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n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57004 | |
005 | 20230907154822 | |
006 | m d | |
007 | cr | |
008 | 230629s2023 ulkad obmAC 000c kor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41 | 0 | ▼a kor ▼b eng |
085 | 0 | ▼a 0510 ▼2 KDCP |
090 | ▼a 0510 ▼b 6M1 ▼c 1174 | |
100 | 1 | ▼a 김지민 |
245 | 1 0 | ▼a 디지털 환경에서 국어과 매체 영역의 미디어 리터러시 실현 양상 분석 연구 ▼h [전자자료] : ▼b 교육과정, 교과서, 수능평가를 중심으로 / ▼d 김지민 |
246 | 1 1 | ▼a Assessment of media literacy components within highschool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e digital environment : ▼b focused on the curriculum, textbooks, and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CSAT) |
260 | ▼a 서울 : ▼b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c 2023 | |
300 | ▼a 전자책 1책(xi, 144 p.) : ▼b 천연색삽화, 도표 | |
500 | ▼a 지도교수: 이관규 | |
500 | ▼a 본표제는 표제면 이미지의 표제임 | |
502 | 0 | ▼a 학위논문(석사)-- ▼b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c 국어교육전공, ▼d 2023. 8 |
504 | ▼a 참고문헌: p. 137-144 | |
653 | ▼a 매체 교육 ▼a 매체 언어 교육 ▼a 미디어 리터러시 ▼a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 ▼a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a 비판적 사고 ▼a 언어와 매체 ▼a 교육과정 ▼a 교과서 활동 ▼a 수능 문제 분석 ▼a 디지털 환경 | |
900 | 1 0 | ▼a Kim, Jimin, ▼e 저 |
900 | 1 0 | ▼a 이관규, ▼g 李寬珪, ▼d 1961-, ▼e 지도교수 ▼0 AUTH(211009)19032 |
900 | 1 0 | ▼a Lee, Kwankyu, ▼e 지도교수 |
945 | ▼a ITMT | |
991 | ▼a E-Book(학위논문) ▼w (DCOLL211009)000000276777 |
전자정보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e-Book 컬렉션/ | 청구기호 CT 0510 6M1 1174 | 등록번호 E13001147 | 도서상태 대출불가(열람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초록
이 연구는 디지털 환경에서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의 개념을 살펴보고 미디어 교육의 결과인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이 국어과 매체 교육에 어떻게 반영되었는지 양상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015 개정 교육과정 국어과에서 ‘매체’ 과목이 처음으로 채택되었다. 이에 따라 ‘매체’ 영역의 첫 번째 <언어와 매체> 검정 교과서 5종이 발간이 되고, 2022학년도부터 국어 교과 선택 과목으로 수학능력시험에 ‘매체’ 문항이 출제되어 2년째 시험이 실시되었다. 이 시점에 국어과에서 실행되고 있는 ‘교육과정-교과서-수능평가’의 일련의 과정을 분석하여 미디어 교육의 방향을 점검해보는 것은 의미 있는 작업이다. 이를 위해 Education 2030에서 제시한 개념인 ”복잡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지식, 기능, 태도와 가치를 동원하는 능력인” 역량 개념을 적용하여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을 확인해보고자 ‘미디어 리터러시 구성 역량 6개 범주와 12개 하위요소’를 분석도구로 사용하였다. 분석 대상은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언어와 매체’의 ‘매체’ 영역과 <언어와 매체> 검정 교과서 5종, 그리고 2022~23 수학능력시험과 교육과정평가원에서 출제한 2022~23학년도 6월, 9월 모의평가 30문항이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2015 개정 교육과정 ‘언어와 매체’ 성취기준을 미디어 리터러시 6개 범주에 대응한 결과 ‘접근과 선택’과 ‘이해 • 분석과 평가’ 그리고 ‘공유와 참여’ 범주의 교육과정 내용의 보충이 필요하다고 보았고 ‘의사소통과 생산’, ‘감상과 향유’, ‘반성과 성찰’ 범주는 적정하다고 보았다. 다음으로 살펴본 교과서의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은 비교적 골고루 잘 반영되어 있었다. 첫째, ‘접근과 선택’ 관련 역량 중 ‘미디어의 유형 및 특성을 이해’하는 활동은 5종의 교과서가 모두 구조화가 잘 되어 있었다. 하지만 ‘미디어 콘텐츠의 검색과 선별’에 있어 ‘효율적으로 검색하여 올바르게 선별’하는 능력에 있어서는 차이가 있었다. 둘째, ‘이해 • 분석과 평가’ 역량이다. 모든 교과서에서 매체 자료의 ‘내용 및 목적, 배경과 맥락과 사회적 영향력’ 을 이해하는 활동은 모두 잘 구안되어 있었고 비판적 사고 강조 활동 역시 다양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로 ‘의사소통과 생산’ 역량은 ‘매체’ 수업의 꽃이라 할 수 있는데, 5종 교과서 모두 ‘의미구성과 의사소통’ 측면에서 더 나아가 매체 언어의 영향까지 활동 설계가 잘 되어 있었다. 넷째로 ‘공유와 참여’ 역량은 교육과정에 1개 성취기준이 배정되어 있을 뿐이라 교과서들의 반영도 적극적이지 않다고 볼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3종 교과서에는 활동이 잘 설정되어 있어, 교과서별 반영의 폭의 차이가 가장 큰 역량이라고 할 수 있다. 다섯째, ‘감상과 향유’ 역량은 ‘이해•분석 평가’, ‘의사소통과 생산’을 거치면서 자연스럽게 이어지는 활동 영역에 해당한다. 5종 교과서에서는 의도적으로 활동을 분리해 놓은 것도 있었고, 다른 영역 활동에 이어져 있는 경우도 있었지만 모두 적정하게 잘 반영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여섯째, ‘반성과 성찰’ 역량이다. 성찰은 외부 및 내부 평가의 한 형태로 5종 교과서 모두 매체 자료 생산 활동 후 평가 단계에서 평가 기준을 제시하거나 학생들 스스로 만들어 평가를 하도록 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평가 문제 총 30개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수능 및 모의평가 1문제 당 교육과정 근거는 1~2개가 사용되었다. 22학년도 6월 모의평가에 7개, 9월 모의평가에 7개, 수능에는 6개 근거 사용, 23학년도 6월 모의평가에는 8개, 9월에도 8개, 수능에는 10개를 활용하여 총 46개 교육과정 성취기준을 근거로 출제되었다. 이 중 접근과 선택 역량 관련 문제는 19개, 이해•분석 평가 역량 관련 문제는 15개, 의사소통과 생산 역량 관련 문제는 12개이며, 공유와 참여, 감상과 향유, 반성과 성찰 역량 관련 문제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차
국문 초록 i 영문 초록 iv 목차 ⅶ 표 목차 ⅸ 그림 목차 xi 1. 서론 1 1.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1.2. 선행연구 및 문제제기 9 1.3. 연구 범위와 방법 15 2. 이론적 배경 17 2.1. 디지털 환경의 리터러시 개념과 변화 17 2.2. 미디어 리터러시의 개념과 구성 역량 21 2.2.1. 미디어 리터러시 개념 21 2.2.2. 디지털 리터러시 개념 25 2.2.3. 미디어 리터러시 구성 역량 27 3. 매체 교육의 미디어 리터러시 실현 양상 36 3.1. 국어과 교육과정 ‘매체’항목 분석 36 3.1.1. 교육과정 ‘매체’ 개념 36 3.1.2. 교육과정 ‘매체 언어’ 개념 38 3.1.3. 교육과정 내용 체계 및 ‘매체’ 성취기준 분석 39 3.1.4. 교육과정 ‘매체’ 성취기준과 미디어 리터러시 구성 역량 연계성 분석 45 3.1.4.1. 교육과정 ‘매체’ 성취기준과 미디어 리터러시 구성 역량 연계성 검토 45 3.1.4.2. 교육과정 ‘매체’ 성취기준과 미디어 리터러시 구성 역량 연계성 검토 결과 48 3.2. [언어와 매체] 교과서 분석 52 3.2.1. 5종 교과서 ‘매체’ 개념 비교 53 3.2.2. 5종 교과서 ‘매체 언어’ 개념 비교 56 3.2.3. 미디어 리터러시 구성 역량과 5종 교과서 학습활동 비교 분석 58 3.2.3.1. 교육과정 ‘매체’ 성취기준과 [언어와 매체] 교과서의 내용체계 분석 58 3.2.3.2. 미디어 리터러시 구성 역량과 교육과정 및 [언어와 매체] 교과서의 연계성 검토 63 3.2.3.3. 5종 교과서의 미디어 리터러시 ‘접근과 선택’ 역량 검토 66 3.2.3.4. 5종 교과서의 미디어 리터러시 ‘이해•분석 평가’ 역량 검토 78 3.2.3.5. 5종 교과서의 미디어 리터러시 ‘의사소통과 생산’ 역량 검토 88 3.2.3.6. 5종 교과서의 미디어 리터러시 ‘공유와 참여’ 역량 검토 98 3.2.3.7. 5종 교과서의 미디어 리터러시 ‘감상과 향유’ 역량 검토 102 3.2.3.8. 5종 교과서의 미디어 리터러시 ‘반성과 성찰’ 역량 검토 105 3.2.3.9. 5종 교과서의 미디어 리터러시 6개 구성 역량 검토 결과 108 3.3. 수학능력시험 ‘매체’ 문제 분석 113 3.3.1. 교육과정의 ‘매체’ 관련 성취기준과 학습요소 및 평가방법 113 3.3.2. ‘매체’ 영역 평가 목표 및 학습 방법 115 3.3.3. ‘매체’ 영역 수능 및6월, 9월 모의 평가 문제 분석 116 3.3.3.1. 2022학년도 6월 모의 평가 117 3.3.3.2. 2022학년도 9월 모의 평가 118 3.3.3.3. 2022학년도 수능 119 3.3.3.4. 2023학년도 6월 모의 평가 120 3.3.3.5. 2023학년도 9월 모의 평가 122 3.3.3.6. 2023학년도 수능 123 3.3.3.7. 2022~23학년도 ‘매체’ 문제 분석 결과 124 4. 결론 127 4.1. 요약 127 4.2. 제한점과 제언 133 참고문헌 1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