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56934 | |
005 | 20230830092424 | |
007 | ta | |
008 | 230829s2023 ulkad b 001c kor | |
020 | ▼a 9791161930657 ▼g 93340 | |
035 | ▼a (KERIS)BIB000016675822 | |
040 | ▼a 011001 ▼c 011001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4 | ▼a 320.3 ▼2 23 |
085 | ▼a 320.3 ▼2 DDCK | |
090 | ▼a 320.3 ▼b 2023 | |
100 | 1 | ▼a McCormick, John, ▼d 1954- ▼0 AUTH(211009)96408 |
245 | 1 0 | ▼a 비교정부와 정치 / ▼d John Mccormick, ▼e Rod Hague, ▼e Martin Harrop 지음 ; ▼e 김계동 [외]옮김 |
246 | 1 9 | ▼a Comparative government and politics : ▼b an introduction ▼g (12th ed.) |
260 | ▼a 서울 : ▼b 명인문화사, ▼c 2023 | |
300 | ▼a xvi, 502 p. : ▼b 삽화, 도표 ; ▼c 25 cm | |
500 | ▼a 공역자: 민병오, 서재권, 이유진, 이준한 | |
504 | ▼a 참고문헌(p. 476-493)과 색인수록 | |
650 | 0 | ▼a Comparative government ▼x Study and teaching |
700 | 1 | ▼a Hague, Rod, ▼e 저 ▼0 AUTH(211009)70699 |
700 | 1 | ▼a Harrop, Martin, ▼e 저 ▼0 AUTH(211009)2397 |
700 | 1 | ▼a 김계동, ▼g 金啓東, ▼d 1953-, ▼e 역 ▼0 AUTH(211009)126594 |
700 | 1 | ▼a 민병오, ▼g 閔丙五, ▼d 1962-, ▼e 역 ▼0 AUTH(211009)15924 |
700 | 1 | ▼a 서재권, ▼g 徐載權, ▼d 1967-, ▼e 역 ▼0 AUTH(211009)69552 |
700 | 1 | ▼a 이유진, ▼g 李惟眞, ▼d 1960-, ▼e 역 ▼0 AUTH(211009)52742 |
700 | 1 | ▼a 이준한, ▼d 1965-, ▼e 역 ▼0 AUTH(211009)25171 |
900 | 1 0 | ▼a 맥코믹, 존, ▼e 저 |
900 | 1 0 | ▼a 헤이그, 로드, ▼e 저 |
900 | 1 0 | ▼a 해롭, 마틴, ▼e 저 |
945 | ▼a ITMT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20.3 2023 | Accession No. 111884259 | Availability In loan | Due Date 2023-12-11 | Make a Reservation Available for Reserve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20.3 2023 | Accession No. 111884877 | Availability In loan | Due Date 2023-12-20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3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 Call Number 320.3 2023 | Accession No. 151365265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20.3 2023 | Accession No. 111884259 | Availability In loan | Due Date 2023-12-11 | Make a Reservation Available for Reserve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20.3 2023 | Accession No. 111884877 | Availability In loan | Due Date 2023-12-20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 Call Number 320.3 2023 | Accession No. 151365265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 이 책은 2017년에 출간된 <비교정부와 정치, 10판 (Rod Hague, Martin Harrop, John McCormick 지음)>(ISBN: 979-11-6193-002-2)의 개정판임.
제12판은 기존 10판까지 내용 중 기본 틀은 유지하되 내용 측면, 시각적인 측면에서 많은 부분이 변경되었다. 비교정치라는 광범위하고 접근하기 쉬운 주제는 모든 주요 정부기관과 정치과정뿐만 아니라, 해당 분야의 모든 주요 이론과 방법론을 다룬다. 민주주의와 권위주의 정권에 대한 균형 잡힌 설명을 제공하면서, 풍부한 지도, 도표 및 표에 의해 뒷받침되는 경험적 접근법을 제시한다. 정부와 정치체제의 비교에 대한 포괄적인 소개를 제공하는 동시에, 자국의 정치제도와 정치문화뿐만 아니라 전 세계 광범위한 민주주의와 권위주의 정권의 제도와 문화를 이해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비교정부와 정치 12판』은 영국 Macmillan부터 Bloomsbury 출판사까지 1982년부터 현재 12판까지 꾸준히 개정판을 낼 정도로 그 우수함이 정평이 나 있는 책인 Comparative Government and Politics - An Introduction, 12th edition의 한국어 번역판이다. 이미 2007년에 6판, 2011년에 8판, 2017년에 10판 번역서를 출간하였고 이번에 12판 개정판을 출간했다.
이번에 개정 출간된『비교정부와 정치, 제12판』은 존 맥코믹 교수의 주도적 집필로 기존 10판까지 내용 중 기본 틀은 유지하되 내용 측면, 시각적인 측면에서 많은 부분이 변경되었다.
왜 어떤 나라들은 민주적이지만 다른 나라들은 그렇지 않을까? 왜 어떤 나라들은 대통령이 통치하고 다른 나라들은 총리가 통치할까? 헌법은 중요한가? 이러한 것들은 비교정치라는 매혹적이고 본질적인 주제에 의해 다뤄지는 질문들이다. 이 광범위하고 접근하기 쉬운 주제는 모든 주요 정부기관과 정치과정뿐만 아니라, 해당 분야의 모든 주요 이론과 방법론을 다룬다. 민주주의와 권위주의 정권에 대한 균형 잡힌 설명을 제공하면서, 이 책은 풍부한 지도, 도표 및 표에 의해 뒷받침되는 경험적 접근법을 제시한다.
이 책은 정부와 정치체제의 비교에 대한 포괄적인 소개를 제공하는 동시에, 독자들로 하여금 자국의 정치제도와 정치문화뿐만 아니라 전 세계 광범위한 민주주의와 권위주의 정권의 제도와 문화를 이해하는 데 기여한다.
제12판의 특징
● 새로운 학습 기능인 ‘문제 탐구’와 ‘이론 적용’을 통해 정부와 정치의 당면 과제를 분석.
● 전 세계 모든 지역에서 도출된 수많은 사례를 통해 균형 잡힌 글로벌 관점을 확보.
● 성 소수자 문제, 정체성 정치, 정치신뢰, 포퓰리즘 및 코로나19 팬데믹 등 새롭고 확장된 이슈를 포함하여 동시대의 주제를 탐색.
Information Provided By: :

Table of Contents
제1부 원리 1장 정부와 정치 2장 비교하기 3장 국가와 민족 4장 정치문화 5장 민주주의 통치 6장 권위주의 통치 제2부 제도 7장 헌법과 법원 8장 행정부 9장 입법부 10장 관료제 11장 하위 국가정부 12장 미디어 제3부 과정 13장 정치참여 14장 선거 15장 정당 16장 이익집단 17장 공공정책 18장 정치경제학 세부목차 도해목차 저자서문 역자서문 제1부 원리 1장 정부와 정치 정부와 정치 이해하기 비교의 장점 정부와 거버넌스 정치, 권력, 권위 정권과 정치체제 2장 비교하기 비교의 이해 기원과 진화 사례의 선택 방법의 선택 비교에 대한 도전 3장 국가와 민족 국가에 대한 이해 기원과 진화 국가의 다양성 민족의 이해 국가의 미래 4장 정치문화 정치문화의 이해 ‘시민문화’로부터 탈물질주의까지 문화에서 문명으로 정치적 신뢰 권위주의 정권의 정치문화 5장 민주주의 통치 민주주의 통치의 이해 민주주의 정권의 유형 기원과 진화 민주주의 통치의 형태 민주주의와 권리 민주주의 통치의 미래 6장 권위주의 통치 권위주의 통치의 이해 권위주의 정권의 유형 기원과 진화 권위주의 통치의 형태 부패의 정치적 영향 권위주의 통치의 미래 제2부 제도 7장 헌법과 법원 헌법에 대한 이해 기원과 진화 법원의 역할 사법부의 역할 권위주의 정권의 헌법과 법원 8장 행정부 행정부의 이해 대통령제 행정부 의회제 행정부 준대통령제 행정부 권위주의 정권의 행정부 9장 입법부 입법부에 대한 이해 기원과 진화 단원 또는 양원? 의원과 의원의 직무 권위주의 정권의 입법부 10장 관료제 관료제의 이해 기원과 진화 관료제는 어떻게 조직되는가 관료는 어떻게 충원되는가 권위주의 정권의 관료제 11장 하위 국가정부 하위 국가정부의 이해 단일체제 연방체제 지방정부 권위주의 정권의 하위 국가정부 12장 미디어 미디어에 대한 이해 기원과 진화 미디어 자유도 비교 소셜미디어와 탈진실의 세계 권위주의 정권의 미디어 제3부 과정 13장 정치참여 정치참여 이해하기 참여의 유형 투표 여론 권위주의 정권의 정치참여 14장 선거 선거 이해하기 의회선거 대통령선거 국민투표와 발의 투표율 권위주의 정권의 선거 15장 정당 정당의 이해 기원과 진화 정당체제 정당의 조직 권위주의 정권의 정당 16장 이익집단 이익집단의 이해 기원과 진화 유형과 방식 이익집단의 동학 권위주의 정권의 이익집단 17장 공공정책 공공정책의 이해 정책과정 모델 정책 스타일 비교 정책확산과 수렴 권위주의 정권의 공공정책 18장 정치경제학 정치경제에 대한 이해 기원과 진화 비교정치경제 복지국가 권위주의 정권의 정치경제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역자소개 도해목차 국가개요 1. 나이지리아 2. 이란 3. 유럽연합 4. 독일 5. 인도 6. 중국 7. 남아프리카공화국 8. 브라질 9. 영국 10. 일본 11. 프랑스 12. 베네수엘라 13. 러시아 14. 미국 15. 멕시코 16. 이집트 17. 스웨덴 18. 튀르키예 문제 탐구 1. 비교함에 있어서 우리는 어떻게 글로벌한 접근법을 취할 수 있는가? 2. 포괄적인 비교는 어떻게 할 수 있는가? 3. 통합 또는 분리? 4. 어떻게 하면 정부에 대한 신뢰를 회복할 수 있을까? 5. 민주주의의 성과를 어떻게 개선할 수 있을까? 6. 어떻게 권위주의를 억제할 것인가? 7. 법관의 독립성을 보장하는 방법은 무엇인가? 8. 무엇이 행정부에 가장 효율적인 설계인가? 9. 입법부가 대의기구라는 것을 어떻게 확신할 수 있는가? 10. 관료제의 책무성을 어떻게 담보할 수 있을 것인가? 11. 정치공동체를 조직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무엇인가? 12. 우리는 거짓 뉴스로부터 우리 자신을 어떻게 보호할 수 있는가? 13. 우리는 정보가 없는 시민들에게 무엇을 할 수 있나? 14. 투표가 의무적이어야 하나? 15. 이상적인 정당의 수는? 16. 이익집단은 어떻게 자신의 주장에 사람들이 귀 기울이게 할 수 있는가? 17. 공공정책의 질을 어떻게 개선할 수 있을까? 18. 우리는 경제적 평등을 어떻게 달성할 수 있는가? 이론 적용 1. 이론과 비교 2. 근대화 3. 해석주의 4. 문화이론 5. 민주화 6. 전제정치화 7. 제도주의 8. 리더십 이론들 9. 엘리트이론 10. 페미니즘 11. 시스템이론 12. 미디어이론 13. 합리적 선택 14. 행태주의 15. 정치이데올로기 16. 다원주의 17. 구조주의 18. 계급이론 도표 1.1 정치학의 세부 영역 1.2 비교의 장점 1.3 교육예산과 문자해득률 비교 2.1 인구와 입법부의 크기 2.2 비교에 대한 도전 2.3 KOF 세계화 지수 3.1 국가의 특징 3.2 국가의 역할 3.3 국가의 형성 3.4 국가의 크기 3.5 이민에 대한 견해 비교 4.1 정치문화의 특징 4.2 미국에서 정부 서비스에 대한 견해 4.3 삶이 50년 전에 비해서 나아졌는가 나빠졌는가? 4.4 잉글하트-웰젤의 세계 문화 지도 4.5 정부에 대한 신뢰 비교 4.6 미국에서 정부에 대한 신뢰 4.7 비교 관점에서의 아프리카 부패 5.1 민주주의 통치의 속성 5.2 헌팅턴의 민주화 물결 5.3 영국의 투표권 확대 5.4 민주화의 단계 5.5 민주주의 국가 수의 변화 5.6 민주주의의 글로벌 추세 6.1 권위주의 통치의 속성 6.2 권위주의 통치의 도구 6.3 장기집권 정치지도자 보유국 7.1 헌법의 특징 7.2 민주주의 정권의 헌법 7.3 새로운 헌법의 제정 이유 7.4 권위주의 정권의 헌법 7.5 인간자유 지수 8.1 민주주의 정권의 행정부 9.1 민주주의 정권의 입법부 9.2 유럽국가의 입법부 신뢰수준 비교 9.3 하원의 사례 9.4 상원의 선출 9.5 대표 모델 9.6 입법부의 여성의원 수 비교 9.7 권위주의 정권의 입법부 10.1 관료제의 역할 10.2 정부 효과성에 대한 인식 비교 10.3 관료제에 관한 베버의 모델 10.4 관료제의 규모 비교 10.5 전자정부 비교 10.6 관료제와 노동인구에서 여성의 비율 10.7 정부 효과성 변화 11.1 민주주의 정권의 하위 국가정부 11.2 유럽연합의 다층거버넌스 11.3 권위주의 정권의 하위 국가정부 12.1 민주주의 정권의 미디어 12.2 미디어 영향의 기제 12.3 인터넷의 사용: 도시-농촌 구분 12.4 인터넷 자유도 비교 12.5 미디어 자유도 비교 12.6 권위주의 정권의 미디어 13.1 민주주의 정권에서 정치참여 13.2 왜 사람들은 정치에 참여하는가 13.3 미국에서 성별에 따른 투표율 13.4 유권자 선택에 미치는 영향들 13.5 인터넷 이용: 민주주의-권위주의 구분 14.1 민주주의 정권의 선거 14.2 어떻게 선거를 조작하는가 14.3 선거제도 14.4 2021년 캐나다 연방선거 14.5 국민투표의 사용 14.6 투표율 비교 14.7 투표율의 추세 비교 14.8 권위주의 정권의 선거 14.9 이집트의 투표율 추세 15.1 민주주의 정권의 정당 15.2 스웨덴의 유권자 정당편성 해체 15.3 유권자 정당편성 해체의 원인 15.4 주요 이데올로기: 6가지 예시 15.5 권위주의 정권의 정당 15.6 러시아 대통령선거 추이 16.1 민주주의 정권의 이익집단 16.2 철의 삼각: 미국의 예 16.3 노조원 비율 비교 16.4 권위주의 정권의 이익집단 17.1 정책순환의 단계 17.2 혁신의 확산 18.1 세계경제 자유도 18.2 정치경제학에 대한 5가지 관점 18.3 복지비 지출 비교 표 1.1 정부의 제도 1.2 권력의 세 가지 차원 1.3 정치적 순위 비교 1.4 경제력 비교 2.1 비교정치학에 사용된 이론들 2.2 사례연구의 유형 2.3 비교정치 연구방법 3.1 소득별 국가 3.2 국가에 대한 10가지 비판 3.3 취약국가 지수 5.1 민주주의 정권의 유형 5.2 민주주의 통치의 형태 6.1 권위주의 정권의 유형 6.2 권위주의 통치의 형태 6.3 공산당 지배 국가 7.1 헌법개정 비교 7.2 대법원과 헌법재판소의 비교 7.3 재판관 임명 방식 비교 8.1 의회제에서 국가원수의 선출 방식 8.2 여성 행정부 수장(일부) 8.3 대통령제 행정부 8.4 의회제 행정부 8.5 의회제 정부의 모델 8.6 준대통령제 행정부 8.7 행정부의 비교 8.8 권위주의 행정부 9.1 상원의 비교 10.1 호주 내무부의 부서와 청 11.1 정부의 4개 층 11.2 단일국가에서의 하위 국가정부 11.3 세계의 연방국가들 11.4 지방정부의 구조 12.1 매스미디어의 진화 12.2 소셜미디어의 형식 12.3 인터넷과 아랍의 봄 13.1 정치참여의 형태 14.1 의회선거제도 비교 14.2 2021년 독일 연방선거 14.3 2002년 프랑스 대통령선거 14.4 대통령선거제도 비교 14.5 높은 투표율을 위한 처방전 14.6 의무투표제 국가 15.1 정당체제 비교 15.2 유럽의 주요 정당군 16.1 사회운동의 예 16.2 전 세계 비정부기구 16.3 이익집단의 유형 16.4 이익집단 영향력의 통로 16.5 시민사회 공간 비교 16.6 중국의 사회조직 17.1 정책결정의 세 가지 모델 17.2 정책 스타일 비교 17.3 정책수렴의 기제 17.4 사업활동지수 17.5 민주주의와 권위주의 정권의 정책 비교 18.1 복지의 형태 18.2 호주와 핀란드의 복지국가 비교 지도 1.1 인간개발 지수 3.1 세계의 국가들 3.2 소련의 승계국들 3.3 분쟁 중인 소말리아 국경 3.4 국가 없는 쿠르드족 6.1 전 세계 부패 지도 8.1 행정부 유형 11.1 세계의 연방국가들 11.2 벨기에의 지역 11.3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주들 11.4 호주의 도시 12.1 세계의 미디어 자유도 16.1 시민사회의 글로벌 현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