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중환자실 간호사의 MBTI 성격유형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도, 소진의 관계 [전자자료]

중환자실 간호사의 MBTI 성격유형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도, 소진의 관계 [전자자료]

Material type
E-Book(학위논문)
Personal Author
김미리
Title Statement
중환자실 간호사의 MBTI 성격유형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도, 소진의 관계 [전자자료] / 김미리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Physical Medium
전자책 1책(viii, 112 p.)
학과코드
0510   6M30   265  
General Note
지도교수: 한금선  
본표제는 표제면 이미지의 표제임  
부록수록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 p. 93-104
비통제주제어
Nurses, Occupational Stress, Job satisfaction, Burnout, Psychological, Personality Inventory, MBTI, 중환자실 간호사,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도, 소진, 성격유형, Intensive Care Units,,
000 00000n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56987
005 20230907154252
006 m d
007 cr
008 230627s2023 ulk obmAC 000c kor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1 0 ▼a kor ▼b eng
085 0 ▼a 0510 ▼2 KDCP
090 ▼a 0510 ▼b 6M30 ▼c 265
100 1 ▼a 김미리
245 1 0 ▼a 중환자실 간호사의 MBTI 성격유형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도, 소진의 관계 ▼h [전자자료] / ▼d 김미리
246 1 1 ▼a Relationships among job stress, job satisfaction and burnout according to MBTI personality type in intensive care unit nurse
260 ▼a 서울 : ▼b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c 2023
300 ▼a 전자책 1책(viii, 112 p.)
500 ▼a 지도교수: 한금선
500 ▼a 본표제는 표제면 이미지의 표제임
500 ▼a 부록수록
502 0 ▼a 학위논문(석사)-- ▼b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c 간호교육전공, ▼d 2023. 8
504 ▼a 참고문헌: p. 93-104
653 ▼a Nurses ▼a Occupational Stress ▼a Job satisfaction ▼a Burnout, Psychological ▼a Personality Inventory ▼a MBTI ▼a 중환자실 간호사 ▼a 직무스트레스 ▼a 직무만족도 ▼a 소진 ▼a 성격유형 ▼a Intensive Care Units
900 1 0 ▼a Kim, Miri, ▼e
900 1 0 ▼a 한금선, ▼g 韓錦仙, ▼d 1963-, ▼e 지도교수 ▼0 AUTH(211009)151684
900 1 0 ▼a Han, Kuemsun, ▼e 지도교수
945 ▼a ITMT
991 ▼a E-Book(학위논문) ▼w (DCOLL211009)000000276767

Electronic Information

No. Title Service
1
중환자실 간호사의 MBTI 성격유형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도, 소진의 관계 [전자자료] (423회 열람)
View PDF Abstract Table of Contents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e-Book Collection/ Call Number CT 0510 6M30 265 Accession No. E13001130 Availability Loan can not(reference room)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M

Contents information

Abstract

본 연구는 중환자실 간호사의 MBTI 성격유형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도, 소진의 차이와 상관관계를 밝히고, 소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서울소재의 K대학교병원 중환자실(내과, 외과, 응급, 신경계, 신생아)에서 근무하는 중환자실 간호사로, 자료 수집 기간은 2023년 3월 15일 부터 4월 14일 까지이며, 총 134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자료분석은 SPSS 25.0 통계 program을 이용하였으며, 기술통계,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사후검정으로 scheffe’s test, 맨-휘트니 검정과 크러스칼-왈리스 검정, Bonferroni correraction,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중환자실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과 MBTI 성격유형에 따라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도, 소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직무스트레스의 차이는 연령, 최종학력, 임상경력, 직위가 유의하게 나타났고, 직무만족도의 차이는 근무부서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소진의 차이는 MBTI 선호지표 Extraversion(E), Introversion(I)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변수 간의 상관관계 분석 시 소진과 상관을 보인 변수는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도, MBTI E-I지표로 나타났다. 소진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회귀분석 결과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도, MBTI J-P지표가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고, 38.4%의 설명력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MBTI 성격유형과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도, 소진과의 관계를 고려해 적절한 직무배치 및 개인 맞춤형 직무관련 전략을 수립할 수 있는 효율적인 간호행정 자료를 만들고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도, MBTI 성격유형을 이용하여 소진을 감소시키는 맞춤형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This descriptive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job satisfaction, and burnout among Intensive Care Unit (ICU) nurses in relation to their Myers-Briggs Type Indicator (MBTI) personality types, with the intention of identifying critical factors contributing to burnout. The research participants comprised ICU nurses employed across various departments (MICU, SICU, EICU, NCCU, NICU) within the K University Hospital in Seoul. The data collection process ran from March 15 to April 14, 2023, incorporating a total of 134 final responses. Data was examined using the SPSS 25.0 statistical software, through a series of tests that included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Scheffe's post-hoc test, Mann-Whitney and Kruskal-Wallis tests, Bonferroni correction,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The study evaluated the differences in job stress, satisfaction, and burnout, relative to the general traits and MBTI personality types of ICU nurses. The factors such as age, highest attained education level, clinical experience, and job position showed a significant impact on job stress. In contrast, the department of work significantly influenced job satisfaction. Differences in burnout were most prominent in the MBTI preference indicators Extraversion (E) and Introversion (I). In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variables, job stress, satisfaction, and MBTI E-I indicator demonstrat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burnout. Results from the regression analysis aimed at identifying burnout determinants revealed that job stress, job satisfaction, and MBTI J-P indicators significantly influence burnout, explaining 38.4% of the varia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hold implications for the creation of effective administrative strategies in nursing, enabling the development of suitable job placements and individual-centric job-related strategies that account for the interaction of MBTI personality types, job stress, job satisfaction, and burnout. The research further underscores the necessity of designing tailored programs to mitigate burnout, drawing upon understandings of job stress, job satisfaction, and MBTI personality types.

Table of Contents

초록 ⅰ
ABSTRACT ⅲ
목차 ⅵ
표목차 ⅷ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6
 3. 용어의 정의 7
Ⅱ. 문헌고찰 10
 1. 중환자실 간호사의 소진과 영향을 미치는 요인 10
 2. MBTI 성격유형과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도, 소진 15
Ⅲ. 연구 방법 31
 1. 연구 설계 31
 2. 연구 대상 및 연구기간 31
 3. 연구 도구 33
 4. 자료수집 방법 및 절차 39
 5. 자료분석 방법 40
 6. 윤리적 고려 41
Ⅳ. 연구 결과 43
 1. 중환자실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 및 MBTI 성격유형 43
 2. 중환자실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도, 소진의 정도 49
 3. 중환자실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 및 MBTI 성격유형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직무 만족도, 소진의 차이 54
 4. 중환자실 간호사의 MBTI 선호지표,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도, 소진의 상관관계 64
 5. 중환자실 간호사의 MBTI 선호지표,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도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69
Ⅴ. 논의 70
Ⅵ. 결론 및 제언 89
참고문헌 93
부 록 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