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전문 용어 형성 연구 (1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최형용, 崔炯龍, 1971-, 저 劉婉瑩, 저 권경녀, 저 강문영, 저 김혜지, 저 장지영, 저 박지현, 저 김선영, 저 한은주, 저 王思宇, 저
서명 / 저자사항
전문 용어 형성 연구 / 최형용 [외]
발행사항
서울 :   역락,   2023  
형태사항
432 p. : 삽화, 도표 ; 23 cm
총서사항
이화여자대학교 국어문화원 연구총서 ;8
ISBN
9791167425737 9791156862253 (세트)
일반주기
공저자: 리우 완잉, 권경녀, 강문영, 김혜지, 장지영, 박지현, 김선영, 한은주, 왕사우  
서지주기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56644
005 20230829105658
007 ta
008 230825s2023 ulkad b 001c kor
020 ▼a 9791167425737 ▼g 94710
020 1 ▼a 9791156862253 (세트)
035 ▼a (KERIS)BIB000016822945
040 ▼a 211062 ▼c 211062 ▼d 211009
082 0 4 ▼a 495.7014 ▼2 23
085 ▼a 497.014 ▼2 DDCK
090 ▼a 497.014 ▼b 2023
245 0 0 ▼a 전문 용어 형성 연구 / ▼d 최형용 [외]
260 ▼a 서울 : ▼b 역락, ▼c 2023
300 ▼a 432 p. : ▼b 삽화, 도표 ; ▼c 23 cm
490 1 0 ▼a 이화여자대학교 국어문화원 연구총서 ; ▼v 8
500 ▼a 공저자: 리우 완잉, 권경녀, 강문영, 김혜지, 장지영, 박지현, 김선영, 한은주, 왕사우
504 ▼a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700 1 ▼a 최형용, ▼g 崔炯龍, ▼d 1971-, ▼e▼0 AUTH(211009)70297
700 1 ▼a 劉婉瑩, ▼e
700 1 ▼a 권경녀, ▼e
700 1 ▼a 강문영, ▼e
700 1 ▼a 김혜지, ▼e
700 1 ▼a 장지영, ▼e
700 1 ▼a 박지현, ▼e
700 1 ▼a 김선영, ▼e
700 1 ▼a 한은주, ▼e
700 1 ▼a 王思宇, ▼e
830 0 ▼a 이화여자대학교 국어문화원 연구총서 ; ▼v 8
900 1 0 ▼a 리우 완잉, ▼e
900 1 0 ▼a 劉婉瑩, ▼e
900 1 0 ▼a Liu, Wanying, ▼e
945 ▼a ITMT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97.014 2023 등록번호 111884095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12-09 예약 예약가능 R 서비스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전문 용어를 일반 용어와 대등한 대상으로 보고 다만 그 영역이 전문 분야에 한정되는 것으로 간주한다는 점에서 기존 논의와 차별점을 갖는다. 이를 통해 전문 용어가 일반 용어 형성과 어떤 점에서 차이가 있는지 또 그 특성은 구체적으로 어떠한지에 대해 천착하고 있다.

전문 용어 형성 연구
국내에서 그동안 전문 용어에 대한 관심은 정책적 측면에 집중된 느낌이 없지 않다. 따라서 전문 용어에 대한 형성의 관점도 자연히 그 출발은 정책적 측면에서 비롯되었다고 볼 수 있다. 정책적 측면에서 전문 용어 형성을 바라본다는 것은 특정한 목적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인위적이고 당위적이라는 느낌을 준다. 그러나 전문 용어도 일반 용어와 마찬가지로 언어 현상의 하나이므로 이를 순수하게 형태론적 관점에서 조망하는 일은 오히려 정책적 측면에서 전문 용어를 바라볼 때도 도움이 된다고 할 수 있다.
이는 달리 말하자면 지금까지는 일반 용어와 대등한 입장에서 전문 용어 형성을 바라보는 시각은 부족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 책은 전문 용어를 일반 용어와 대등한 대상으로 보고 다만 그 영역이 전문 분야에 한정되는 것으로 간주한다는 점에서 기존 논의와 차별점을 갖는다. 이를 통해 전문 용어가 일반 용어 형성과 어떤 점에서 차이가 있는지 또 그 특성은 구체적으로 어떠한지에 대해 천착하려는 것이 이 책의 목적이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최형용(지은이)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석사, 박사 학위를 받았다. 공군사관학교 교수부 국어과 교관, 전임강사를 거쳐 아주대학교 인문과학대학 국어국문학전공 교수를 지냈다. 현재 이화여자대학교 인문과학대학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있다. 저서 󰡔국어 단어의 형태와 통사-통사적 결합어를 중심으로-󰡕 󰡔주시경 국어문법의 교감과 현대화󰡕(공저) 󰡔한국어 형태론의 유형론󰡕 󰡔한국어 연구와 유추󰡕(공저) 󰡔한국어 형태론󰡕 󰡔한국어 분류사 연구󰡕(공저) 󰡔한국어 의미 관계 형태론󰡕 󰡔표준 국어문법론󰡕(전면개정판)(공저) 등 논문 「규범문법과 학문문법의 친소」 「사잇소리 현상과 표기」 「<한글 맞춤법> 총칙 제1항과 표기의 원리」 「현대 국어의 사이시옷은 과연 형태소인가」 「명사와 접미사의 용법을 지니는 단위의 사이시옷 표기에 대하여」 「실태 조사를 바탕으로 한 사이시옷 표기 규정의 개선 방안에 대하여」 「근대 어문 규범의 성립과 한자 문제」 「두음 법칙 규정과 어종」 등

왕사우(지은이)

중국 요녕성(遼寧省) 해성시(海城市) 출생 이화여자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문학박사(2019) 중국 중산대학교 국제통번역대학 한국어학과 박사후 연구원(2020~2022) 현재 중국 중산대학교 국제통번역대학 한국어학과 연구원 <주요 논문> 「한국어 ‘N1+의+N2’형 단어에 대한 고찰」(2016) 「유형론적 관점에서 본 ‘N+genitive marker+N’형 단어」(2017) 「한국어 ‘X+에(ㅅ)+X’형 명사에 대한 연구」(2018) 「다른 언어와의 비교를 통한 한국어 동철대립어 연구」(2018) 「한국어 조사․어미 결합형 식물 명칭의 형성 연구」(2021) 「韓國語 助詞․語尾 結合型 名詞의 意味 透明性 및 單語 認知」(2022)

김혜지(지은이)

이화여자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 이화여자대학교 호크마교양대학 강사

리우(지은이)

완잉(劉婉瑩) 이화여자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 주한중국문화원 강사

권경녀(지은이)

이화여자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과정

강문영(지은이)

이화여자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과정

장지영(지은이)

이화여자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과정 수료

박지현(지은이)

이화여자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과정

김선영(지은이)

이화여자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과정

한은주(지은이)

이화여자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과정

정보제공 : Aladin

목차

1 _ 형성의 관점에서 본 전문 용어 -도입을 대신하며
1.1. 들어가기
1.2. 전문 용어의 개념
1.3. 전문 용어의 분류와 품사
1.4. 전문 용어와 파생어
1.5. 전문 용어와 합성어
1.6. 전문 용어와 통사적 결합어
1.7. 전문 용어와 신어
1.8. 전문 용어와 유추
1.9. 전문 용어와 의미 관계
1.10. 전문 용어와 순화어
1.11. 공공 언어로서의 전문 용어
1.12. 전문 용어의 대조 연구
1.13. 나가기

2 _ 전문 용어의 분류와 품사
2.1. 들어가기
2.2. 전문 용어의 분류
2.3. 전문 용어의 품사적 특성
2.4. 나가기

3 _ 파생의 관점에서 본 전문 용어
3.1. 들어가기
3.2. ‘파생’과 구 전문 용어
3.3. 파생어 전문 용어의 유형과 특성
3.4. 나가기

4 _ 합성의 관점에서 본 전문 용어
4.1. 들어가기
4.2. ‘합성’과 구 전문 용어
4.3. 합성어 전문 용어의 유형과 특성
4.4. 나가기

5 _ 전문 용어와 통사적 결합어
5.1. 들어가기
5.2. 전문 용어 통사적 결합어의 개념
5.3. 전문 용어 통사적 결합어의 유형과 특성
5.4. 나가기

6 _ 전문 용어와 신어
6.1. 들어가기
6.2. 신어 전문 용어의 형태론적 지위
6.3. 신어 전문 용어의 형성
6.4. 나가기

7 _ 전문 용어 형성과 유추 -경제, 사회 분야를 중심으로
7.1. 들어가기
7.2. 전문 용어 형성 기제로서의 유추의 우위성
7.3. 전문 용어 형성 기제로서의 유추의 유형
7.4. 유추의 유형에 따른 전문 용어의 형성
7.5. 나가기

8 _ 전문 용어와 의미 관계
8.1. 들어가기
8.2. 전문 용어 사이에서의 의미 관계
8.3. 전문 용어 내부에서의 의미 관계
8.4. 나가기

9 _ 전문 용어와 순화어
9.1. 들어가기
9.2. 전문 용어 순화어의 이해
9.3. 전문 용어 순화어의 어종에 따른 구조 양상
9.4. 나가기

10 _ 공공 언어로서의 전문 용어
10.1. 들어가기
10.2. 용어 정의에 따른 공공 언어로서의 전문 용어
10.3. 공공 언어에서의 전문 용어 생산
10.4. 공공 언어로서의 전문 용어 표준화
10.5. 나가기

11 _ 전문 용어의 대조 연구 -한중 전문 용어를 중심으로
11.1. 들어가기
11.2. 단어 형성법의 측면에서 본 한중 전문 용어
11.3. 의미론의 측면에서 본 한중 전문 용어
11.4. 나가기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