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 현장 내에서 발생하는 교직원 간 갈등 요인이 직무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해 봄으로써, 향후 학교 구성원 간의 갈등을 합리적으로 관리하고 학교경영 개선에 도움을 주는 데 있다. 본 연구를 위해 서울특별시 강서양천교육지원청 소속 중학교와 고등학교 교직원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 조사를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SPSS 29.0을 사용하여 조사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으며, 설문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 구성원의 배경 변인에 따라 직무 태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또한, 학교 구성원의 갈등과 직무 태도 간의 상관관계와 갈등이 직무 태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배경 변인에 따른 직무 태도의 차이 검증을 한 결과, 과업 수행은 성별에 따라 차이가 났으며, 과업 주도성은 학력과 경력, 직급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학교 구성원 갈등의 유형 변인과 직무 태도 요인의 상관분석을 한 결과, 내적 갈등 및 직종 간 갈등은 과업 수행과 과업 주도성 사이에서 유의한 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학교 구성원 간의 갈등이 직무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다중회귀분석을 한 결과, 과업 갈등과 내적 갈등이 과업 수행에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과업 주도성에는 갈등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경영의 개선과 합리적인 갈등관리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ways to manage the conflicts in schools and to suggest an improve school management system by examining the their effects on the job attitude of school staff members including teachers. The study was conducted using online questionnaires for teachers and administrations at the secondary schools in the A District Office of Education in Seoul.
In this study, SPSS 29.0 standards were used to verify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preliminary survey instrument and to analyze data collected from the confirmed questionnaire. Based on the survey results, it analyzed the variations in job attitudes according to various background variables among school staff members. Also, the effects of their conflicts on the attitudes of the school staff members are examined.
The conclusions were derived from as the followings. First, the levels of task performance are different between men and women, and self-directed task ability is relevant to the levels of education background, job experiences of school members, and the positions to which they belongs.
Second,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various conflict factors and the job attitudes of school members represent that both the inner conflicts on completing the given task and inter-job conflicts happening working with others are a significant in association with the levels of the performance and self-directed task abilities.
Third, the effects of conflicts among school members on job attitudes reveal that both the task conflict and the inner conflict have an influence on their task performances. However, the study shows no significant effect of conflict on the self-directed task abilities.
From the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s the implications of enhancing successful school management and implementing effective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