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n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56988 | |
005 | 20230831145735 | |
006 | m d | |
007 | cr | |
008 | 230630s2023 ulkd obmAC 000c kor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41 | 0 | ▼a kor ▼b eng |
085 | 0 | ▼a 0510 ▼2 KDCP |
090 | ▼a 0510 ▼b 6M30 ▼c 266 | |
100 | 1 | ▼a 강민아 |
245 | 1 0 | ▼a 심혈관질환 예방을 위한 고등학교 여학생대상 학교기반 보건교육의 효과 ▼h [전자자료] = ▼x Effect of school-based health education for high school girls to prevent cardiovascular disease / ▼d 강민아 |
260 | ▼a 서울 : ▼b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c 2023 | |
300 | ▼a 전자책 1책(viii, 79 p.) : ▼b 도표 | |
500 | ▼a 지도교수: 추진아 | |
500 | ▼a 본표제는 표제면 이미지의 표제임 | |
500 | ▼a 부록수록 | |
502 | 0 | ▼a 학위논문(석사)-- ▼b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c 간호교육전공, ▼d 2023. 8 |
504 | ▼a 참고문헌: p. 40-51 | |
653 | ▼a 예방교육 ▼a 행동실천 ▼a 자기효능감 ▼a 보건교육 ▼a 학교보건 ▼a 심혈관질환 | |
900 | 1 0 | ▼a Kang, Minah, ▼e 저 |
900 | 1 0 | ▼a 추진아, ▼g 秋眞娥, ▼d 1967-, ▼e 지도교수 ▼0 AUTH(211009)31400 |
900 | 1 0 | ▼a Choo, Jina, ▼e 지도교수 |
945 | ▼a ITMT | |
991 | ▼a E-Book(학위논문) ▼w (DCOLL211009)000000276763 |
Electronic Information
No. | Title | Service |
---|---|---|
1 | 심혈관질환 예방을 위한 고등학교 여학생대상 학교기반 보건교육의 효과 [전자자료] (73회 열람) |
View PDF Abstract Table of Contents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e-Book Collection/ | Call Number CT 0510 6M30 266 | Accession No. E13001131 | Availability Loan can not(reference room)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Abstract
연구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심혈관질환 예방을 위한 고등학교 여학생대상 학교기반 보건교육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사전-사후 실험 설계 연구(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이다. 서울시 소속 학교에 재학중인 고등학생 169명에게 적용하였으며, 실험군은 연구원이 보건교사로 소속되어 있는 1개 고등학교이고 대조군은 실험군과 특성이 유사한 1개 고등학교로 배정했다. 방법: 8주 동안 실험군에게는 심혈관질환 예방을 위한 지식과 심혈관질환 예방 활동, 건강행동 실천에 대한 “심혈관질환 예방 학교기반 보건교육”을 진행하였고, 대조군에게는 심혈관질환 예방 보건교육 유인물이 제공되었다. 사전·사후 검사는 설문조사로 이루어졌으며 실험군에게는 “심혈관질환 예방 학교기반 보건교육”이 진행되기 전과 후에 각각 수행되었고 대조군도 실험군과 같은 시기에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설문조사는 심혈관 예방을 위한 지식, 심혈관질환 예방 행동실천 자기효능감, 심혈관질환 예방 행동실천 수준의 항목을 포함하였다. 본 연구는 2022년 10월부터 12월까지 수행되었다. 결과: “심혈관질환 예방 학교기반 보건교육”에 참여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심혈관질환 예방을 위한 지식과 심혈관질환 예방 행동실천 자기효능감에서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나 행동실천 수준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심혈관질환 예방 학교기반 보건교육” 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심혈관질환 예방을 위한 지식과 행동실천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행동실천 수준에서 유의한 효과가 나타나기 위해서는 보건교육 프로그램에 체험이나 실습과 같은 효과적인 전략을 추가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보완된 프로그램을 고등학교 정규 보건 교육과정에 적용한다면 고등학생의 심혈관질환 예방을 위한 생활습관을 형성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Table of Contents
목 차 초록 i Abstract ii 목차 iii 표 목차 iv 그림 목차 v 1장. 서론 1 1.1 연구의 필요성 1 1.2 연구의 목적 3 1.3 용어의 정의 4 2장. 문헌 고찰 6 2.1 심혈관질환 예방교육의 필요성 6 2.2 학교기반 보건교육 효과 7 2.3 심혈관질환 예방 중재 프로그램 논문 고찰 9 3장. 연구 방법 12 3.1 연구 설계 12 3.2 연구 가설 13 3.3 연구 참여자 14 3.4 “심혈관질환 예방 학교기반 보건교육” 중재 16 3.5 내용 타당도 검증 20 3.6 연구 도구 21 3.7 자료수집 절차 22 3.8 윤리적 고려 23 3.9 자료 분석 23 4장. 연구 결과 24 4.1 연구참여자 24 4.2 연구참여자의 일반적 특성 및 군간 동질성 검증 25 4.3 연구참여자의 사전 연구변수: 군간 동질성 검증 27 4.4 가설검증 29 가설 1. 29 가설 2. 31 가설 3. 33 5장. 논의 35 6장. 결론 및 제언 38 참고문헌 40 부록 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