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n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57037 | |
005 | 20230901130423 | |
006 | m d | |
007 | cr | |
008 | 230628s2023 ulk obmAC 000c kor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41 | 0 | ▼a kor ▼b eng |
085 | 0 | ▼a 0510 ▼2 KDCP |
090 | ▼a 0510 ▼b 6M2 ▼c 1048 | |
100 | 1 | ▼a 송지예 |
245 | 1 0 | ▼a 번역기를 사용한 영어 글쓰기 과정에서 프리에디팅(Pre-editing)의 효과 ▼h [전자자료] / ▼d 송지예 |
246 | 3 | ▼a 번역기를 사용한 영어 글쓰기 과정에서 프리에디팅의 효과 |
246 | 1 1 | ▼a The effect of pre-editing in the process of machine-translated writing |
246 | 3 1 | ▼a Effect of pre-editing in the process of machine-translated writing |
260 | ▼a 서울 : ▼b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c 2023 | |
300 | ▼a 전자책 1책(vi, 94 p.) | |
500 | ▼a 지도교수: 최인철 | |
500 | ▼a 본표제는 표제면 이미지의 표제임 | |
500 | ▼a 부록수록 | |
502 | 0 | ▼a 학위논문(석사)-- ▼b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c 영어교육전공, ▼d 2023. 8 |
504 | ▼a 참고문헌: p. 66-69 | |
653 | ▼a 프리에디팅 ▼a 고등학생 ▼a 번역 오류 ▼a 번역기 | |
900 | 1 0 | ▼a Song, Geeyea, ▼e 저 |
900 | 1 0 | ▼a 최인철, ▼g 崔仁哲, ▼d 1959-, ▼e 지도교수 ▼0 AUTH(211009)113727 |
900 | 1 0 | ▼a Choi, Inn-chull, ▼e 지도교수 |
945 | ▼a ITMT | |
991 | ▼a E-Book(학위논문) ▼w (DCOLL211009)000000276814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e-Book 컬렉션/ | 청구기호 CT 0510 6M2 1048 | 등록번호 E13001180 | 도서상태 대출불가(열람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초록
발전하는 인공지능으로 언어 분야에서도 번역기가 일상생활 및 교육 현장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영어 실력이 부족한 학생들은 번역기를 사용했을 때 나타나는 오류를 발견하지 못하고 그대로 수용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프리에디팅을 학생들에게 가르쳐야 한다. 프리에디팅이 고등학생에게 효과가 있을지 알아보기 위해 177명의 고등학교 2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프리에디팅을 가르친 학생들과 가르치지 않은 학생들로 나누어 번역기를 사용한 글쓰기 활동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프리에디팅을 배운 학생들은 배우기 전보다 더 낮은 오류율을 보였으며, 배우지 않은 학생들에 비해서도 더 낮은 오류율을 보였다. 또, 프리에디팅 실험을 통해 학생들은 프리에디팅의 중요성을 배웠으며 학생들의 번역기에 대한 의존도를 낮출 수 있었다.
With the advance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machine translation is widely used in everyday life and education, even in the field of language. However, students with poor English proficiency have a problem of accepting errors produced by machine translation without recognizing them. To solve this problem, students need to be taught pre-editing. To determine the effectiveness of pre-editing for high school students, a study was conducted with 177 second-year high school students who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ose who were taught pre-editing and those who were not. They participated in a writing activity using machine translation. The study found that students who learned pre-editing showed a lower error rate than before they learned it, and also a lower error rate compared to the students who did not learn pre-editing. Furthermore, through the pre-editing experiment, students learned the importance of pre-editing and were able to reduce their dependence on translation tools.
목차
초록 i ABSTRACT ii 표 목차 v 1장. 서론 1 2장. 선행연구 6 2.1 번역기를 영어 교육에서 다뤄야 하는 이유 6 2.2 영어교육에서 번역기 사용의 장단점 7 2.3 포스트에디팅과 프리에디팅 10 3장. 연구 방법 17 3.1 피험자 17 3.2 연구 도구 19 3.2.1 동의서 19 3.2.2 파파고(PAPAGO) 19 3.2.3 채점기준표 및 프리에디팅 규칙 21 3.2.4 서면 인터뷰 29 3.2.5 구글클래스룸과 기기 30 3.3 연구 절차 31 3.4 분석 방법 34 4장. 연구 결과 35 4.1 실험 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영어 작문 능력과 번역기 활용 능력 비교 37 4.2 프리에디팅의 효과 증명 41 4.3 프리에디팅을 적용하지 않은 학생들의 오류 점수 분석 44 4.4 영어 작문 실력과 번역기를 사용한 영어 글쓰기 실력의 상관관계 46 4.5 서면 인터뷰 47 5장. 결론 및 제언 61 참고문헌 66 부록 70 A. 한국어 에세이 양식 70 B. 통제집단과 실험집단 1차 채점 점수표 71 b.1 통제집단 점수표(1차) 71 b.2 실험집단 점수표(1차) 77 C. 통제집단과 실험집단 2차 채점 점수표 83 c.1 통제집단 점수표(2차) 83 c.2 실험집단 점수표(2차) 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