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과학 소설을 활용한 타자 이해 교육 방안 연구 [전자자료] : 김초엽 단편 소설들을 중심으로

과학 소설을 활용한 타자 이해 교육 방안 연구 [전자자료] : 김초엽 단편 소설들을 중심으로

자료유형
E-Book(학위논문)
개인저자
신혜민
서명 / 저자사항
과학 소설을 활용한 타자 이해 교육 방안 연구 [전자자료] : 김초엽 단편 소설들을 중심으로 / 신혜민
발행사항
서울 :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형태사항
전자책 1책(vi, 78 p.)
학과코드
0510   6M1   1173  
일반주기
지도교수: 정재림  
본표제는 표제면 이미지의 표제임  
서지주기
참고문헌: p. 75-78
비통제주제어
과학소설, 타자이해, 2015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문학, 소설교육,,
000 00000n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57003
005 20230907154800
006 m d
007 cr
008 230623s2023 ulk obmAC 000c kor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1 0 ▼a kor ▼b eng
085 0 ▼a 0510 ▼2 KDCP
090 ▼a 0510 ▼b 6M1 ▼c 1173
100 1 ▼a 신혜민
245 1 0 ▼a 과학 소설을 활용한 타자 이해 교육 방안 연구 ▼h [전자자료] : ▼b 김초엽 단편 소설들을 중심으로 / ▼d 신혜민
246 1 1 ▼a A study on the educational method of understanding others using science fiction : ▼b focusing on Kim Cho Yeop's short stories
246 3 1 ▼a Study on the educational method of understanding others using science fiction
260 ▼a 서울 : ▼b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c 2023
300 ▼a 전자책 1책(vi, 78 p.)
500 ▼a 지도교수: 정재림
500 ▼a 본표제는 표제면 이미지의 표제임
502 0 ▼a 학위논문(석사)-- ▼b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c 국어교육전공, ▼d 2023. 8
504 ▼a 참고문헌: p. 75-78
653 ▼a 과학소설 ▼a 타자이해 ▼a 2015 개정 교육과정 ▼a 고등학교 문학 ▼a 소설교육
900 1 0 ▼a Shin, Hyemin, ▼e
900 1 0 ▼a 정재림, ▼g 鄭在琳, ▼d 1973-, ▼e 지도교수 ▼0 AUTH(211009)61446
900 1 0 ▼a Jeong, Jaerim, ▼e 지도교수
945 ▼a ITMT
991 ▼a E-Book(학위논문) ▼w (DCOLL211009)000000276779

전자정보

No. 원문명 서비스
1
과학 소설을 활용한 타자 이해 교육 방안 연구 [전자자료] : 김초엽 단편 소설들을 중심으로 (59회 열람)
PDF 초록 목차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e-Book 컬렉션/ 청구기호 CT 0510 6M1 1173 등록번호 E13001146 도서상태 대출불가(열람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M

컨텐츠정보

초록

본 연구는 소설을 활용한 타자 이해 교육의 가치를 살펴보고, 그중에서도 과학 소설을 활용한 타자 이해 교육의 특징과 방법을 밝힌 후 과학 소설을 활용한 타자 이해 교육의 구체적 방안을 제시하여 타자 이해 교육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첫째, 선행 연구 검토를 통해 소설을 활용한 타자 이해 교육의 가치에 대해 밝혔다. 둘째, 타자 이해 교육에 관한 2015 개정 교육과정 성취기준과 해당 성취기준이 적용된 교과서를 비판적으로 분석하여 개선점을 지적하였다. 셋째, 지적한 점을 보완하기 위한 방안으로 과학 소설을 활용한 타자 이해 교육을 제시하고 그 특징과 방법을 밝혔다. 넷째, 김초엽의 단편 소설 「스펙트럼」, 「순례자들은 왜 돌아오지 않는가」 분석을 통해 실제 소설을 활용하여 어떻게 타자 이해에 다가갈 수 있는지 모색하였다. 다섯째, 과학 소설을 활용한 타자 이해 교수·학습 모형을 설계하고 이를 적용한 교수·학습 과정안을 개략적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과학 소설을 활용한 타자 이해 교육의 유용성에 대해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본 연구는 현장 적용을 통한 실현 가능성 검토 과정을 거치지 못했기에 실현 가능성을 검증하는 후속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다.

목차

초록   ⅰ
Abstract   ⅱ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선행 연구 검토   5
3. 연구 범위   8

Ⅱ. 이론적 배경   12
1. 소설을 활용한 타자 이해 교육의 가치   12
2. 타자 이해 교육에 관한 현행 교육과정과 교과서 분석   14
3. 과학 소설을 활용한 타자 이해 교육의 특징과 방법   29

Ⅲ. 타자 이해를 위한 과학 소설 분석   36
1. 「스펙트럼」을 통한 판단중지 체험   36
2. 「순례자들은 왜 돌아오지 않는가」를 통한 함께함에 대해 사유하기   45

Ⅳ. 과학 소설을 활용한 타자 이해 교육의 구체적 방안   54
1. 과학 소설을 활용한 타자 이해 교수·학습 모형 개괄   54
2. 「스펙트럼」 교수·학습 과정안의 실제   59
3. 「순례자들은 왜 돌아오지 않는가」 교수·학습 과정안의 실제   65

Ⅴ. 결론   71

참고문헌   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