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피부노화학 = 제2판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정진호, 저 진선필, 저
Title Statement
피부노화학 = Dermatogerontology / 정진호, 진선필 공저
판사항
제2판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하누리,   2023  
Physical Medium
264 p. : 천연색삽화 ; 25 cm
ISBN
9788991130760
Bibliography, Etc. Note
각 장마다 참고문헌과 색인 수록
000 00000nam c2200205 k 4500
001 000046156511
005 20230821091256
007 ta
008 230821s2023 ulka b 001c kor
020 ▼a 9788991130760 ▼g 93510
035 ▼a (KERIS)BIB000016780398
040 ▼a 242007 ▼c 211009 ▼d 211009
082 ▼a 646.726 ▼2 23
085 ▼a 616.5 ▼2 DDCK
090 ▼a 616.5 ▼b 2023
245 0 0 ▼a 피부노화학 = ▼x Dermatogerontology / ▼d 정진호, ▼e 진선필 공저
250 ▼a 제2판
260 ▼a 서울 : ▼b 하누리, ▼c 2023
300 ▼a 264 p. : ▼b 천연색삽화 ; ▼c 25 cm
504 ▼a 각 장마다 참고문헌과 색인 수록
700 1 ▼a 정진호, ▼e
700 1 ▼a 진선필, ▼e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edical Library/Departmental Collection/ Call Number 구로가정의학 616.5 2023 Accession No. 931004121 Availability Loan can not(reference room)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피부의 구조, 피부의 기질, 피부장벽, 피부의 기능, 피부노화에 따른 조직변화 및 생화학적 이상, 피부노화에 따른 기능 변화, 한국인의 피부노화, 피부노화의 증상, 원인에 따른 피부노화의 종류, 피부노화의 예방과 치료, 피부미용 건강기능식품 등으로 구성된 교재다. 많은 사진과 함께 친절한 설명을 실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했다.

피부노화에 관한 학문적 사실과 최신 연구성과 업데이트

서울의대 피부과학교실 정진호 교수가 피부노화학 개정판을 발간했다. 피부노화학은 2010년 정진호 교수가 20년간 연구한 결과를 집대성한 결과로 집필한 책이다. 피부미용학, 화장품학 등 다양한 피부분야를 공부하는 여러 학생들로부터 큰 호응을 받았던 책으로 최근 10여년 동안의 연구결과를 업데이트하여 ‘피부노화학 개정판’으로 펴냈다.

1년 전 ‘가려워서 미치겠어요’를 발간해 의학분야 베스트 셀러에 올랐던 베스트셀러 작가인 저자가 자신의 주 연구 분야인 피부노화에 대해 학문적으로 더 깊고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교과서로서 집대성한 것이다.

특히 이 책에는 피부를 좀 아는 전문가가 읽어도 부족하지 않을 만큼 피부노화학 전반에 걸친 설명과, 서울의대 피부과학교실에서 연구하고 있는 지식들을 체계적으로 정리했다.

정년퇴임을 1년 남짓 남긴 정진호 교수는 30여년간의 피부노화 연구결과를 모두 녹여냈다며 “피부노화에 대한 최고의 교과서라고 자부할 수 있다. 대학 및 대학원에서 피부를 공부하고자 하는 학생들에게 이 책이 많은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 책은 피부의 구조, 피부의 기질, 피부장벽, 피부의 기능, 피부노화에 따른 조직변화 및 생화학적 이상, 피부노화에 따른 기능 변화, 한국인의 피부노화, 피부노화의 증상, 원인에 따른 피부노화의 종류, 피부노화의 예방과 치료, 피부미용 건강기능식품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많은 사진과 함께 친절한 설명을 실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했다.

정진호 교수는, 기초 연구의 실용화에도 관심이 많아 ‘정진호 이펙트’라는 벤처 화장품회사를 운영하고 있다. 그는 “기초연구를 통해 아무리 좋은 논문을 써봤자 책장에 꽂혀 있기만 해서는 좋은 연구가 될 수 없다. 연구는 많은 사람이 읽고, 그것이 사람을 유익하게 하고, 그로써 세상을 바꾸기 위해 행해져야 하는 것이다.”라고 말했다.

이번 개정판에는 정진호 교수와 함께 진선필 교수가 공저자로 참여하였다. 정진호 교수는 광의학, 광생물학 및 피부노화에 대한 국내 최고 권위자이다. 진선필 교수는 피부노화학 뿐 아니라 자가면역 피부질환 등에 관심을 갖고 연구하고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정진호(지은이)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피부과학교실 교수 피부노화 및 피부생리학 분야에서 많은 연구 업적을 이루어낸 세계적인 피부과학자이다. 다양한 연구 활동을 펼치는 가운데 특히 피부노화의 비밀을 밝혔으며, 그 예방 및 치료 방법을 개발했다. 서울대학교병원 피부과에서 노인성 피부질환, 류마티스성 피부질환, 수포성 피부질환, 가려움증을 전문적으로 진료하며, 유튜브 채널을 통해 의학 정보를 전달하고 있다. 서울대학교 인체환경경계생물학연구소 소장, 서울대학교 노화고령사회연구소 소장을 맡고 있다. 한국과학기술한림원과 대한민국의학한림원의 정회원이기도 하다. 평생의 연구결과로 신약과 화장품을 만들기 위해 서울대학교병원 실험실에 ‘(주)정진호이펙트’라는 벤처회사를 창업하여 대표이사로 있다. (주)정진호이펙트는 피부노화를 억제하는 화장품과 가려움증 환자를 위한 보습제를 개발하였으며, 발모제, 아토피피부염 치료제, 가려움증 치료제 등을 개발하고 있다. 저서로는 “피부가 능력이다”, “늙지 않는 피부 젊어지는 피부”, “코로나시대, 피부도 병들고 있습니다” 등이 있다.

진선필(지은이)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피부과학교실 임상교수 서울의대를 졸업하고 피부과 전문의를 획득한 후 해외 유학 생활 3년을 포함해 10년간 피부노화 및 피부면역학 분야의 기초 연구에 매진했다. 정진호 교수와 다양한 피부노화 연구를 함께 하였으며, 현재 서울대학교 인체환경경계생물학연구소에서 많은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서울대학교병원 피부과에서 아토피피부염, 소아 류마티스성 피부질환 등 면역 피부질환을 전문적으로 진료하고 있으며 해당분야의 연구를 지속해 나가고 있다. 의사과학자로서 장래가 촉망되는 젊은 교수이자 연구자이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Chapter 1 / 피부의 구조
I. 표피 8
II. 진피 15
III. 피하지방층 24
IV. 표피부속기 27

Chapter 2 / 피부의 기질(Matrix)
I. 콜라겐 32
II. 탄력섬유 35
III. 기질단백질 분해효소인 MMP 37
IV. MMP 억제단백질인 TIMP 39
V. 글리코사미노글리칸 40
VI. 프로테오글리칸 42

Chapter 3 / 피부장벽(Skin barrier)
I. 피부장벽의 구성 47
II. 피부장벽 손상에 의한 피부증상 52

Chapter 4 / 피부의 기능
I. 보호기능 59
II. 비타민D 합성 60
III. 체온조절 기능 62
IV. 감각 기능 62
V. 사람의 외모 결정 62

Chapter 5 / 피부노화에 따른 조직 변화 및 생화학적 이상
I. 표피 두께 감소 68
II. 표피진피 경계면의 굴곡 소실 69
III. 멜라닌세포의 변화 70
IV. 랑게르한스세포 수의 감소 72
V. 콜라겐섬유 감소 74
VI. 탄력섬유의 변성 75
VII. 글리코사미노글리칸의 변화 77
VIII. 프로테오글리칸의 변화 78
IX. 피부 혈관의 변화 80
X. 지방층의 소실과 지방합성 감소 81

Chapter 6 / 피부노화에 따른 기능 변화
I. 피부 상처치유 능력 감소 88
II. 피부장벽 기능 감소 89
III. 체온조절 기능 감소 90
IV. 피부면역 기능 감소에 따른 감염과 피부암 증가 90
V. 비타민D 합성 감소 91

Chapter 7 / 한국인의 피부노화
I. 한국인의 피부 95
II. 세계인의 6가지 피부형 97
III. 한국인의 피부노화 99

Chapter 8 / 피부노화의 증상
I. 주름살 107
II. 색소성 반점 122
III. 피하지방층의 소실에 의한 얼굴 볼륨 감소 128
IV. 피부건조 131
V. 모세혈관확장증 133
VI. 노인성 자반증 135

Chapter 9 / 원인에 따른 피부노화의 종류
I. 자연 피부노화 141
II. 광노화 145
III. 열 피부노화 154
IV. 갱년기 피부노화 167
V. 흡연에 의한 피부노화 171
VI. 공기오염에 의한 피부노화 173
VII. 피부염증에 의한 피부노화 174
VIII. DNA 손상에 의한 피부노화 180

Chapter 10 / 피부노화의 예방과 치료
I. 자외선 차단제 189
II. 레티노이드 194
III. 녹차 추출물 204
IV. 피부염증 억제제 208
V. 항산화 물질과 항산화 효소 213
VI. PPAR-α 활성 물질 219
VII. 콜레스테롤 221
VIII. 세라마이드 225
IX. 자유지방산 228
X. 보습제 232
XI. 비만세포 억제물질 234
XII. 국소 에스트로겐 도포의 항 피부노화 효과 238
XIII. MMP 억제 물질 240
XIV. 탄력섬유의 재생 효능 물질 241
XV. 생활습관 개선 242

Chapter 11 / 피부미용 건강기능식품
I. 건강기능식품법에 의거한 피부미용 건강기능식품 249
II. 건강기능식품 원료 251
III. 피부미용 건강기능식품의 고려사항 255
색인 258
Index 262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Marks, Tracey I (2023)
이정화 (2022)
대한인터벤션영상의학회 (2022)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