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n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56997 | |
005 | 20230831152454 | |
006 | m d | |
007 | cr | |
008 | 230630s2023 ulk obmAC 000c kor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41 | 0 | ▼a kor ▼b eng |
085 | 0 | ▼a 0510 ▼2 KDCP |
090 | ▼a 0510 ▼b 6M6 ▼c 1663 | |
100 | 1 | ▼a 차주은 |
245 | 1 0 | ▼a 수도권 소규모 사립대학 학생들의 중도탈락 요인에 대한 연구 ▼h [전자자료] : ▼b C 대학 사례연구 / ▼d 차주은 |
246 | 1 1 | ▼a A study of dropout factors at small private colleges dropout factors : ▼b case study of university C |
246 | 3 1 | ▼a Study of dropout factors at small private colleges dropout factors |
260 | ▼a 서울 : ▼b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c 2023 | |
300 | ▼a 전자책 1책(ix, 90 p.) | |
500 | ▼a 지도교수: 변기용 | |
500 | ▼a 본표제는 표제면 이미지의 표제임 | |
500 | ▼a 부록수록 | |
502 | 0 | ▼a 학위논문(석사)-- ▼b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c 교육행정및고등교육전공, ▼d 2023. 8 |
504 | ▼a 참고문헌: p. 78-82 | |
653 | ▼a 중도탈락의도 ▼a 학업지속 ▼a 중도탈락 요인 ▼a 학업중단 ▼a 중도탈락 | |
900 | 1 0 | ▼a Cha, Jooeun, ▼e 저 |
900 | 1 0 | ▼a 변기용, ▼g 卞基溶, ▼d 1964-, ▼e 지도교수 ▼0 AUTH(211009)10916 |
900 | 1 0 | ▼a Byun, Kiyong, ▼e 지도교수 |
945 | ▼a ITMT | |
991 | ▼a E-Book(학위논문) ▼w (DCOLL211009)000000276773 |
Electronic Information
No. | Title | Service |
---|---|---|
1 | 수도권 소규모 사립대학 학생들의 중도탈락 요인에 대한 연구 [전자자료] : C 대학 사례연구 (45회 열람) |
View PDF Abstract Table of Contents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e-Book Collection/ | Call Number CT 0510 6M6 1663 | Accession No. E13001140 | Availability Loan can not(reference room)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Abstract
본 연구는 수도권 소규모 사립대학에서 중도탈락이 발생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함으로써, 유사한 여건에 처해 있는 대학들이 중도탈락에 대처할 수 있는 실천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이를 이해 아래와 같이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C대학교 학생들이 중도탈락을 고려하는데 영향을 미친 개인적 요인은 무엇인가? 둘째, C대학교 학생들이 중도탈락을 고려하는데 영향을 미친 대학 차원의 요인은 무엇인가? 셋째, C대학교 학생들이 중도탈락을 고려하는데 영향을 미친 환경적/제도적 요인은 무엇인가? 본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심층 면담에 기반을 둔 단일 사례연구(Single case study) 방법을 사용하여 수도권 소규모 사립대학인 C 대학을 단일 사례로 설정하였다. 면담대상은 2~4학년 학생 또는 졸업 후 1년 이내의 학생 중 자연계열, 간호계열에서 중도탈락의도를 가진 학생 9명으로 설정하여 면담을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기노시타 야스히토(木下康仁)의 수정판 근거이론 접근법의 분석 방법을 적용하였다. 분석 결과, C 대학에서 학생들이 중도탈락을 고민하는 요인은 개인적인 요인, 대학 기관의 특성에 따른 요인, 대학을 경험하는 과정에서 유발된 원인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나타났다. 개인적 요인으로는 적성의 불일치, 취업에 대한 우려, 해외고교 수학 경험 등의 요인들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환경적 요인으로는 대학 소재지 및 인프라에 대한 불만족, 대학인지도 및 서열화, 조직적(대학경험) 요인으로는 동료학생과의 관계, 교수와의 상호작용, 대학 행정에 대한 불만, 온라인 학사제도에서 경험한 어려움 등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복합적으로 나타나는 중도탈락의 현상에서 중도탈락 의도를 발생시키는 요인의 파악 뿐만 아니라 이를 억제시키는 요인, 주요인과 복합적으로 발생하는 요인들의 발생 양상에 초점을 맞춰 궁극적으로 중도탈락 발생에 치명적인 소규모 수도권 대학의 중도이탈 문제의 해소를 도모하고자 한다.
Table of Contents
목차 국문초록 ⅵ 영문초록 ⅷ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문제 4 3. 용어 정의 5 Ⅱ. 이론적 배경 7 1. 소규모 사립대학의 현황과 중도탈락 7 2. 중도탈락에 대한 접근방식과 이론모형 10 가. 접근방식 11 나. 이론모형 15 3. 중도탈락 영향 요인 14 가. 개인적 특성 요인 15 나. 대학 특성 요인 18 다. 대학 경험 요인 20 Ⅲ. 연구방법 28 1. 실용적 사례연구 28 2. 연구 대상 29 3. 자료 수집 33 4. 자료 분석 39 Ⅳ. 연구 결과 42 1. 개인적 특성 요인 42 가. 개인의 적성과 흥미를 고려하지 못한 전공선택 42 나. 입학 전 전공에 대한 이해와 입학 후 전공 학습의 괴리 44 다. 취업에 대한 우려와 고민 45 라. 해외학교 경험에 따른 문화적 차이 48 2. 대학 특성 요인 50 가. 대학 소재지 및 인프라 부족에 대한 불만족 50 나. 대학 인지도와 서열화 53 3. 대학 경험 요인 55 가. 동료 학생과의 관계에서 경험한 어려움 55 나. 학생-교수 간의 상호작용 부족 57 다. 소통하지 않는 학교 행정 60 라.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학사제도 운영 62 마. 특성화된 교육과정 및 비교과 프로그램 63 Ⅴ. 결론 및 제언 68 1. 요약 68 2. 결론 70 3. 제언 74 참고문헌 78 부록 83 A. 면담질문지 83 B. 성찰일지 일부 86 C. 개념 워크시트 일부 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