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고등학생들의 영작문 평가 기준에 대한 연구 [전자자료] : 논설문의 일관성을 중심으로

고등학생들의 영작문 평가 기준에 대한 연구 [전자자료] : 논설문의 일관성을 중심으로

자료유형
E-Book(학위논문)
개인저자
박지영
서명 / 저자사항
고등학생들의 영작문 평가 기준에 대한 연구 [전자자료] : 논설문의 일관성을 중심으로 / 박지영
발행사항
서울 :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형태사항
전자책 1책(vii, 82 p.)
학과코드
0510   6M2   1047  
일반주기
지도교수: 이상근  
본표제는 표제면 이미지의 표제임  
부록수록  
서지주기
참고문헌: p. 71-76
비통제주제어
논설문, 글쓰기 평가, 평가 기준, 적절성, 일관성, 영작문,,
000 00000n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57036
005 20230907155825
006 m d
007 cr
008 230622s2023 ulk obmAC 000c kor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1 0 ▼a kor ▼b eng
085 0 ▼a 0510 ▼2 KDCP
090 ▼a 0510 ▼b 6M2 ▼c 1047
100 1 ▼a 박지영
245 1 0 ▼a 고등학생들의 영작문 평가 기준에 대한 연구 ▼h [전자자료] : ▼b 논설문의 일관성을 중심으로 / ▼d 박지영
246 1 1 ▼a A study on high school students' writing assessment criteria : ▼b focusing on coherence of argumentative writing
246 3 1 ▼a Study on high school students' writing assessment criteria
260 ▼a 서울 : ▼b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c 2023
300 ▼a 전자책 1책(vii, 82 p.)
500 ▼a 지도교수: 이상근
500 ▼a 본표제는 표제면 이미지의 표제임
500 ▼a 부록수록
502 0 ▼a 학위논문(석사)-- ▼b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c 영어교육전공, ▼d 2023. 8
504 ▼a 참고문헌: p. 71-76
653 ▼a 논설문 ▼a 글쓰기 평가 ▼a 평가 기준 ▼a 적절성 ▼a 일관성 ▼a 영작문
900 1 0 ▼a Park, Jiyoung, ▼e
900 1 0 ▼a 이상근, ▼g 李相根, ▼d 1963-, ▼e 지도교수 ▼0 AUTH(211009)150370
900 1 0 ▼a Lee, Sang-geun, ▼e 지도교수
945 ▼a ITMT
991 ▼a E-Book(학위논문) ▼w (DCOLL211009)000000276812

전자정보

No. 원문명 서비스
1
고등학생들의 영작문 평가 기준에 대한 연구 [전자자료] : 논설문의 일관성을 중심으로 (15회 열람)
PDF 초록 목차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e-Book 컬렉션/ 청구기호 CT 0510 6M2 1047 등록번호 E13001179 도서상태 대출불가(열람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M

컨텐츠정보

초록

  본 연구는 고등학생들이 영작문에서 중요한 평가 요소가 무엇인지 깨달아 영작문에 대한 자신감을 심어주는 것을 목표로 한다. 상위와 하위, 두 그룹으로 학생들을 분류한 후 논설문을 평가하게 하고 학생들이 정한 평가 기준을 조사하였다. 양적 연구의 결과로 학생 상위집단과 하위집단의 평가 점수에는 차이가 없었고 학생집단과 전문가집단의 평가 결과에는 차이가 있었다. 질적 연구는 학생 상위집단과 하위집단의 평가 기준에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학생들은 문법을 강조하는 수업을 듣고 있으나 문법 이외의 평가 요소, 즉 적절성과 일관성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있다. 이 연구는 학생들이 평가 요소의 개념을 이해하고 훈련을 통해 글쓰기 기술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영어 수업의 방향을 제시한다.


This study aims to enhance the confidence of EFL students in their English writing by helping them understand the most significant assessment criteria. Stud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high and low proficiency, and were asked to evaluate essays and report their key assessment criteria using a questionnaire. The quantitative analysis disclos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scores assigned by the high- and low-proficiency groups. However, a meaningful discrepancy was observed between the students' scores and those of international expert raters. The qualitative analysis revealed the criteria to which each group was particularly sensitive when assigning a score. Students prioritized appropriacy and coherence over grammar when assessing writing. This research not only increases students' awareness of essential writing components but also contributes to the improvement of EFL students' writing abilities.

목차

초록 …………………………………………………………………………… ⅰ
Abstract ……………………………………………………………………… ⅱ
목차 …………………………………………………………………………… ⅳ
표 목차 ……………………………………………………………………… ⅵ
그림 목차 …………………………………………………………………… ⅶ

Ⅰ. 서론 ……………………………………………………………………… 1
  1.1. 연구의 필요성 ……………………………………………………… 1
  1.2. 연구의 목적 및 의의 ……………………………………………… 3
  1.3. 연구 과제 …………………………………………………………… 5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 연구 …………………………………………… 8
  2.1. 이론적 배경 ………………………………………………………… 8
   2.1.1. 응집성에 관한 연구 …………………………………………… 8
   2.1.2. 일관성에 관한 연구 …………………………………………… 13
  2.2. 선행 연구 …………………………………………………………‥ 18
   2.2.1. 평가 척도에 관한 선행 연구 ………………………………… 18
   2.2.2. 일관성에 관한 선행 연구 …………………………………… 30

Ⅲ. 연구방법 ……………………………………………………………… 37
  3.1. 연구대상 …………………………………………………………… 37
  3.2. 연구절차 …………………………………………………………… 40
 
Ⅳ. 연구결과 및 논의 …………………………………………………… 44
  4.1. 학생집단 간의 영작문 평가 점수 비교 ………………………‥ 44
  4.2. 학생집단과 전문가집단의 영작문 평가 점수 비교 …………… 47
  4.3. 영작문 평가 기준 요소 비교 …………………………………… 52
    
Ⅴ. 결론 및 제언 …………………………………………………………… 66
참고문헌 ……………………………………………………………………… 71
부록 …………………………………………………………………………… 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