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57309 | |
005 | 20230905170520 | |
007 | ta | |
008 | 230904s2023 ggk b 001c kor | |
020 | ▼a 9788925418100 ▼g 93370 | |
035 | ▼a (KERIS)BIB000016826356 | |
040 | ▼a 224010 ▼c 224010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0 | ▼a 372.67/7 ▼2 23 |
085 | ▼a 372.677 ▼2 DDCK | |
090 | ▼a 372.677 ▼b 2023 | |
245 | 0 0 | ▼a 교육의 인지 지도 넓히기 : ▼b 내러티브와 메타포의 교육적 응용 / ▼d Michael Hanne, ▼e Anna A. Kaal 편저 ; ▼e 강현석 [외]공역 |
246 | 1 9 | ▼a Narrative and metaphor in education : ▼b look both ways |
260 | ▼a 파주 : ▼b 교육과학사, ▼c 2023 | |
300 | ▼a 514 p. ; ▼c 23 cm | |
500 | ▼a 공역자: 노진규, 김수영, 엄나현, 신광미, 유제순 | |
504 | ▼a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 |
650 | 0 | ▼a Storytelling in education |
650 | 0 | ▼a Narrative inquiry (Research method) |
650 | 0 | ▼a Metaphor ▼x Social aspects |
700 | 1 | ▼a Hanne, Michael, ▼e 편 |
700 | 1 | ▼a Kaal, Anna A., ▼e 편 |
700 | 1 | ▼a 강현석, ▼g 康現碩, ▼d 1965-, ▼e 역 ▼0 AUTH(211009)94962 |
700 | 1 | ▼a 노진규, ▼e 역 |
700 | 1 | ▼a 김수영, ▼e 역 |
700 | 1 | ▼a 엄나현, ▼e 역 |
700 | 1 | ▼a 신광미, ▼e 역 |
700 | 1 | ▼a 유제순, ▼g 柳濟順, ▼d 1966-, ▼e 역 ▼0 AUTH(211009)73908 |
945 | ▼a ITMT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72.677 2023 | Accession No. 111884331 | Availability In loan | Due Date 2024-03-06 | Make a Reservation Available for Reserve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교육이라는 추상적 개념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한 새로운 전략으로 ‘교육의 인지언어학’을 제안하는 책이다. 교육에 대한 내러티브 이론이나 개념적 은유 이론을 통해서 교육이라는 언어를 문법에 맞게 소통하고 우리 ‘문화 속에서’ 공감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돕는다.
단순히 교육을 설명하고 이해하기 위하여 내러티브와 메타포를 활용할 수 있다거나 이 양자를 통하여 교육이라는 개념(지시체)을 잘 파악할 수 있다는 점을 넘어서서 교육이라는 추상적 개념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한 새로운 전략으로 ‘교육의 인지언어학’을 제안하고자 한다. 교육에 대한 내러티브 이론이나 개념적 은유 이론을 통해서 교육이라는 언어를 문법에 맞게 소통하고 우리 ‘문화 속에서’ 공감적으로 인지하는 일이 교육에 대한 불필요한 논쟁이나 프레임을 둘러싼 소모적인 일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Information Provided By: :

Table of Contents
역자 서문 ·································································3 역서 이해를 위한 강의: 교육의 인지언어학적 탐색 ·················8 제1부 도입·····································································15 제1장 교육에서 내러티브와 메타포 양쪽 모두 살펴보기 ·······17 제2부 내러티브, 메타포, 그리고 학습 ····································43 제2장 교육에서 내러티브와 메타포의 역할을 존중하기 ········45 제3장 움직이는 인간: 내러티브 학습 환경에서 (당신이) 되어가는 스토리와 메타포 ······63 제4장 학습과 교수를 위한 생태학: 학습 서식지 내 이론들의 제자리 ···························89 제3부 교과 교육에서 내러티브와 메타포 ·······························113 제5장 역사 수업에서의 다중조망성 내러티브와 메타포의 역할 ·································115 제6장 공명의 작업: 음악, 학습, 삶에서의 메타포와 내러티브 ··································139 제7장 자연의 힘에 대한 스토리에서 메타포와 내러티브가 상호 작용하는 방법 ···········165 제4부 내러티브, 메타포, 그리고 교육의 정치학 ······················189 제8장 특수 교육적 요구에서 내러티브와 메타포: 생각, 담론, 실천을 형성하기 ···········191 제9장 무(비)교육: 종속된 지식에서의 내러티브와 메타포 ····215 제10장 크로아티아에서의 교육 개혁: 줄다리기 ·················237 제5부 간문화 교육에서 내러티브와 메타포 ····························259 제11장 언어에 대한 내러티브: 메타포를 사용하여 학습자의 언어 인식을 높이기 ········261 제12장 학습의 여정: 여러 문화에 걸쳐 있는 메타포와 내러티브 풍경의 차원들 ··········285 제13장 화해를 위한 교육: 증강 현실 프로젝트로부터 얻은 통찰 ·······························309 제6부 교사와 상담자 교육에서 내러티브와 메타포 ··················331 제14장 연극 공연의 퍼포먼스로서 교수: 교생 실습 교육에서 내러티브와 메타포를 사용하기 ···333 제15장 우리가 살아내는 이야기(SLB)로 구성되는 사계절 내러티브: 교사 교육에서 교수, 학습 그리고 연구 전략 ·····································359 제16장 동전의 양면과 같은 내러티브와 메타포: 연구 및 교사 전문성 개발에 모두 사용하는 사례 ·······385 제17장 교사 정체성, 자아 포지셔닝 그리고 양쪽 정합성 구성에서의 내러티브와 메타포 ············407 제18장 실을 엮어 바구니 만들기: 메타포와 내러티브를 통한 상담교사 정체성 형성을 촉진하기 ·················429 제7부 내러티브 탐구와 메타포 ···········································453 제19장 내러티브 탐구를 통한 자문화기술로의 여정 ············455 제20장 느린 출발: 내러티브 탐구에 반응하는 공동체를 통한 반향, 그리고 공동체 안에서의 반향 ················477 제21장 향후 전망을 해보며 ·········································501 저자 정보 ······························································503 찾아보기 ······························································5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