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시선의 발견 : 기획자의 시선으로 바라본 세상 그곳에 아직 발견하지 못한 기회가 숨어 있다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임영균
Title Statement
시선의 발견 : 기획자의 시선으로 바라본 세상 그곳에 아직 발견하지 못한 기회가 숨어 있다 / 임영균 지음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휴먼큐브,   2023  
Physical Medium
306 p. : 천연색삽화 ; 19 cm
ISBN
9791165383558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57288
005 20230905091043
007 ta
008 230904s2023 ulka 000c kor
020 ▼a 9791165383558 ▼g 03320
035 ▼a (KERIS)BIB000016835503
040 ▼a 241026 ▼c 241026 ▼d 211009
082 0 4 ▼a 658.4012 ▼2 23
085 ▼a 658.4012 ▼2 DDCK
090 ▼a 658.4012 ▼b 2023z5
100 1 ▼a 임영균 ▼0 AUTH(211009)132413
245 1 0 ▼a 시선의 발견 : ▼b 기획자의 시선으로 바라본 세상 그곳에 아직 발견하지 못한 기회가 숨어 있다 / ▼d 임영균 지음
260 ▼a 서울 : ▼b 휴먼큐브, ▼c 2023
300 ▼a 306 p. : ▼b 천연색삽화 ; ▼c 19 cm
945 ▼a ITMT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658.4012 2023z5 Accession No. 111884310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세상과 상사는 창의적인 아이템과 참신한 기획을 원하지만, 새로운 생각은 쉽게 떠오르지 않는다. 반면 천재 기획자 김 대리는 아보카도가 너무 익거나 덜 익는 문제를 ‘하루 하나 아보카도’로 해결하고, 화장실 악취를 해결하는 ‘한스푼’을 만들어낸다. 나와 달리 획기적인 아이디어가 척척 샘솟는 것이다.

똑같은 일상을 살아가며 나는 그냥 지나치는 경험을 김 대리들은 어떤 시선으로 바라보길래 대박 기획의 기회를 발견할까? 아이디어를 내고 아이템을 찾아야 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해봤을 고민이다. 그러나 새로운 생각은 하늘에서 뚝 떨어지지 않는다. 머리에 전구가 켜지듯 갑자기 번쩍 생겨나는 게 아니다. 평소의 고민이 쌓여서 만들어지는 것이다.

같은 일상을 살면서도 관찰로 정보를 쌓고 계속 고민하는 사람만이 세상에 숨은 기획의 기회를 발견할 수 있다. 휴먼큐브에서 펴낸 『시선의 발견』은 부제가 알려주듯 ‘기획자의 시선’으로 세상을 바라보고 그 관찰을 통해 숨은 ‘기회’를 발견해내는 법을 이야기하는 책이다. 일상에서 찾아낸 때론 사소하고 때론 세상을 움직인 기획의 탄생 비화를 소개하고, 기획의 기회를 찾은 포인트를 짚어준다. 이와 더불어 일상에서 기회를 발견하기 위해 우리가 갖춰야 하는 기획자의 습관도 제시하고 있다.

기획 천재 김 대리의 비밀
“맨날 하던 거 말고 새로운 것 좀 없어?”
“이거 너무 불편한데, 해결할 방법 어디 없을까?”
“이번 프로젝트를 성공시킬 참신한 아이디어 모아봅시다!”
이런 말들, 참으로 익숙하다. 집에서, 회사에서, 모임에서 한 번씩은 들어봤고 직접 내 입으로 이야기하기도 했다. 말은 참 쉬운데, ‘새로운 것’, ‘해결할 방법’, ‘참신한 아이디어’는 과연 쉬운가? 머리를 굴려봐도, 인터넷 검색을 해봐도, TV나 책을 들여다봐도 만족할 만한 대답을 찾기란 녹록지 않다.
세상과 상사는 창의적인 아이템과 참신한 기획을 원하지만, 새로운 생각은 쉽게 떠오르지 않는다. 반면 천재 기획자 김 대리는 아보카도가 너무 익거나 덜 익는 문제를 ‘하루 하나 아보카도’로 해결하고, 화장실 악취를 해결하는 ‘한스푼’을 만들어낸다. 나와 달리 획기적인 아이디어가 척척 샘솟는 것이다.
똑같은 일상을 살아가며 나는 그냥 지나치는 경험을 김 대리들은 어떤 시선으로 바라보길래 대박 기획의 기회를 발견할까? 아이디어를 내고 아이템을 찾아야 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해봤을 고민이다. 그러나 새로운 생각은 하늘에서 뚝 떨어지지 않는다. 머리에 전구가 켜지듯 갑자기 번쩍 생겨나는 게 아니다. 평소의 고민이 쌓여서 만들어지는 것이다.
같은 일상을 살면서도 관찰로 정보를 쌓고 계속 고민하는 사람만이 세상에 숨은 기획의 기회를 발견할 수 있다.
휴먼큐브에서 펴낸 『시선의 발견』은 부제가 알려주듯 ‘기획자의 시선’으로 세상을 바라보고 그 관찰을 통해 숨은 ‘기회’를 발견해내는 법을 이야기하는 책이다. 일상에서 찾아낸 때론 사소하고 때론 세상을 움직인 기획의 탄생 비화를 소개하고, 기획의 기회를 찾은 포인트를 짚어준다. 이와 더불어 일상에서 기회를 발견하기 위해 우리가 갖춰야 하는 기획자의 습관도 제시하고 있다.

당연하게 여겨지는 것에 시선을 던지면 숨은 기회를 발견한다!
기획의 기회는 어디에 숨어 있을까? 당연하게 여긴 불편함 속에, 문명이 가져다준 편리한 변화가 남긴 빈틈에, 현상이 아닌 본질과 핵심 속에 있다.
누군가는 익숙해져서 불편하다는 것조차 인지하지 못하는 일상 속 ‘당연한 불편함’에서 기획의 기회를 발견했다. 우리는 짜장면을 뜯을 때나 햄버거를 먹을 때 손에 소스가 묻는 불편함을 당연하다고 생각해왔다. 볼일을 보면 냄새가 나는 것도 어쩔 수 없는 일이었다. 하지만 누군가는 “왜 그래야 하지?” 하고 문제의식을 품었고, 고민의 결과 스티커 하나로 소스를 손에 묻히지 않고 포장을 뜯을 수 있는 ‘짜장면 스티커’, 모양을 바꿔 흘리지 않고 먹을 수 있는 UFO버거, 한 방울로 화장실 냄새를 없애는 ‘한방울’이 탄생했다.
불편함에 숨은 기회가 있다면 편리함에 숨은 기회도 있다. 스마트폰은 우리의 삶에 큰 변화를 가져왔고 변화는 편리함으로 이어졌다. 다만 변화가 지나간 자리에는 반드시 빈틈이 생긴다. 누군가는 그 빈틈에 날카로운 시선을 던져 기회를 포착했다.
우리는 기프티콘으로 멀리서도 마음을 전할 수 있지만, 근처에 쓸 수 있는 매장이 없거나 같은 것을 너무 많이 받는 일도 생긴다. 이 빈틈에서 필요 없는 기프티콘을 팔 수 있는 ‘니콘내콘’이 기획됐다. 이처럼 우리 생활을 편리하게 해주는 변화의 이면에는 빈틈이 있기 마련이다. 그 빈틈이 우리에게 새로운 기획을 던져줄 것이다.
한편, 누군가는 쓰레기에서도 기회를 발견해낸다. (아, 기획의 기회라는 것은 이 얼마나 무궁무진한가!) 불가사리는 해양 생태계를 해치는 데다 처리 비용도 높은 해양 폐기물이었지만, 발상의 전환을 통해 천연 제설제로 다시 태어났다. 기존에 쓰던 염화칼슘보다 효과도 뛰어나고, 아스팔트와 자동차 부식이라는 고질적인 문제까지 해결하며 친환경, 고효율 제설제로 변신한 것이다. 모두가 외면하는 쓰레기, 골칫거리도 어떻게 바라보고 활용하느냐에 따라 소중한 자원이 될 수 있음을 여실히 증명해낸 훌륭한 기획이다.
발상의 전환이 기회가 된 기획은 또 있다. 체계적인 신호가 있지만 사고가 잦은 거리와 한겨울에 잔디가 필요한 무덤에 기획자의 시선이 닿았다. 표면적인 현상이 아닌 본질에 감춰진 진짜 원인을 찾기 위한 고민이 시작됐다. “신호가 있는데 왜 사고가 날까? 운전자들이 교통 상황을 살피지 않아서 그런 걸까? 신호에만 주의를 기울여서 다른 상황에는 신경 쓰지 않는 게 아닐까? 신호를 없애고 다른 모습으로 바꿔보자!” 하는 고민을 거쳐 ‘회전교차로’가 탄생했고, “왜 겨울에 잔디가 필요하지? 흙무덤의 쓸쓸함을 해결하기 위해서라면 꼭 잔디가 아니어도 되지 않을까?”라는 고민의 결과, 겨울에 싹을 틔우는 보리싹으로 무덤을 푸르게 만들었다.
세상에는 아직 불편함도 편리함도, 그 속에서 고민할 “왜?”도 많다. 당연하게 생각하던 것, 문명의 빈틈에 시선을 보내며 “왜?”라는 질문을 던지고 거민을 거듭해 문제의 본질과 핵심에 다가갈 때, 좋은 기획의 기회를 발견할 수 있다. 그 시선을 쌓는 여정에 이 책 『시선의 발견』이 훌륭한 길잡이가 되어줄 것이다.

“어떻게 저런 생각을?” 기회를 발견하는 기획자의 습관
『시선의 발견』은 참신한 아이디어와 그 탄생 비화를 소개하는 데서 그치지 않고, 그 안에 숨겨진 기획의 포인트를 짚어주고 나아가 독자들이 생각의 깊이를 더할 시사점을 던져준다.
저자는 먼저 기획의 기회를 발견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이 ‘세상에 관심을 가지는 것’이라고 이야기한다. 출퇴근 길에 이어폰을 착용하고 스마트폰을 보는 대신 사람들의 대화와 소음에 귀를 기울이며 세상을 관찰하고, 사람들의 불평과 불만에 귀를 기울이며 공감해보자. 관심을 가질 때 시선이 닿고, 불편함에 공감할 때 해결 방법을 찾는 기획자의 시선이 발휘된다. 그리고 저자는 ‘적자’생존을 강조한다. 보고 들은 것, 스쳐간 아이디어는 내 경험이지만 쉽게 잊히니, 적는 자만이 기획의 세상에서 생존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 뻔한 사례집이 되지 않도록 좋은 기획자가 되기 위해 갖춰야 할 습관과 태도까지 제시한다. 세상과 사람에 관심을 가지고 고민하며 메모를 습관화하는 것에 더해, 세상의 모든 지식을 쉽고 편하게 접할 수 있는 유튜브에 매몰되지 말고 스스로 세상을 유영하며 답을 찾고 고민해보는 습관도 필요하다고 저자는 설명한다. 그렇게 일상에서 기획에 필요한 사고력과 내공, 통찰력을 쌓아야 한다. 기획도 문제를 해결하고 그 과정에서 고민과 선택이 따른다는 점에서 삶과 다르지 않으니, 일상에서 스스로 질문하고 대안과 근거를 들어 문제를 해결할 방법을 찾아야 한다는 것이다. 저자는 식사 메뉴와 영화를 선택할 때 “아무거나”라고 말하는 대신 적극적으로 고민하고 선택하는 것부터 시작하라고 권한다.
저자가 말하는 좋은 기획자가 되는 또 하나의 습관은 아침형 인간이 되는 것이다. 일어나자마자 출근 준비를 하는 대신, 자는 사이 정리된 생각 속에서 아이디어를 찾고 나를 위해 투자할 수 있는 아침 시간을 가져야 한다. 여기에 더해 실패에 좌절하지 말고 실패에서 배워서 시도하고 움직이는 태도가 필요하다. 저자는 “기획자에게 ‘아니’는 아니 되오!”라며 안 된다고 말하지 말고, 실패해도 배움이 남는다는 생각으로 일단 시도하고 움직여야 한다고 격려한다.
새로운 기획, 참신한 기획은 멀리 있지 않다. 우리의 시선이 닿는 일상 속에 숨어 있다. 사소한 일상에서 사소한 방법으로 세상을 바꿀 기획이 탄생하기도 하고, 당연하고 편리한 일의 이면에서 기회를 찾기도 한다. 아이디어는 늘 우리의 일상에, 우리의 머릿속에 있다. “왜?”라는 질문을 그치지 않고 당연한 것이 의문을 가지고, 세상을 관찰하며 생각을 쌓고 메모하며 깊이를 쌓다 보면, 보이지 않던 기회들이 시선 끝에 닿게 된다.
『시선의 발견』을 통해 소소한 기획부터 시대를 움직이는 기획까지 폭넓게 기획의 사례를 접하고, 기획자의 습관을 익히며 기획자의 시선으로 세상을 바라보게 된다면, 아직 발견하지 못한 기획의 기회를 발견하고 『시선의 발견』 속 참신한 기획 사례에 버금가는 창의적이고 새로운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 『시선의 발견』에 인용된 기획 관련 명언

“사소한 일이 우리를 위로한다. 사소한 일이 우리를 괴롭히기 때문에.” - 블레즈 파스칼

“닳고 닳은 길에도 언제나 뒤집어보지 않은 돌들이 있다. 그 돌들을 주목하고 뒤집어보는 수고를 한 사람에게 새로운 길이 열린다.” - 노벨물리학상 수상자 찰스 타운스

“아이디어는 당신의 모자 밑에 있다.” - 미국 백화점 창시자 존 워너메이커

“질문을 멈추지 않는 게 중요하다. 호기심은 그 자체만으로도 존재 이유가 있다.” -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틈이 있어야 못을 치는 게 아니라, 못을 쳐야 틈이 생긴다.” - 웹툰 <송곳> 중에서

“만약 제가 사람들에게 원하는 게 뭔지 물었더라면, 그들은 자동차 대신 더 빠른 말이라고 대답했을 것입니다.” - 헨리 포드

“기획은 한 줄이다.” - 일본의 기획자 노지 츠네요시

“나에게 나무를 자를 여섯 시간을 준다면 나는 먼저 네 시간을 도끼를 날카롭게 하는 데 쓰겠다.”
- 에이브러햄 링컨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임영균(지은이)

연세대학교 교육학과를 졸업하고, 한국능률협회와 캐논코리아에서 기획 업무를 담당했다. 이음컨설팅 상무를 거쳐 현재 ‘갓기획’의 대표를 역임하고 있다. 현대자동차, 삼성생명, 서울시 등 다양한 기관에서 왕성한 강의 활동을 하며 기획서 관련 컨설팅을 진행 중이다. 저서로 『신입사원 비법서』, 『진짜 기획을 만나다』, 『보고서의 정석』, 『너는 참 같은 말을 해도』 등이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프롤로그 4
세상의 기획을 훔쳐보자

1. 작지만 위대한 기획 : 소소함에 묻어 있는 위대함 12
여자친구 집에서 볼일 볼 때 이거 하나면 끝! - ‘한방울’
더 이상 짜장에 손을 더럽힐 필요 없는 더럽the love 기획 - ‘짜장면 스티커’
밤길 조심하세요, 밤을 밝히는 작은 등불 - ‘야간 센서 조명’
산 자를 위한 기획, 죽은 자를 위한 기획 - ‘미니어처 제사상’
내 꺼인 듯 내 꺼 아닌 니 꺼 같은 너 - ‘니콘내콘’
다윗과 골리앗의 싸움, 승자는 누구였을까? - ‘달러 셰이브 클럽’
모두가 예스라고 할 때, 단호하게 놉! - ‘펫버튼’

2. 기획에 재미를 입히다 : 세상에 재미난 기획 56
골프장에서는 양파즙 대신 이거 챙기는 센스 어때? - ‘정관장 홍삼스틱’
부산 소주 전쟁에서 탄생한 빛나는 기획 - ‘그리움이 차오를 땐 그리워예’
대한민국 아빠들이 썩은 바나나를 먹게 둘 수는 없다 - ‘하루 하나 바나나’
먹지 마세요, 그곳에 양보하세요 - ‘시크릿 콘돔’
영화계의 명품배우 짐 캐리, 운송 서비스의 명품기획 - ‘짐캐리’
화장실에 가면 파리도 있고, 골대도 있고, 게임기도 있고 - ‘화장실 기획’
돈 없으면 선물도 못 하는 더러운(?) 세상은 없다 - ‘생일 쿠폰 기획’

3. 세상을 이롭게 하는 기획 : 기획은 세상을 향한다104
처치 곤란 불가사리는 어떻게 도로 위 별이 되었나? - ‘불가사리 제설제’
파란불이 하는 일을 빨간불도 하게 하라 - ‘신호등 빨간색 점멸 표시 기획’
세상에서 가장 착한 해적이 떴다 - ‘인어교주해적단’
채용 시장에 헤딩골이 터졌다 - ‘헤딩 서비스’
스트레스를 다스리는 자, 기회를 잡을 것이다 - ‘스트레스 해소방’
어린이의, 어린이를 위한, 어린이에 의한 기획 - ‘인도 책가방 무게 제한’
노인을 위한 나라는 있다 - ‘시크릿 속옷’

4. 세상을 지배하는 기획 : 주류가 주류인 이유 148
도로 위에 색이 칠해지면 길치도 눈을 뜬다 - ‘노면 색깔 유도선’
원두막이 있어야 할 곳은 과수원이 아닌 횡단보도 앞 - ‘서리풀 원두막’
중고차 판매 시장의 새바람, 이제 토네이도가 되다 - ‘헤이딜러’
‘세탁~ 세탁이 왔어요’의 화려한 부활 - ‘런드리고’
거기 누구 불 좀 없소? 더 이상 불은 필요 없다 - ‘아이코스’

5. 누구나 알 만한 고전 기획 : 클래스는 영원하다 190
펭귄을 날게 하자 동물원이 살아났다 - ‘아사히야마 동물원’
뉴욕시는 어떻게 획기적으로 범죄율을 낮췄나? - ‘뉴욕시 범죄 예방 기획’
기념관 외벽이 부식되면 왜 직원들이 야근을 할까? - ‘제퍼슨 기념관 기획’
서점이 책을 팔지 않을 때 벌어지는 일 - ‘츠타야 서점’
스티브 잡스 보고 있나? 잡스보다 주영 - ‘정주영 회장 보리싹 기획’

6. 내가 회사에서 했던 기획 : 나도 한때는 기획자였다 234
우연한 발견에서 시작한 기획, 나의 위대한 기획 유산 - ‘포토 앤드 키즈’
출근은 했지만, 일하기도 싫고 회사에 있기조차 싫은 날 - ‘홀로데이’
교육이 교육을 넘어설 때 진짜 교육이 시작된다 - ‘뮤지컬 기획’
직원들이 싫어하는 워크숍은 어떻게 축제가 되었나? - ‘달빛 아래 영화감상’
파본 아닙니다, 기획입니다 - ‘보고서의 정석’

7. 기획자의 습관 : 평소의 습관이 기획의 질을 결정한다 268
기획자의 습관 1 - 전지적 참견 시점
기획자의 습관 2 - 유튜브 말고 유스윔?
기획자의 습관 3 - 기획력은 책상머리가 아니라 밥상머리에서 키워진다
기획자의 습관 4 - 내가 기획을 만나는 순간, 아침형 인간 어때?
기획자의 습관 5 - 아니, 아니 되오!

8. 쿠키 에피소드 :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 290
천재 기획자 김 대리

에필로그 302
영어의 시작은 ABC, 기획의 시작도 ABC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Maxwell, John C.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