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한국인 경제관념의 근대적 기원 (2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도면회, 都冕會, 1960-
서명 / 저자사항
한국인 경제관념의 근대적 기원 / 도면회 지음
발행사항
서울 :   선인,   2023  
형태사항
340 p. : 도표 ; 23 cm
총서사항
근현대 한국인의 경제적 상상 ;1
ISBN
9791160688108
서지주기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56472
005 20230821134113
007 ta
008 230818s2023 ulkd b 001c kor
020 ▼a 9791160688108 ▼g 93910
035 ▼a (KERIS)BIB000016775621
040 ▼a 011001 ▼c 011001 ▼d 211009
082 0 4 ▼a 330.9519 ▼2 23
085 ▼a 330.953 ▼2 DDCK
090 ▼a 330.953 ▼b 2018z5 ▼c 1
100 1 ▼a 도면회, ▼g 都冕會, ▼d 1960- ▼0 AUTH(211009)39977
245 1 0 ▼a 한국인 경제관념의 근대적 기원 / ▼d 도면회 지음
260 ▼a 서울 : ▼b 선인, ▼c 2023
300 ▼a 340 p. : ▼b 도표 ; ▼c 23 cm
490 1 0 ▼a 근현대 한국인의 경제적 상상 ; ▼v 1
504 ▼a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536 ▼a 2014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학중앙연구원(한국학진흥사업단)의 한국학총서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g (AKS-2014-KSS-1210001)
830 0 ▼a 근현대 한국인의 경제적 상상 ; ▼v 1
945 ▼a ITMT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30.953 2018z5 1 등록번호 111884046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12-12 예약 예약가능 R 서비스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도면회(지은이)

1960년 부산에서 태어났다. 서울대학교 국사학과에서 학사, 석사,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서울대 규장각 특별연구원을 거쳐 2002년 이래 대전대학교 혜화리버럴아츠칼리지 역사문화전공 교수로 재직 중이다. 대한제국기 화폐제도 연구로 석사 학위를 받고 형사재판제도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이 일본의 식민지가 된 원인, 한국의 근대 문화 변용 등에 관심을 갖고 있다. 최근에는 한국의 근대 역사학 성립부터 1960년대 역사학까지 연구하여 다수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단독 저서로 ��한국 근대 형사재판제도사��(푸른역사), 번역서로 ��한국의 식민지 근대성��(역서, 삼인), 공저로 ��한국근대사 1��(푸른역사), ��역사학의 세기��(휴머니스트), ��국사의 신화를 넘어서��(휴머니스트) 등이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책을 내면서


서론

제1장 ‘경제’ 개념의 의미 전환과 ‘소유’ 개념의 도입
1. 성리학적 ‘경제’ 개념으로부터 근대적 ‘경제’ 개념으로
1) 성리학적 ‘경제’ 개념의 지속성
2) 전통어 ‘생재’와 ‘이재’의 번역어 ‘경제’로의 흡수
3) 근대적 ‘경제’ 개념의 보편화와 주체로서의 등장
2. ‘황실재정’으로부터 ‘국민경제’로
1) 개화파의 경제 개념과 자유 상업 정책
2) 대한제국의 독점적 상업 정책과 황실재정의 팽창
3) ‘국민경제’ 개념의 도입
4) 경제정책의 모색과 민족 활로로서의 ‘경제’
3. 근대적 ‘소유권’ 개념의 도입
1) 조선시대의 소유 관련 개념
2) 개항 이후의 소유 관련 개념
3) 근대적 ‘소유권’ 개념의 확산

제2장 시장의 확대와 추상적 ‘시장’ 개념의 정착
1. 개항과 대외교역 관련 개념의 의미 변화
1) 개항과 외국 무역의 확대
2) 대외교역 관련 개념의 의미 변화
2. 근대적 화폐와 은행 개념의 도입 및 확산
1) 본위화 개념의 도입
2) 화폐정리사업과 ‘법화’ 개념의 강행
3) ‘은행’ 개념의 도입과 확산
3. 추상적 ‘시장’ 개념 도입과 정착
1) 상설 점포의 증가와 추상적 ‘시장’ 개념의 도입
2) 추상적 ‘시장’ 개념의 정착

제3장 근대적 ‘노동’ 개념의 도입과 분화
1. 신분제 폐지 이전의 노동 개념
1) 신분에 따른 역(役) 체계
2) 조선후기 모립제 등장과 노동 관련 용어
2. ‘노동(勞働)’ 개념의 도입과 분화
1) 갑오개혁 이후 노동 관련 개념의 변화 1
2) ‘노동(勞働)’ 개념의 도입
3) 노동자의 급증과 ‘노동’ 개념의 확산
4) 노동 개념의 분화와 국가 중심의 노동관

결론


참고문헌
찾아보기

관련분야 신착자료

大塚啓二郎 (2023)
최병선 (2023)
柄谷行人 (2023)
Garritzmann, Julian L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