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56730 | |
005 | 20230829113025 | |
007 | ta | |
008 | 230828s2023 ulk b 001c kor | |
020 | ▼a 9788999729232 ▼g 93180 | |
035 | ▼a (KERIS)BIB000016822105 | |
040 | ▼a 211019 ▼c 211019 ▼d 211009 | |
041 | 1 | ▼a kor ▼h jpn |
082 | 0 4 | ▼a 616.89/1663 ▼2 23 |
085 | ▼a 616.891663 ▼2 DDCK | |
090 | ▼a 616.891663 ▼b 2023 | |
100 | 1 | ▼a 小森康永, ▼d 1960- ▼0 AUTH(211009)39063 |
245 | 1 0 | ▼a 내러티브 자문 = ▼x Narrative consultation : ▼b 치료를 위한 글쓰기 작업이 열리는 임상 공간 / ▼d 고모리 야스나가, ▼e 아다치 에이코 공저 ; ▼e 김유숙 역 |
246 | 1 9 | ▼a ナラティヴ・コンサルテーション : ▼b 書くことがひらく臨床空間 |
246 | 3 | ▼a Naratibu konsarutēshon : ▼b kaku koto ga hiraku rinshō kūkan |
260 | ▼a 서울 : ▼b 학지사, ▼c 2023 | |
300 | ▼a 260 p. ; ▼c 23 cm | |
504 | ▼a 참고문헌(p. 249-255)과 색인수록 | |
700 | 1 | ▼a 安達映子, ▼d 1962-, ▼e 저 |
700 | 1 | ▼a 김유숙, ▼g 金有淑, ▼d 1953-, ▼e 역 ▼0 AUTH(211009)64378 |
740 | 0 | ▼a ナラティヴ・コンサルテーション : 書くことがひらく臨床空間 |
900 | 1 0 | ▼a 고모리 야스나가, ▼e 저 |
900 | 1 0 | ▼a Komori, Yasunaga, ▼e 저 |
900 | 1 0 | ▼a 아다치 에이코, ▼e 저 |
900 | 1 0 | ▼a Adachi, Eiko, ▼e 저 |
945 | ▼a ITMT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616.89165 2023z1 | 등록번호 111884155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내러티브 치료는 여러 개의 내러티브를 만들어 내담자의 선택 폭을 넓혀 주는 접근이다. 글쓰기 작업과 반영 과정을 통해 실천현장에서 여러 개의 내러티브가 생성되고 이야기가 더욱 두터워지는 과정을 다양한 사례를 통해 제시하고 있다.
내러티브 치료는 원인이나 본질에 머물면서 내담자를 정해진 결론으로 이끌어 가는 것이 아닌, 여러 개의 내러티브를 만들어 내담자의 선택 폭을 넓혀 주는 접근입니다. 이 책은 글쓰기 작업과 반영 과정을 통해 실천현장에서 여러 개의 내러티브가 생성되고 이야기가 더욱 두터워지는 과정을 다양한 사례를 통해 제시하고 있습니다. 또한 이를 통해 내러티브 실천에서 기록되지 않은 것, 잃어버렸던 것이 어떻게 텍스트에서 꽃을 피우는 모판이 되는지를 알 수 있습니다.
정보제공 :

목차
□ 역자 서문 □ 서문 제1장|내러티브 자문으로 제2장|글쓰기 작업과 다성화 제3장|병렬차트 재방문 제4장|반영 과정의 재방문 제5장|퇴고와 자문화기술지 제6장|이미지의 전달 제7장| 섬망의 활용 제8장|꿈의 활용 제9장|마치~인 듯 사례회의 제10장|워크숍 1: 첫 번째 자문 제11장|워크숍 2: 협력적 글쓰기 작업 제12장|존 윈슬레이드와 로레인 헤트케 제13장|페기 펜과 톰 안데르센 제14장|텍스트, 내러티브, 임상: 또다시 ''글쓰기 작업''을 둘러 싸고 제15장|표층영성 □ 마치면서 □ 참고문헌 □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