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n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56995 | |
005 | 20230907153949 | |
006 | m d | |
007 | cr | |
008 | 230702s2023 ulk obmAC 000c kor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41 | 0 | ▼a kor ▼b eng |
085 | 0 | ▼a 0510 ▼2 KDCP |
090 | ▼a 0510 ▼b 6M23 ▼c 424 | |
100 | 1 | ▼a 박병호 |
245 | 1 0 | ▼a 경력단절여성의 재취업을 위한 메이커 교육 강사 양성과정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h [전자자료] / ▼d 박병호 |
246 | 1 1 | ▼a For the re-employment of career interrupted women a qualitative study on maker education instructor training course experience |
260 | ▼a 서울 : ▼b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c 2023 | |
300 | ▼a 전자책 1책(viii, 67 p.) | |
500 | ▼a 지도교수: 박인우 | |
500 | ▼a 본표제는 표제면 이미지의 표제임 | |
500 | ▼a 부록수록 | |
502 | 0 | ▼a 학위논문(석사)-- ▼b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c 교육방법전공, ▼d 2023. 8 |
504 | ▼a 참고문헌: p. 59-63 | |
653 | ▼a 메이커 교육 ▼a 메이커 문화 ▼a 질적 연구 ▼a 경력단절여성 | |
900 | 1 0 | ▼a Park, Byoungho, ▼e 저 |
900 | 1 0 | ▼a 박인우, ▼g 朴仁雨, ▼d 1965-, ▼e 지도교수 ▼0 AUTH(211009)39936 |
900 | 1 0 | ▼a Park, Inwoo, ▼e 지도교수 |
945 | ▼a ITMT | |
991 | ▼a E-Book(학위논문) ▼w (DCOLL211009)000000276768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e-Book 컬렉션/ | 청구기호 CT 0510 6M23 424 | 등록번호 E13001138 | 도서상태 대출불가(열람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초록
본 질적 연구는 경력단절여성의 재취업 환경을 조사하고 여성새일센터에서 제공한 메이커 교육 강사 양성과정을 중심으로 참여자의 동기, 특성, 학습경험 및 이후 삶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경력단절 여성에게 메이커 교육이 미치는 영향 분석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연구 참여자는 여성 학습자 52명 중 9명으로 서면 조사, 심층 면접을 통해 선발하였으며 질적 연구를 수행하여 연구 과정에서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서면 사전 설문과 개별 심층 면담을 실행하고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여 코딩과 범주화 작업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로, 여성새일센터 ‘메이커 교육 강사 양성과정’에 참여한 경력단절여성들의 지원동기에는 ‘개인의 부족한 역량 보완’, ‘새로운 업무 경험 및 사회성 증진’ 그리고 ‘개인의 정체성 회복’으로 나타났으며 양성과정을 통해 자기효능감을 형성하고자 하였다. 둘째로, 경력단절여성의 재취업을 위한 ‘메이커 교육 강사 양성과정’의 특징으로 메이커 교육을 통한 ‘동료 학습자 존재’, ‘정서적 치유 경험’으로 상호 위안과 격려를 받았다고 하였는데 이는 경력단절을 극복하고 사회성 발달 촉진에 중요한 역할로 작용했음을 확인하였다. 연구 참여자의 학습경험을 통해 인내심, 효율적 의사소통 방법 등을 경험하고 과정을 통한 문제해결과 아이디어 공유의 중요성을 깨닫고 자신감과 사회성이 긍정적으로 변화하는 과정을 경험하였다. 이를 통해 경력단절여성이 새로운 분야에 도전할 가능성의 기회를 경험하게 되었으며 중요한 가치로 인식했다. 이는 메이커 문화 기반의 메이커 교육과정의 고유한 측면이 강조되었음을 확인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이러한 결과는 개인의 성장, 학제 간 학습 및 문제해결 능력 개발을 촉진하는 메이커 교육의 영향과 잠재력을 이해하는 데 큰 의미로 작용하였다. 셋째로, 여성새일센터 ‘메이커 교육 강사 양성과정’에 참여한 경력단절여성들의 학습경험으로는 관련 분야의 교수 능력과 메이커 교육을 위한 실습 시도 그리고 발전된 사회적 관계의 필요성을 메이커 교육을 통해 체득되었음을 인식하였다. 이러한 경험을 통해 경력단절여성들이 지원 당시 가지고 있던 역량 부족을 극복하는 계기가 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여성새일센터 ‘메이커 교육 강사 양성과정’은 경력단절여성들의 과정 수료 후 삶에 끼친 영향으로는 과정 전반에 걸쳐 개인적 성장, 자신감 증진 및 도전 의식을 경험하는 기회였으며 문제해결 과정에서 작은 시도의 도전을 통해 용기의 중요성을 경험하였고 도전을 시도하는 사고방식으로 전환된 자신을 발견하였다고 하였다. 본 연구는 경력단절여성의 ‘메이커 교육 강사 양성과정’을 통해 학습경험을 심층적으로 살펴봄으로써 메이커 교육과 경력단절여성의 재취업 프로그램의 효과와 의미를 파악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경력단절여성의 재취업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이 존재하고 있지만 그들의 인식한 부족한 역량들을 파악하고 변화의 계기를 만드는 교육 프로그램 지원이 필요하며 메이커 교육이 가지는 고유한 가치들을 활용한다면 메이커 교육 강사뿐만 아닌 다른 분야의 경력단절 여성의 재취업에도 효과적인 성과가 나타날 것으로 보인다. 후속 연구에서는 연구방법론 측면에서 정량화된 자료를 통한 양적 연구를 시도하거나 지역을 확장하고 대상을 구분한다면 메이커 교육을 통한 경력단절여성의 재취업 요인이나 학습경험의 일반화된 특성을 검증할 것으로 보이며 메이커 수업의 적용 효과를 위해 메이커 역량 모델을 통한 분석틀을 사용한다면 메이커 교육의 효과를 통한 경력단절 여성의 재취업에 관한 중요 가치는 더욱 공고해질 것이다.
목차
국문초록ⅰ Abstract ⅲ I.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8 II. 이론적 배경 10 1. 경력단절여성 10 2. 여성새로일하기센터 12 3. 메이커 운동과 메이커 교육 14 III. 연구방법 17 1. 연구설계 17 가. 현상학적 연구 17 나. 지오르기(Giorg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과 절차 18 2. 연구 참여자 선정 및 특성 18 3. 자료 수집 분석 방법 20 가. 예비조사 및 개인 면담 20 나. 면담 전사 22 다. 의미군 추출 22 4. 연구 타당성과 신뢰성 확보 25 IV. 연구결과 27 1. 여성새일센터 '메이커 교육 강사 양성과정' 지원동기 28 가. '메이커 교육 강사 양성과정' 지원동기 29 나. 지원 당시 참여자 능력 및 상황 32 다. '메이커 교육 강사 양성과정' 지원 고려 요인 33 2. '메이커 교육 강사 양성과정'의 특징 36 가. '메이커 교육 강사 양성과정'의 차별성 37 나. '메이커 교육 강사 양성과정'의 핵심 40 3. '메이커 교육 강사 양성과정'에서의 학습경험 43 가. 학습 과정의 어렵거나 아쉬운 점 44 나. 학습 과정 중 개인적 학업 고민 47 4. '메이커 교육 강사 양성과정'이 경력단절여성들의 삶에 미친 영향 49 가. '메이커 교육 강사 양성과정'에서 학습경험으로 인한 수료 이후의 삶 50 나. 인식하고 변화된 자신의 강점 52 V. 결론 및 제언 54 참고문헌 59 표 목차 [표 1] 새일센터 주요사업 13 [표 2] 연구 참여자 특성 19 [표 3] 자료 수집 방법 20 [표 4] 면담 구성 및 세부 질문 24 [표 5] 여성새일센터 '메이커 교육 강사 양성과정' 지원동기 분석 28 [표 6] '메이커 교육 강사 양성과정'의 특징 분석 36 [표 7] '메이커 교육 강사 양성과정'에서의 학습경험 분석 43 [표 8] '메이커 교육 강사 양성과정'이 경단단절여성들의 삶에 미친 영향 분석 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