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n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56673 | |
005 | 20230825164528 | |
007 | ta | |
008 | 230825s2023 ulk 000a kor | |
020 | ▼a 9791186452950 ▼g 0330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0 | ▼a 338.4/7004678 ▼2 23 |
085 | ▼a 338.47004678 ▼2 DDCK | |
090 | ▼a 338.47004678 ▼b 2023 | |
100 | 1 | ▼a Altenried, Moritz |
245 | 1 0 | ▼a 디지털 팩토리 : ▼b 디지털 자본주의 시대, 보이지 않는 노동 / ▼d 모리츠 알텐리트 지음 ; ▼e 권오성, ▼e 오민규 옮김 |
246 | 1 9 | ▼a The digital factory : ▼b the human labor of automation |
246 | 3 9 | ▼a Digital factory |
260 | ▼a 서울 : ▼b 숨쉬는책공장, ▼c 2023 | |
300 | ▼a 318 p. ; ▼c 21 cm | |
650 | 0 | ▼a Internet industry ▼x Employees |
650 | 0 | ▼a High technology industries ▼x Employees |
650 | 0 | ▼a Assembly-line methods |
650 | 0 | ▼a Unskilled labor |
650 | 0 | ▼a Industrial management ▼x Technological innovations |
650 | 0 | ▼a Technological innovations ▼x Social aspects |
650 | 0 | ▼a Technological innovations ▼x Economic aspects |
700 | 1 | ▼a 권오성, ▼g 權五晟, ▼d 1973-, ▼e 역 ▼0 AUTH(211009)110888 |
700 | 1 | ▼a 오민규, ▼e 역 |
900 | 1 0 | ▼a 알텐리트, 모리츠, ▼e 저 |
945 | ▼a ITMT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 Call Number 338.47004678 2023 | Accession No. 121263863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아마존 물류창고에서 일하는 노동자와 배송 노동자, 중국에서 미국 게임사의 그래픽 작업을 하는 하청 노동자, 필리핀의 콘텐츠 모더레이터, 그리고 여러 소셜미디어 상의 홍보마케팅 노동자에 이르기까지 IT기업에서 필수적인 노동을 하면서도 철저히 은폐되고 서열화, 인종화되는 디지털 노동의 현주소를 살피며 공정한 노동환경을 만들기 위해 어떤 사회적 노력이 필요한지를 이야기한다.
또한 《디지털 팩토리》는 디지털 기술이 만든 작업 환경이 20세기 초 테일러 주의적 공장과 아주 많이 닮았음을 짚는다. 그러면서 디지털 자본주의가 공장의 종말이 아닌, 오히려 폭발, 증식, 공간 재구성과 기술적 변이과정을 통해 더욱 노동을 강제하는 디지털 공장을 만들어 냈다고 이야기한다.
공장의 종말이 아닌 폭발, 증식, 변이를 일으키는
디지털 자본주의 시대 속
은폐되고 서열화되고 인종화되는 노동!
디지털 자본주의와 자동화 시대의 노동
2011년, 실리콘 밸리에 위치한 구글 본사를 촬영한 동영상이 공개됐다. 동영상 화면은 2개로 분할되어 있는데 오른편에는 우리에게 디지털 시대의 이상적 업무 공간으로 잘 알려진 구글플렉스의 모습이 담겼다. 왼편에는 어딘지 모를 일반 사무용 건물의 모습이 들어 있다. 카메라는 고정된 채, 두 건물을 드나드는 직원들의 모습을 촬영했다.
해당 동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w0RTgOuoi2k
이 동영상은 당시 구글과 외주 계약을 맺고 일하던 비디오 아티스트 앤드류 노먼 윌슨이 촬영했다. 동영상은 구글 본사 노동자들이 빨강, 초록, 하양, 노랑 네 가지 색깔에 따라 4개의 계급으로 나뉘어 있다는 사실을 폭로했다. 무엇보다 놀라운 점은 빨간색이나 하얀색 명찰을 단 노동자들은 노란색 명찰을 단 노동자들이 구글 내에 존재하는 사실을 몰랐다는 사실이다. 또한 이들은 일을 하거나 출퇴근을 하면서 서로 동선을 겹치는 일도 없었다.
노란색 명찰을 단 노동자들은 구글 북스 사업부에 소속되어 도서들을 스캔하는 작업을 하는 노동자들이었다. 다른 색 명찰을 달고 구글플렉스의 멋진 단지를 거니는 노동자들이 주로 고학력 백인들인 데 반해 노란색 명찰을 단 노동자들은 대부분 유색 인종이었다.
《디지털 팩토리》는 아마존 물류창고에서 일하는 노동자와 배송 노동자, 중국에서 미국 게임사의 그래픽 작업을 하는 하청 노동자, 필리핀의 콘텐츠 모더레이터, 그리고 여러 소셜미디어 상의 홍보마케팅 노동자에 이르기까지 IT기업에서 필수적인 노동을 하면서도 철저히 은폐되고 서열화, 인종화되는 디지털 노동의 현주소를 살피며 공정한 노동환경을 만들기 위해 어떤 사회적 노력이 필요한지를 이야기한다.
환상적으로 느껴지는 디지털 팩토리의 허상 그리고 민낯
어쩐지 디지털 팩토리는 기존의 공장보다 더 세련되고 산뜻한 분위기를 자아낼 것만 같다. 그리고 노동과정이 디지털화, 자동화가 되면 많은 사람들의 일자리가 줄어들까 봐 우려되기도 한다. 하지만 《디지털 팩토리》에 등장하는 중국에서 전문 게임 플레이어로 일하는 ‘골드 파머’들이나 페이스북에서 일하는 콘텐츠 관리자들의 경우를 보면 생각이 달라진다.
골드 파머들은 게임 내 아이템을 획득해 그 아이템을 원하는 일반 플레이어들에게 판매한다. 골드 파머들은 ‘전문’ 플레이어임에도 낡은 창고 지하에서 24시간 온라인게임이 실행되는 컴퓨터 앞에서 교대로 근무하며 혐오의 대상이 되기도 하고 인종차별까지 겪는다. 수많은 골드 파머들의 일자리는 디지털화로 인해 새롭게 생겨났다.
페이스북 콘텐츠 관리자들의 일터는 그보다 공기가 더 신선할 수는 있겠지만 정신적으로는 참혹 그 자체라 할 만하다. 그들은 페이스북 네트워크를 최대한 깨끗하게 유지하는 업무를 맡는다. 다시 말해 그들은 컴퓨터가 결정할 수 없는 페이스북 내 게시물의 내용을 점검해 혐오를 일으키거나 폭력, 인종차별, 노출, 마약 또는 법적 혹은 문화적 기준에 따라 불쾌감을 줄 것으로 판단되는 게시물을 삭제한다. 그런데 콘텐츠 관리자들이 강제로 보아야 했던 이미지들은 과히 충격적이다. 그들은 폭력적인 이미지를 ‘영화처럼’ 개념화해 보려고 노력하지만 역부족이다. 게다가 일일 할당량까지 달성해야 한다. 이러한 콘텐츠 관리자들의 일자리 역시 디지털화로 인해 새롭게 생겼다.
디지털 기술이 만들고 강제한 노동 시스템
또한 《디지털 팩토리》는 디지털 기술이 만든 작업 환경이 20세기 초 테일러 주의적 공장과 아주 많이 닮았음을 짚는다. 그러면서 디지털 자본주의가 공장의 종말이 아닌, 오히려 폭발, 증식, 공간 재구성과 기술적 변이과정을 통해 더욱 노동을 강제하는 디지털 공장을 만들어 냈다고 이야기한다. 아마존의 경우 “직접 사장이 되어서, 스스로 업무 일정을 결정하고, 목표와 꿈을 추구할 시간을 더 많이 가질 수 있습니다”라고 광고하지만 실제 노동자들은 스마트폰에 설치해야 하는 앱을 통해 노동과정 전반을 통제받고 평가받는다. 디지털 공장은 매우 전통적인 건물 형식을 취한 공장의 형태를 벗어나 매우 다양한 형태를 취한다. 플랫폼 역시 오늘날 디지털 자본주의의 전형적인 공장이다. 《디지털 팩토리》는 디지털 기술, 디지털 자본주의가 만든 디지털 공장들과 전환된 노동의 실태를 살피며 또다시 변화해야 할 우리의 모습을 함께 고민한다.
▮편집자의 소개 글
구글에서 제공하는 스트리트뷰는 어떻게 만들어지는 것일까? 당근 마켓 앱에서 보내는 각종 알람은 누가 쓰는 것일까? 디지털 공간에서 점점 많은 시간을 보내며 정보를 얻다 보면 기술은 인간을 대신하며 거듭 진보하는 것만 같다. 그러나 우리가 누리는 대다수가 여전히 인간의 노동을 거친 결과라면 어떻겠는가? 《디지털 팩토리》는 작금의 디지털 사회를 비판적으로 읽어내기 위해 다시 ‘공장’ 속으로 들어갈 필요가 있다고 제안한다. 캘리포니아에서 일하는 구글의 스캔 노동자들부터 중국과 필리핀에서 일하는 게임 노동자, 베를린과 나이로비에서 일하는 비디오게임 검사자까지, 전 세계 곳곳에 위치한 ‘디지털 공장’ 노동자들을 만나며, 기술 뒤에 가려진 노동의 민낯을 드러낸다. 최첨단 기술을 경험하는 우리가 20세기 초 공장을 마주하는 아이러니. 이 책이 우리에게 전하는 슬프고도 흥미로운 경험이다.
_윤현아 편집자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모리츠 알텐리트(지은이)
독일 훔볼트대학에서 긱 이코노미 시대의 노동과 인종, 이민의 문제에 대해 연구하고 가르치며, 스위스의 노동연구자문 단체 Fairwork에서 활동 중인 모리츠 알텐리트는 이 책을 통해 자동화 뒤에 가려진 인간의 노동이 어떻게 계급화되어 있는지 보여 준다.
권오성(옮긴이)
서울대학교 공법학과를 졸업하고, 성균관대학교에서 법학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사법시험에 합격하고 사법연수원을 수료한 후 변호사로 활동하다가, 2007년부터 성신여자대학교에서 노동법을 가르치고 있다. 경기지방노동위원회 공익위원, 노동법연구소 해밀 운영위원 등 다양한 사회활동을 하면서, 여러 언론과 단체에 노동권과 국민의 안전권에 관한 기고와 강연 활동을 펼치고 있다. 『당신의 안녕이 기준이 될 때』는 대한민국 안전 재설계 보고서이자 위험인지 불능상태에 빠져 있는 대한민국을 치료하기 위한 처방전이다. 산업화 이후의 변화된 세계에서 등장한 산업재해가 어떻게 불가피한 사회적 위험으로 인식되었는지 짚어보고, 새로운 체제 속에서 인간다운 생활을 영위하기 위한 ‘안전’에 관한 국가정책의 필요성을 재확인한다. 이 책은 재난을 제도적으로 예방하고, 걸맞은 책임을 묻고, 온당하게 구제하는 일련의 '안전 최우선 사회구조 만들기'에 대해 역설한다. '더 안전한 나라'의 필요충분조건을 살펴봄으로써, 국가와 기업은 시민과 근로자의 신체 안전성과 아프지 않은 상태를 위해 어떤 안전 고리를 만들어야 하는지, 개인은 무사한 오늘을 지켜내기 위해 가져야 할 냉철한 관점과 행동은 무엇인지에 대해 배워볼 수 있을 것이다.
오민규(옮긴이)
울산에서 노동운동을 시작해 현대차비정규노조 결성을 비롯해 비정규직 조직화 운동에 함께 해 왔다. 전국비정규노조연대회의 집행위원장(2004~2012년), 민주노총 미조직비정규직전략사업실장(2015~2017년)을 역임했으며, 현재는 노동문제연구소 해방 연구실장, 플랫폼노동희망찾기 집행 책임자로 활동하고 있으며, 라이더유니온, 한국지엠지부 등 노동조합 자문역도 겸하고 있다. 2008년부터 '오민규의 인사이드경제'를 《프레시안》에 연재하고 있으며, 저서로는 《카네이션: 브레이크 없는 어느 자동차 왕국 시승기》(이매진), 《톡 까놓고 이야기하는 노동》(공저, 숨쉬는책공장)이 있다.

Table of Contents
1. 프롤로그: 공장을 떠나는 노동자들 1.1. 소개 1.2. 디지털 공장 속으로 1.3. 디지털 공장 연구 1.4. 이 책의 구성 2. 글로벌 공장 2.1. 물류 센터 2.2. 컨테이너, 또는 물류 혁명 2.3. 알고리즘, 또는 두 번째 혁명 2.4. 소매업의 부상 2.5. 크리스마스 열병 : 물류 센터 속으로 2.6. 바코드와 스캐너의 리듬에 맞춰 작업하기 2.7. 업무 표준화/노동력 증식 2.8. 아마존의 다음 개척지: 라스트 마일 2.9. 라스트 마일 부문의 노동 2.10. 급진적 유연성: 플랫폼 노동의 등장 2.11. 결코 원활하지만은 않은 3. 놀이의 공장: 게임 3.1. 로스앤젤레스, 베를린, 선전을 오가는 게임 노동력 3.2. 아제로스의 정치경제학 3.3. 디지털 그림자 경제 3.4. 이중 이주자 3.5. 디지털 노동 / 디지털 이민 3.6. 골드러시 이후 3.7. 게임 제작: 게임 스튜디오의 노동과 갈등 3.8. 테스트 노동 3.9. 일렉트로닉 아트의 사례 3.10. 갈등, 즐거움, 물질성 4. 분산된 공장: 크라우드 워크 4.1. 대여용 인간(PEOPLE AS A SERVICE) 4.2. 온-디멘드 노동의 글로벌 생태학 4.3. 인공지능 뒷면의 노동 4.4. “먹고살기 위해 100유로를 벌어야 해요” 4.5. 디지털 조립 라인 4.6. 온-디멘드 노동 4.7. 플랫폼 노동자 4.8. 크라우드 워크와 돌봄노동 4.9. “다음 50억” 4.10. 숨겨진 노동 5. 은닉된 공장: 소셜 미디어 5.1. 플랫폼 광고의 정치경제학 5.2. 알고리즘 구조: 논리, 통제, 노동 5.3. 크라우드의 물질성 5.4. 바다 아래로, 그리고 공장 속으로 5.5. 아이폰 도시 5.6. 콘텐츠 관리: “당신이 보는 것은 제 상상을 초월해요” 5.7. 좋거나 나쁜 콘텐츠 5.8. 문화로 인해 당황스러운 알고리즘 5.9. 베르린, 오스틴, 더블린: 외주화된 이주민 노동 5.10. 산업화된 의사결정 5.11. 소셜 미디어의 이면의 세계지리학 5.12. "미국인이나 호주인과 함께 일하는 것과 거의 같음“ 5.13. 인프라 되기 6. 결론: 공장으로서의 플랫폼 6.1. 베들레헴에서 아마존으로: 그때와 지금의 테일러리즘 6.2. 공장으로서의 플랫폼 6.3. 이주노동, 유연화된 국경, 분산된 투쟁 6.4. 노동의 종말을 향하여 7. 에필로그: 전염성 공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