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57341 | |
005 | 20230904151555 | |
007 | ta | |
008 | 230904s2023 ulka b 001c kor | |
020 | ▼a 9791167071170 ▼g 93710 | |
035 | ▼a (KERIS)BIB000016830611 | |
040 | ▼a 245008 ▼c 245008 ▼d 211009 | |
082 | 0 4 | ▼a 495.707 ▼2 23 |
085 | ▼a 497.07 ▼2 DDCK | |
090 | ▼a 497.07 ▼b 2023 | |
245 | 0 0 | ▼a 국어 교육의 이해 : ▼b 국어 교육의 미래를 모색하는 열여섯 가지 이야기 / ▼d 최미숙 [외] |
246 | 1 4 | ▼a 2022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을 담은 국어교육의 이해 |
250 | ▼a 개정4판 | |
260 | ▼a 서울 : ▼b 사회평론아카데미, ▼c 2023 | |
300 | ▼a 535 p. : ▼b 삽화 ; ▼c 26 cm | |
490 | 1 0 | ▼a 사회평론 교육총서 ; ▼v 2 |
500 | ▼a 공저자: 원진숙, 정혜승, 김봉순, 이경화, 전은주, 정현선, 주세형 | |
504 | ▼a 참고문헌(p. 513-527)과 색인수록 | |
700 | 1 | ▼a 최미숙, ▼g 崔美淑, ▼d 1964-, ▼e 저 ▼0 AUTH(211009)124914 |
700 | 1 | ▼a 원진숙, ▼g 元眞淑, ▼d 1964-, ▼e 저 ▼0 AUTH(211009)5898 |
700 | 1 | ▼a 정혜승, ▼g 鄭惠丞, ▼d 1966-, ▼e 저 ▼0 AUTH(211009)20785 |
700 | 1 | ▼a 김봉순, ▼g 金烽洵, ▼d 1968-, ▼e 저 ▼0 AUTH(211009)143248 |
700 | 1 | ▼a 이경화, ▼g 李京和, ▼d 1967-, ▼e 저 ▼0 AUTH(211009)129749 |
700 | 1 | ▼a 전은주, ▼d 1968-, ▼e 저 ▼0 AUTH(211009)16821 |
700 | 1 | ▼a 정현선, ▼g 鄭鉉璇, ▼d 1971-, ▼e 저 ▼0 AUTH(211009)112214 |
700 | 1 | ▼a 주세형, ▼g 周世珩, ▼d 1973-, ▼e 저 ▼0 AUTH(211009)116353 |
830 | 0 | ▼a 사회평론 교육총서 ; ▼v 2 |
945 | ▼a ITMT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497.07 2023 | 등록번호 111884365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497.07 2023 | 등록번호 111884366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23-12-28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497.07 2023 | 등록번호 111884500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4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497.07 2023 | 등록번호 111884627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23-12-29 | 예약 | 서비스 |
No. 5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497.07 2023 | 등록번호 111884631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23-10-04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2022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을 반영한
국어 교육학의 입문서
요약
국어 교육의 본질, 국어과 교육과정과 교과서, 교수‧학습 및 평가의 방법, 화법‧읽기‧쓰기‧문법‧문학‧매체 영역, 언어 발달 과정에 따른 쟁점 및 현재적 이슈까지, 국어 교육학을 처음 접하는 이들을 위해 친근하고 체계적으로 구성한 국어 교육학 입문서. 2022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을 반영하여 내용을 대폭 보완‧수정하고, 언제 어디서든 쉬이 접근할 수 있게 판형과 본문 디자인도 수정하였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불시에 맞이하게 된 비대면 수업 방식은 교실에서만 이루어지던 학교 교육을 근본에서부터 고민하도록 만들었다. chatGPT로 대표되는 인공지능의 본격적인 등장은 학교 교육의 역할에 대해 진지하게 성찰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학생 수의 급감 또한 교육과정, 교수·학습 방법, 평가 방법의 재구조화라는 과제를 제기하고 있다.
교육은 항상 사회의 변화와 함께해 왔다. 닥친 위기 속에서도 인간은 행복한 삶을 누릴 권리가 있고, 교육은 사회의 요구를 담아내면서 개인의 성장과 발달에 최선을 다해야 한다. 이 책은 변화하는 사회를 반영하여 국어 교육의 미래를 고민하고 그것을 발전시키기 위한 단초를 제시한다.
1부는 국어 교육의 필요성에서 출발하여 국어과 교육과정과 교과서, 교수‧학습 및 평가 등 국어 교육에 관한 개괄적 내용을 다룬다. 2부는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새롭게 추가된 ‘매체’ 영역을 포함하여, 화법 교육, 읽기 교육, 쓰기 교육, 문법 교육, 문학 교육의 6대 영역의 핵심 내용을 다룬다. 3부는 언어 발달, 초기 문해력, 청소년 문화 등 인간의 성장 과정에 따른 국어 교육에서의 쟁점과 교실 내 학생들 사이의 편차 및 다문화 가정에서의 한국어 교육 등 사회적으로 제기되는 문제들을 다루고 있다.
그동안의 노력으로 쌓아 올린 ‘국어 교육의 현재’를 체계적으로 다루고 있으며, 끊임없이 탐구해야 할 ‘국어 교육의 미래’를 제시하는 이 책은 국어 교육학을 공부하고자 하는 이들에게 친절한 안내서가 될 것이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원진숙(지은이)
서울교육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 『삶과 화법』(공저, 2007), 『글로벌 시대의 다문화교육』(공저, 2010), 『국어교육의 이해』(공저, 2012), 『공공화법』(공저, 2013), 『학교 다문화교육론』(공저, 2018), 『초등 국어 교육의 이해』(공저, 2018), 『초등 국어과 교수 학습의 원리와 적용』(공저, 2018)
전은주(지은이)
부산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 『말하기 불안, 어떻게 극복하는가?: 말하기 불안을 겪는 학생을 지도하기 위한 교사용 안내서』(번역, 2008) 『말하기・듣기 교육론』(1999)
최미숙(지은이)
상명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 『국어 교육의 이해』(공저, 2023), 『문학교육을 위한 현대시작품론』(공저, 2021) 외 다수
정혜승(지은이)
경인교육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 저서로『독자와 대화하는 글쓰기』, 『국어 교육의 이해』(공저), 『창의성 계발을 위한 국어과 교수 학습 전략』(공저) 등이 있으며, 역서로 『 한 가지만 바꾸기』(공역), 『핵심 질문』(공역), 『학생 탐구 중심 수업과 질문 연속체』(공역) 등이 있다.
이경화(지은이)
한국교원대학교 초등교육과 교수 한국교원대학교 국어교육과 박사 『읽기교육의 원리와 방법』(2001), 『독서교육론』(공역, 2012), 『국어교육의 이해』(공저, 2012)
김봉순(지은이)
공주교육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박사 『언어교수의 기본개념』(공역, 1995), 『국어교육과 텍스트구조』(2002), 『국어교육의 이해』(공저, 2012)
정현선(지은이)
경인교육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다. 미디어 리터러시, 디지털 리터러시, 디지털 페어런팅 등에 관심이 있다. 저서로는 《시작하겠습니다, 디지털 육아: 아이와의 스마트폰 전쟁, 현명한 디지털 페어런팅이 답이다》, 《국어 교육의 이해: 국어 교육의 미래를 모색하는 열여섯 가지 이야기》(공저), 《온라인 수업의 모든 것: 온라인 수업 모델 개발부터 역동적 피드백까지!》(공저) 등이 있고, 번역서로는 《리터러시의 진화: 비판적 미디어 교육을 위한 교실 수업 방법》, 《디지털 네이티브 그들은 어떻게 배우는가》 등이 있다.
주세형(지은이)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수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및 동 대학원 국어교육학 박사 졸업 대표 논저 『국어교육의 이해』(사회평론아카데미, 공저), 『국어과 교과서 론』(사회평론아카데미, 공저), 『국어 선생님을 위한 문법교육론』 (창비교육, 공저), 『장르, 텍스트, 문법』(사회평론아카데미, 공역), 「평가 문식성 신장을 위한 국어과 교사 교육」 외 다수

목차
개정4판 서문 초판 서문 1부 제1장 국어 교육의 필요성 1 언어의 본질적 기능은 무엇인가 2 이미 익숙한 모어를 왜 가르칠까 3 국어과 교육의 성격은 무엇인가 제2장 국어과 교육과정 1 국어과 교육과정이란 무엇인가 2 국어과 교육과정은 어떤 기능을 할까 3 국어과 교육과정은 어떻게 변해 왔을까 4 2022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특징은 무엇일까 5 국어과 교육과정 변천의 쟁점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제3장 국어 교과서 1 교과서란 무엇인가 2 교과서에는 어떤 내용이 담겨 있는가 3 교과서는 어떻게 짜여 있는가 4 교과서를 어떻게 사용해야 할까 제4장 국어과 교수·학습 방법 및 수업 방법 1 좋은 국어 수업에는 어떤 특징이 있는가 2 국어과 교수·학습 모형과 절차는 어떠한가 3 국어 수업 설계에서 고려할 점은 무엇인가 4 국어 수업 실천에서 고려할 점은 무엇인가 5 국어 수업 성찰에서 고려할 점은 무엇인가 제5장 국어과 평가 1 국어 교육에서 평가가 왜 필요할까 2 국어과 평가는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까 3 평가를 위해 고려해야 할 점 4 국어과 평가 방법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5 평가 도구는 어떻게 작성해야 할까 6 평가 결과는 어떤 방식으로 보고하는 것이 좋을까 2부 제6장 화법 교육 1 화법은 왜 가르쳐야 할까 2 화법이란 무엇인가 3 화법 교육에서는 어떤 내용을 지도할까 4 화법 교육은 어떤 방법으로 할까 5 화법 교육에서 평가는 어떻게 할까 제7장 읽기 교육 1 읽기는 왜 가르쳐야 할까 2 읽기란 무엇일까 3 읽기 교육에서는 어떤 내용을 지도할까 4 읽기 교육은 어떤 방법으로 할까 5 읽기 교육에서 평가는 어떻게 할까 제8장 쓰기 교육 1 쓰기는 왜 가르쳐야 할까 2 쓰기란 무엇인가 3 쓰기 교육에서는 어떤 내용을 지도할까 4 쓰기 교육은 어떤 방법으로 할까 5 쓰기 교육에서 평가는 어떻게 할까 제9장 문법 교육 1 문법 교육의 목표 2 문법 교육 내용은 무엇인가 3 문법 교육은 어떻게 해야 할까 4 문법 교육 연구의 실천적 반영 제10장 문학 교육 1 문학 교육은 왜 필요할까 2 어떤 관점에서 문학 교육에 접근해야 할까 3 문학 교육에서는 무엇을 지도할까 4 문학 교육은 어떻게 해야 할까 5 문학 교육 평가에서는 무엇을 고려해야 할까 제11장 매체 교육 1 매체는 왜 가르쳐야 할까 2 매체란 무엇인가 3 미디어 교육과 미디어 문해력이란 무엇인가 4 매체 교육에서는 어떤 내용을 지도할까 5 매체 교육의 방법은 무엇일까 6 매체 교육은 어떻게 평가할까 3부 제12장 언어 발달 1 언어 발달이란 무엇인가 2 언어 발달을 어떻게 볼 것인가 3 언어 발달의 조건은 무엇인가 제13장 초기 문해 지도 방안 1 초기 문해, 왜 중요한가 2 한글의 문자적 특성과 초기 문해 발달은 어떠한가? 3 한글 교육에서는 어떤 내용을 지도할까 4 한글 지도는 어떤 방법으로 할까 5 초기 문해, 어떻게 진단하고 중재할 것인가 제14장 국어 교육과 어린이와 청소년 문화 1 왜 어린이와 청소년 문화에 관심을 가져야 할까 2 어린이 청소년과 ‘Z세대’ 문화 3 어린이와 청소년의 미디어 이용 문화와 교육 방향 4 학교 밖 경험을 교실 수업과 연결하는 실제적 교육 제15장 국어 교육에서 영재와 학습 부진아 지도 1 왜 영재와 부진아에게 관심을 가져야 할까 2 국어 영재는 어떻게 가르쳐야 할까 3 국어 학습 부진아는 어떻게 가르쳐야 할까 제16장 다문화 가정 자녀를 위한 한국어 교육 1 학교 안의 새로운 제3의 학습자군의 출현에 따른 국어 교육의 외연 확장하기 2 다문화 배경 학습자의 유형별 특성 3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의 목표와 내용 체계 4 다문화 배경 학생을 위한 한국어(KSL) 교육 프로그램의 성격과 내용 5 다문화 배경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교육 방법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