을 배려하는 언어 표현, 곧 공손성을 선택하기도 한다. 보통 우회적이고 완곡하며, 공손한 방식으로 대화하는 이유는 이 때문이다. 하지만 이러한 표현들이 항상 ‘공손성’을 담보하는 것일까? 예컨대 허물없는 친구 사이에서 뜬금없이 완곡하고 간접적인 표현을 한다면 친구는 도리어 거리감을 느끼거나 혹시 다른 의도가 있는 것은 아닌지 의아해할 수도 있다. 나아가 앞선 경우처럼 왠지 모르게 화가 날 수도 있다. 평화로운 일상이 졸지에 혼란과 오해, 속상함 속으로 빠져버렸다. 이럴 때 의미론은 외치고 싶다. “이보세요, 의미의 세계에선 당연하다 여기고 안주하고 있을 틈이 없단 말이에요! ‘화용의 원리’를 모르시나요?” 그렇다. 의미론은 화용론에도 관심이 많다. 대화의 맥락 속에서 의미를 탐구하는 분야인 화용론이야말로 의미론과 단짝 같은 사이니까.
최신 ‘의미론’의 개념을 쉬운 서술로
가장 충실하게 담아낸 교재
국어학 분야 전공 학부생의 의미론 관련 수업에서 한 학기용 교재로 활용될 수 있도록 설계된 이 책은 이론을 내세우기보다 언어 단위를 중심으로 장을 나누고, 학부생의 눈높이에서 이해하기 쉽게 서술하였다. 이 책의 체제는 크게 4부로 나뉜다.
1부 ‘의미론과 의미’에서는 의미론에 대한 총론을 다룬다. 형태소 이상의 언어 단위는 모두 언어 기호로서, 그 형식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과 짝을 이루는 내용이 함께 결합한다. 이 때문에 의미론은 음운론, 형태론, 통사론 등 국어학의 다양한 하위 분야와 모두 연결된다. 1부에서는 그 관계들을 살펴보고, 의미의 다양한 정의와 유형들을 개괄한다.
2부 ‘어휘와 의미’에서는 어휘 의미를 이해하기 위해 어휘를 의미 영역별로 분류해보고, 이를 분석한다. 이를 통해 학습자는 어휘가 고립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의미를 통해 다른 어휘들과 연결되어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2부에서는 은유와 환유를 통해 확장되는 어휘의 의미와 시간이 흐르면서 변화하는 의미까지 살펴본다.
3부 ‘문장과 의미’에서는 기존 의미론 교재들보다 강화된 문장 의미론을 다룬다. 낱낱의 단어가 가진 의미로부터 구, 절, 문장의 의미가 형성되는 방식에 대해 분석해보고, 문장 단위의 구성 요소들과 그것의 결합, 즉 통사 규칙에 따라 달라지는 의미 규칙에 대해 탐구한다.
4부 ‘발화와 의미’에서는 문장 의미의 배경 명제가 되는 ‘전제’와 화자가 청자에게 자신의 의도를 발화에 담아 전달하는 언어 행위인 ‘화행’, 원래의 문장이 가진 의미가 아닌 다른 의미, 혹은 그 이상의 의미를 전달하는 ‘함축’, 그리고 사회적 상호작용 속에서 표현되는 존중, 호감, 친근감, 유대감 등의 표시인 ‘언어적 공손성’에 대해 다룬다. 특히 이 책에서는 화용론에 공손성을 포함하여 의미론의 외연을 확장하였다.
장마다 흥미를 유발하는 도입부와 중간중간 상자로 넣은 <더 알아보기>, 학습한 것을 확인하고 응용해보는 <연습문제>와 관련 문헌을 소개하는 <읽을거리>를 구성하여 학습자 스스로 의미 연구를 위한 방법론 습득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글과 말로 의미를 전달해야 하는
모든 현대인의 의미론 교양서
이 책은 상대에게 자신이 하는 말과 글의 의미를 제대로 전하고자 하는 모든 이들을 응원한다. 인간이 언어를 사용하는 이유가 의미의 전달이라고 본다면, 의미론 없는 언어학은 ‘손가락을 허공에 대고 달이라며 가리키는 것’이나 마찬가지다. 의미론은 어휘 의미 연구를 통해 사전 기술에 크게 기여해왔다. 이는 우리가 사용하는 말의 기준이자 뼈대를 만들어 온 의미론의 역할을 보여준다. 그럼에도 그동안 의미론 교재가 국어학의 다른 하위 분야들에 비해서 그 수가 현저히 적었으니 의미론 입장에서는 서운할 만한 일이다. 언어학과 국어학에서 의미론의 위상을 다시 높이고자 기획된 이 책의 의도대로 국어학 학부생들이 체계적으로 의미론을 학습할 장을 마련하고, 다양한 현장에서 직업인들에게 세련된 언어를 구사할 영감을 주며, 나아가 교양인 모두가 우리 말에 담긴 의미를 매일의 일상에서 탐구할 수 있는 책이 되길 바라본다. 그리하여 우리는 의미와, 그리고 상대와 더 가까워진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최경봉(지은이)
《우리말의 탄생》, 《한글민주주의》, 《근대국어학의 논리와 계보》, 《어휘의미론》, 《우리말 관용어 사전》 등을 저술했다. 현재 원광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있다.
박철우(지은이)
서울대학교 언어학과에서 학사·석사·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안양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저·역서로 『한국어 정보구조에서의 화제와 초점』, 『한국어 정보화와 구문 분석』(공저), 『언어 의미학 개설』, 『한국어 통사론의 전망』(공저), 『화용론의 실제』, 『국어의미론의 새로운 인식과 전개』(공저), 『한국어 의미 탐구의 현황과 과제』(공저) 등이 있다.
이찬규(지은이)
중앙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이다. 인공 지능 인문학이라는 새로운 학문을 개척하는 중앙대학교 HK+인공지능인문학사업단 단장도 맡고 있다. 중앙대학교 교학 부총장 및 교무처장을 역임했다. 현재, 문화체육관광부 국어 심의회 국어 정책 분과 위원장, 한국연구재단 이사이자 한국어문교육연구회 회장을 맡고 있다.
이동혁(지은이)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문학박사학위를 받았다.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에서 기계번역 시스템 개발에 참여하였으며, 현재 포항공과대학교 인문사회학부에서 대우전임강사로 일을 하고 있다.
임채훈(지은이)
1974년 서울 출생. 경상대학교 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 졸업. 경희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서 학사, 석사, 박사 학위를 받음. 현재는 숭실대 국어국문학과에서 가르치는 일과 공부하는 일을 하고 있음. 문장의미론을 전공으로 하였으나 화용론, 텍스트 언어학, 한국어교육학으로 관심 영역이 점차 확대되고 있음. 새로운 이야기를 듣고 말하는 것을 즐김. 공부하는 이들과 함께 즐거워하는 學友가 되려고 노력하고 있음. 쓴 책으로는 문장의미론을 연구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시한 <사건, 발화상황 그리고 문장의미>(2012)가 있음. linguist@naver.com
김진해(지은이)
경희대 후마니타스칼리지 교수. 저서로 「말끝이 당신이다」, 「이 무수한 반동이 좋다」(공저), 「인지언어학 탐구의 현황과 과제」(공저),「연어(連語) 연구」, 「언어이야기」(공저), 「한국어의 규범성과 다양성」(공저) 등이 있다.
조경순(지은이)
전남대학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에서 석사·박사 학위를 취득하여 현재 전남대학교 국어국문학과 BK교수로 재직 중이다. 전공은 국어학으로 국어 통사·국어 의미론 및 한국어 문법 교육을 연구하고 있다.
이혜용(지은이)
이화여자대학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졸업 동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문학석사 동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문학박사 이화여자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세종대학교 강사 역임 현재 이화여자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조교수 주요 연구 분야 화행론, 대화 분석, 이야기 분석, 의료커뮤니케이션, 면접 대화, 학술적 글쓰기 교육
김진웅(지은이)
서울에서 태어나 연세대학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에서 학사와 석사 과정을 마친 후에 텍사스 주립대학(Austin)에서 철학박사학위를 받았다.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 HK연구교수를 거쳐 현재 경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주로 한국어의 의미론과 화용론을 공부하고 있으며, 최근 한국어의 화시나 환유 등 지시와 관련된 주제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공저로 『언어 정보와 인문언어학』, 『언어의 현장성과 복합지식』, 『사전에 없는 진짜 한국어1, 2』 등이 있다.
김윤신(지은이)
인천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 의미에 초점을 맞추어 한국어 문법과 문법 교육을 연구하는 언어학자이다. 1993년 서울대학교 언어학과를 졸업하고 2001년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문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인문학 연구원 선임 연구원, 신라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 등을 거쳐 2014년 2학기부터 인천대학교 국어교육과에서 교수로 재직 중이다.
최윤지(지은이)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졸업 서울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문학석사(2008) 서울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문학박사(2016) 현재 한국학중앙연구원 신집현전 태학사 과정생 주요 논문 「이접과 양태의 상관관계 고찰: ‘-인가’를 중심으로」(2011) 「파생과 합성, 다시 생각하기: 복합어 구성요소의 교차 분류를 위한 시론」(2013) 「구어에서 유의미하게 나타나는 어떤 통사구성에 대하여: 준분열문」(2016) 「Current Trends in the Studies of Information Structure from a Cross-linguistic Perspective: A Book Review of Fernandez-Vest & Van Valin (eds.)(2015)」(2017) 「뉴스에 나타나는 독립적 명사구, ‘명사문’ 연구」(2019) 「상대높임 등급 혼용 현상에 대한 일고찰: 텔레비전 뉴스에 나타나는 해요체의 분석을 바탕으로」(2019)
정연주(지은이)
홍익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박재연(지은이)
이지영(지은이)
서강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 『한국어 용언부정문의 역사적 변화』 (2008) 『한국어 어휘론』 (2020, 공저) 「종결형의 변화와 근대적 문체」 (2019) 「‘그나마’, ‘(-으)나마’, ‘(이)나마’의 발달 과정에 대한 통시적 연구」 (2022)

목차
머리말 4 1부 의미론과 의미 1장 국어학과 의미론 1 의미론의 연구 대상 14 2 해석의 세 단계 28 2장 의미의 정의와 유형 1 의미 탐색의 위치 40 2 의미의 정의 44 3 의미의 유형 53 2부 어휘와 의미 3장 의미 영역과 의미 분절 1 어휘로 세상을 이해하는 방법 74 2 의미 부류와 의미 관계 79 3 의미 분절과 의미 분석 84 4장 의미 구분과 의미 관계 1 의미 구분: 단의어, 다의어, 동음이의어 96 2 의미 관계 107 5장 의미의 확장 1 다의어와 의미 확장 138 2 의미 확장에 대한 인지 의미론적 관점 145 3 은유와 환유에 의한 의미 확장 150 6장 의미 변화 1 의미 변화의 유형 172 2 의미 변화의 원인 182 3 의미 변화의 과정 189 3부 문장과 의미 7장 문장 의미의 연구 방법 1 문장 의미의 특성 198 2 참 조건 의미론 206 3 의미 규칙의 표상 방법 211 8장 지시와 양화 1 지시 232 2 양화 244 9장 의미역과 구문 1 사태와 문장 260 2 사태 참여자와 의미역 264 3 사태와 구문 271 4 구문의 유형 278 10장 시제·상·양태 1 시제 288 2 상 297 3 양태 306 4부 발화와 의미 11장 전제 1 전제의 개념과 유형 322 2 의미론적 전제 325 3 화용론적 전제 334 4 의미론적 전제와 화용론적 전제의 관계 346 12장 화행 1 화행의 개념과 국면 354 2 화행의 유형 359 3 화행의 적정 조건 364 4 간접 화행 367 13장 함축 1 말하는 것 이상의 의미 378 2 대화함축과 협력의 원리 382 3 관습함축 394 4 그라이스의 의미 모델 398 14장 공손성 1 공손성의 개념 406 2 대화 격률의 관점에서 본 공손성 411 3 체면 보호의 관점에서 본 공손성 419 참고문헌 433 찾아보기 442 저자 소개 4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