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탈북의 역사 : 지상낙원 북한을 탈출하다 (Loan 1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김석향, 金石香, 1959-
Title Statement
탈북의 역사 : 지상낙원 북한을 탈출하다 / 김석향 지음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선인,   2023  
Physical Medium
166 p. : 삽화 ; 19 cm
ISBN
9791160687217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 p. 164-166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56769
005 20230829135403
007 ta
008 230828s2023 ulka 000c kor
020 ▼a 9791160687217 ▼g 93300
035 ▼a (KERIS)BIB000016736431
040 ▼a 011001 ▼c 011001 ▼d 211009
082 0 4 ▼a 325.21 ▼2 23
085 ▼a 325.21 ▼2 DDCK
090 ▼a 325.21 ▼b 2023z1
100 1 ▼a 김석향, ▼g 金石香, ▼d 1959- ▼0 AUTH(211009)141974
245 1 0 ▼a 탈북의 역사 : ▼b 지상낙원 북한을 탈출하다 / ▼d 김석향 지음
260 ▼a 서울 : ▼b 선인, ▼c 2023
300 ▼a 166 p. : ▼b 삽화 ; ▼c 19 cm
504 ▼a 참고문헌: p. 164-166
945 ▼a ITMT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25.21 2023z1 Accession No. 111884197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오늘날 북한에 사는 사람으로서 탈북을 꿈꾸거나 실제로 시도하는 주민 중에 젊은 지도자 김정은과 그 주변에서 권력을 향유하는 집단이 얼마나 철저하게 탈북 현상을 막으려 하는지 모르는 사람은 단 한 명도 없을 것이다. 즉 탈북의 길에 들어선다는 것이 그만큼 위험을 무릅쓰는 일이라는 의미가 된다. 탈북민이 겪어 온 삶의 궤적을 기록한 책이다.

탈북민이 겪어 온
삶의 궤적을 역사적 자료로 기록


이 책은 “북한을 탈출하는 사람들의 여정을 우리가 모두 공유하는 공동체의 역사로 기록할 수 있는가” 하는 질문에서 출발한다. 오늘날 북한에 사는 사람으로서 탈북을 꿈꾸거나 실제로 시도하는 주민 중에 젊은 지도자 김정은과 그 주변에서 권력을 향유하는 집단이 얼마나 철저하게 탈북 현상을 막으려 하는지 모르는 사람은 단 한 명도 없을 것이다. 이 말은 곧 탈북의 길에 들어선다는 것이 그만큼 위험을 무릅쓰는 일이라는 의미가 된다.

우리 사회에서는 북한주민이야말로 “답답할 정도로” 체제 순응적인 심성을 지니고 있다고 믿는 신화가 분명히 존재하는 것 같다. 아마도 그 여파로 나타나는 결과인 것 같은데 탈북민을 만났을 때 “도대체 왜 북한에서는 시위가 일어나지 않는지, 북한주민은 그렇게 부당한 일을 겪으면서도 왜 꾹꾹 눌러 참기만 하는지, 제대로 저항도 하지 않는 이유는 무엇인지” 질문하는 사람이 많은 것도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북한당국도 나서서 이른바 “좋은 인민· 위대한 인민” 같은 칭호를 부여함으로써 주민들의 체제 순응적 특성을 자랑스럽게 내세우고 있다. 바로 그 순응적으로 보이는 북한주민이 과감하거나 조심스럽게 “지상낙원” 탈출을 감행하고 있는 상황에 주목해 볼 필요는 없는 것일까? “좋은 인민·위대한 인민” 같은 호칭 아래 일생동안 순응하며 살아가려 애쓰던 북한주민이 탈북이 얼마나 위험한 여정인지 분명히 알면서 분연히 떨쳐 일어나 그 땅을 떠나려 하는 이유가 무엇인지 의문을 품는 것은 같은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가 마땅히 해야 할 일이 아닌가 싶다. (본문 중에서)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제1부 탈북 현상을 역사로 기록할 수 있을까?
1. 탈북자, 탈북민, 북한이탈주민
1) 탈북자와 탈북민
2) 탈북민과 북한이탈주민
2. 자료의 수집과 활용
1) 자료 수집 방법과 활용 방안
(1) 미리 축적해 놓은 경험 자산
(2) 자료 수집과 활용
(3) 면담 대상자의 익명성 보장
2) 질적 연구와 자료의 객관성
(1) 질적 연구 방법의 장점
(2) 자료의 객관성 확보
3. 기획 의도와 구성
1) 기획 의도
(1) 탈북 여정의 역사 기록 만들기
(2) 탈북민의 집단성과 개별성
2) 구성 순서

제2부 탈북 현상에도 시대적 흐름이 나타날까?
1. 시대별 탈북민 규모의 변화
2. 성별 탈북 현상의 특징과 그 영향
1) 남성 탈북민이 많았던 시절
2) 여성 탈북민이 많은 시절
3. 탈북의 유형화
1) 생계형 탈북
2) 연고형 탈북
3) 질병 치유형 탈북
4) 유학형 탈북
5) 도피형 탈북
6) 실수형 탈북
7) 납치형 탈북
8) 투사형 탈북
9) 기획형 탈북
10) 기타 유형의 탈북
4. 탈북 경로의 변화
1) 소수의 사람이 선택했던 탈북 경로
(1) 판문점과 군사분계선
(2) 해상 탈북
(3) 해외 탈북
2) 다수의 사람이 선택했던 탈북 경로
(1) 중국-몽골 경로
(2) 중국-동남아시아-태국 경로

제3부 “지상낙원” 탈출 이후, 이들은 행복했을까?
1. 안전해졌을 때 나타나는 심리적 증상
1) 안도감 이후에 찾아오는 죄책감
2) 배신자와 변절자라는 내면의 아우성
3) 갈 수 없어 더 절실한 그리움
4) 새삼 인생이 억울해지는 박탈감
5) 2등시민에 머무를 것 같은 무력감
6) 어디 소속인지 혼란스러운 정체성
2. 탈남과 재입북
3. 그래도 탈북은 정말 잘했다는 결론의 의미

제4부 탈북을 우리의 역사로 만들면 어떨까?
참고문헌

【표 목차】
1) 연도별 북한이탈주민 국내 입국 현황
2) 연도별 여성 탈북민의 국내 입국 현황
【사진 목차】
1) 북중 국경지역 비법월경 금지 표지판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Ivanovna, Din Yuliya (2022)
Hollifield, James Frank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