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56732 | |
005 | 20230828115306 | |
007 | ta | |
008 | 230828s2023 ulka b 001c kor | |
020 | ▼a 9788999729317 ▼g 93180 | |
035 | ▼a (KERIS)BIB000016822941 | |
040 | ▼a 211062 ▼c 211062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0 | ▼a 616.85/8520651 ▼2 23 |
085 | ▼a 616.8585206 ▼2 DDCK | |
090 | ▼a 616.8585206 ▼b 2023 | |
100 | 1 | ▼a Linehan, Marsha, ▼d 1943- ▼0 AUTH(211009)70660 |
245 | 2 0 | ▼a (마샤 리네한) 변증법행동치료 : ▼b 경계성 성격장애를 위한 인지행동치료 / ▼d Marsha M. Linehan 저 ; ▼e 최현정 [외]공역 |
246 | 1 9 | ▼a Cognitive-behavioral treatment of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
260 | ▼a 서울 : ▼b 학지사, ▼c 2023 | |
300 | ▼a 635 p. : ▼b 삽화 ; ▼c 27 cm | |
500 | ▼a 공역자: 이한별, 허심양, 김지강, 조이수현 | |
504 | ▼a 참고문헌(p. 597-623)과 색인수록 | |
650 | 0 | ▼a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x Treatment |
650 | 0 | ▼a Cognitive therapy |
700 | 1 | ▼a 최현정, ▼g 崔縣淨, ▼d 1981-, ▼e 역 ▼0 AUTH(211009)113822 |
700 | 1 | ▼a 이한별, ▼e 역 |
700 | 1 | ▼a 허심양, ▼e 역 |
700 | 1 | ▼a 김지강, ▼e 역 |
700 | 1 | ▼a 조이수현, ▼e 역 |
900 | 1 0 | ▼a 리네한, 마샤, ▼e 저 |
900 | 1 0 | ▼a Choi, Hyunjung, ▼e 역 |
900 | 1 0 | ▼a Lee, Hanbyul, ▼e 역 |
900 | 1 0 | ▼a Heo, Simyang, ▼e 역 |
900 | 1 0 | ▼a Kim, Jikang, ▼e 역 |
900 | 1 0 | ▼a Joy, Suhyun, ▼e 역 |
945 | ▼a ITMT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616.8585206 2023 | 등록번호 111884157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23-12-16 | 예약 예약가능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변증법행동치료를 한다면 이 책을 반드시 읽어야 한다. 이 책은 변증법행동치료 밑바탕 이론에 더하여 치료 원리 그리고 핵심 치료 전략을 Linehan의 일인칭 문장으로 하나씩 매우 상세히 설명한다. 이 책을 읽으면 마치 Linehan에게 일대일 조언을 얻는 것만 같다. 아주 헌신적이고 친절한 Linehan으로부터 꼼꼼하게.
변증법행동치료는 고통에 빠진 사람에게 당신이 틀렸다고 말하거나, 당신이 결국 문제라고 절대 생각하지 않는다. 대신에 만사는 만 가지 조건 속에서 일어나기 마련이고 관계와 맥락 안에서 움직이며, 진전에는 언제나 고통과 갈등이 선행한다는 세상을 전제한다. 진실은 고정됨이 없기에, 내담자 경험 깊이에서 세상의 진실을 찾아낼 수 있고, 내담자가 어떤 삶을 살고 싶은지, 그 삶을 위해 지금 무엇이 필요한지를 묻는다. 살면서 단 한 번도 견해와 경험을 존중받아 본 적이 없는 이에게 “어떻게 생각합니까?” “지금 무엇을 느낍니까?” “어떻게 하고 싶습니까?”라고 말을 건넨다. 그리고 “이해합니다.” “나도 그렇게 느낍니다.” “같이 해 봅시다.”라고 말한다.
또한 사회 구조가 개인에 미치는 영향을 직시한다. Linehan의 생물사회 이론은 정서 취약성을 지닌 개인과 그의 고유한 경험을 인정하지 않는 사회 환경이 변환작용을 일으키며 정서 조절 장해 전반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한다. 생물사회 이론은 개인 문제냐 사회 문제냐의 이분법 굴레를 넘어서도록 도와준다. 한 개인이 겪는 고통은 억압하는 사회 환경과 맞물려 있다는 사실을 마땅히 여기는 동시에, 그럼에도 살아내기 위해 개인이 무엇을 바꾸고 어떻게 스스로 변해 나가야 할지 실천할 수 있는 도구를 쥐여 준다.
그래서 변증법행동치료는 어려움에 빠진 많은 사람에게 더 가까이 다가가야 하고, 또한 사회 구조 문제로 고통에 빠진 사람에게 더 다가갈 수 있도록 심리학자의 노력이 필요하다. 하루하루 몸을 일으켜 문밖을 나서기조차 두려운 이, 관계 상처가 너무나 버거운 나머지 죽어서 혼자가 되는 게 낫다고 생각하는 이, 바꿀 수 없는 처절한 현실의 괴리감 앞에 절망한 이, 아주 오랫동안 끔찍한 외로움에 파묻혀 본 이, 억압받은 삶에서 자유로운 삶으로 자립을 준비하는 모든 이에게 변증법행동치료를 누릴 권리는 마땅히 주어져야 한다.
변증법행동치료 창시자 마샤 리네한이 집필한
치료 원리와 핵심 치료 전략을 담은 변역서
OECD 국가 중 가장 높은 자살률이라는 오명을 가진 한국에서 변증법행동치료가 각광을 받고 있다. 한국 사회는 급격한 변화의 소용돌이 속에서 지속적인 압박과 불안을 겪고 있다. 내·외면의 차이를 두고 사람들은 경청보다 혐오를 앞세우고, 생존 게임과도 같은 날선 성과주의로 몇몇은 낙오와 같은 고통을 겪게 된다. 이처럼 냉혹한 한국 사회에서 변증법행동치료가 기가 막히게 알맞은 처방전으로 주목 받는 이유는 치료의 출발점에서 찾아볼 수 있다. 변증법행동치료는 고통에 빠진 사람에게 “틀렸다”, 혹은 “당신이 문제입니다”라고 결코 말하지 않는다. 모든 견해와 경험을 존중하며 치료가 시작된다.
변증법행동치료는 성격장애 중에서도 치료가 매우 어려운 경계성 성격장애와 자살 자해 고위험군을 대상으로 개발됐다. 이 치료법은 개발 후 30년 동안 강력한 효과와 효능을 검증받았고, 외상후스트레스장애와 같은 다양한 증상의 치료에도 활용되고 있다. 이 치료법은 개인의 고통을 수용하는 동시에, 살만한 삶을 발전시키기 위한 변화의 변증법에 핵심을 둔다.이러한 수용과 변화의 심리치료는 개인의 고유성이 쉽게 훼손될 수 있는 한국 사회에서 특히 효과적이다. 때문에 2000년대 이후 많은 심리학자가 한국 사회에도 이 치료법을 보급하기 위해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이러한 노력의 결과로 『변증법행동치료』가 출간됐다.
변증법행동치료를 한다면 반드시 읽어야 하는 필독서로 불리는 이 책은 특이하게도 일인칭으로 쓰였다. 그 결과 변증법행동치료의 창시자인 미샤 리네한을 직접 마주하는 듯한 느낌을 준다. ‘엮이지 않으면 좋을 사람’ 혹은 ‘무조건 피해야 하는 사람’으로 치부됐던 경계성 성격장애 내담자에게 삶을 일굴 수 있는 힘을 선사하는 과정은 쉽지 않다. 하지만 “절대 이 사람을 포기하지 마”라고 전하는 리네한의 목소리와 함께 이 책을 탐독한다면 단단한 용기의 씨앗이 내담자를 치료할 수 있는 강한 자신감으로 피어날 것이다. 피할 수 없는 고통을 직면한 사람을 돕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전문가라면 이 다정한 도서로 더 정교하게 변증행동치료를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정보제공 :

목차
역자의 글 추천사 1부 이론과 개념 1장 경계성 성격장애: 개념, 논란 그리고 정의 경계성 성격장애 개념 유사 자살 행동 개념 경계성 성격장애와 유사 자살 행동의 중첩 경계성 성격장애 치료: 도입 마치며 2장 치료 토대로서 변증법과 생물사회 이론 변증법 변증법 부재로서 경계성 성격장애 사례 개념화: 변증법 인지행동주의 접근 생물사회 이론: 경계성 성격장애 발생에 관한 변증법 이론 경계성 환자 치료에서 생물사회 이론 적용 마치며 3장 행동 양상: 경계성 환자 치료에서 변증법 딜레마 정서 취약성 대 자기 비타당화 적극적 수동성 대 능숙한 겉모습 끝없는 위기 대 애도 억제 마치며 2부 치료 개요와 목적 4장 치료 개요: 한눈에 보는 목표, 전략 그리고 가정 치료에서 핵심 단계 치료 형태 경계성 환자와 치료에 대한 가정 치료자 특성과 기술 환자와 치료자 협의 치료자 자문 협의 마치며 5장 치료에서 행동 목표: 늘릴 행동과 줄일 행동 전반적 목적: 변증법 행동 양상 늘리기 주요 행동 목표 이차 행동 목표 마치며 6장 목표 행동 중심의 치료 구조화: 누가, 무엇을, 언제 치료하는가 일반 주제: 변증법 행동에 목표 두기 일차 목표 위계 시간에 따른 목표 진전 외래 개인 치료에서 목표 위계 우선순위 정하기 기술 훈련: 목표 위계 지지 프로세스 집단: 목표 위계 전화 사용: 목표 위계 목표 행동과 회기 초점: 누가 결정하는가 다른 장면에서 목표 위계 변경하기 목표 책임에 따른 영역 갈등 마치며 3부 기본 치료 전략 7장 변증법 치료 전략 변증법 전략 정의하기 치료 전략 균형 맞추기: 치료 관계에서 변증법 변증법 행동 양상을 가르치기 구체적 변증법 전략 마치며 8장 핵심 전략: I부 타당화 타당화 정의하기 타당화하는 이유 정서 타당화 전략 행동 타당화 전략 인지 타당화 전략 응원하기 전략 마치며 9장 핵심 전략: II부 문제 해결 문제 해결 수준 기분과 문제 해결 문제 해결 전략 개관 행동주의 분석 전략 통찰(해석) 전략 교육 전략 해결 분석 전략 방향 잡기 전략 전념 전략 마치며 10장 변화 절차: I부 수반성 절차(수반성 관리와 한계 관찰) 수반성 절차 원리 수반성 관리 절차 한계 관찰 절차 마치며 11장 변화 절차: II부 기술 훈련, 노출, 인지 조정 기술 훈련 절차 노출 기반 절차 인지 조정 절차 마치며 12장 스타일 전략: 의사소통 균형 잡기 상호성 의사소통 전략 일침 놓기 의사소통 전략 마치며 13장 사례 관리 전략: 공동체와 관계 맺기 환경 개입 전략 환자에게 자문하기 전략 치료자 지도감독 및 자문 전략 마치며 4부 특정 과제를 위한 전략 14장 구조 전략 계약 맺기 전략: 치료 시작하기 회기 시작 전략 목표 설정 전략 회기 마무리 전략 종결 전략 마치며 15장 특수 치료 전략 위기 전략 자살 행동 전략 치료 방해 행동 전략 전화 전략 보조 치료 전략 관계 전략 마치며 〈부록 15-1〉 치명성 평가를 위한 척도점 추천 자료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