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56390 | |
005 | 20230822085231 | |
007 | ta | |
008 | 230818s2022 ulkad b 000c kor | |
020 | ▼a 9791190917087 ▼g 93320 | |
035 | ▼a (KERIS)BIB000016223760 | |
040 | ▼a 222003 ▼c 222003 ▼d 211009 | |
082 | 0 4 | ▼a 658.3 ▼2 23 |
085 | ▼a 658.3 ▼2 DDCK | |
090 | ▼a 658.3 ▼b 2022z13 | |
100 | 1 | ▼a 정민홍 |
245 | 1 0 | ▼a 조직관리와 HR전략 = ▼x Organizational management human resource strategies : ▼b 실무에 바로 적용하는 인사관리 바이블 / ▼d 정민홍 지음 |
260 | ▼a 서울 : ▼b 성신미디어, ▼c 2022 ▼g (2023 3쇄) | |
300 | ▼a 421 p. : ▼b 삽화, 도표 ; ▼c 24 cm | |
504 | ▼a 참고문헌: p. 418-421 | |
945 | ▼a ITMT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658.3 2022z13 | Accession No. 111883941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성공하는 조직에는 남다른 HR 비법이 있다!
성과를 창출하는 조직 관리법과 체계적인 HR시스템 구축 가이드
시장이 변함에 따라 조직의 형태도 변해야 한다. 변화를 위해서는 리더와 실무자 모두 조직과 HR의 본질적 역할에 대해 이해하고 있어야 한다. 기존의 HR 관련 서적은 HR의 일부분만을 다뤘기에 조직과 사람, 그리고 HR시스템을 연결하여 떠올리기 어려웠고 이론에만 치중된 내용은 실무에 바로 적용하기에는 아쉬움이 있었다.
<조직관리와 HR전략>은 구성원과 경영진의 지향점을 잇는 다리 역할로서의 HR을 전반적으로 다룬다. 경영진의 사고와 방향성을 구성원에게 주입하는 방법이 아닌, 조직의 성과 창출이라는 하나의 목표를 체계적인 HR시스템으로 구축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책은 인사 업무 실무자는 물론 조직의 HR시스템을 발전시켜 목표를 이루고자 하는 리더와 CEO에게도 도움 될 내용으로 채워져 있다. 인사관리 업무의 바이블과 같은 이 책과 함께 성공하는 조직의 HR시스템을 구축해보자.
체계적인 HR시스템의 구축과 조직 관리법을 안내하는
실전 인사관리 바이블 『조직관리와 HR전략』
‘조직에 대한 이해’에서부터 시작하는 HR
어떠한 조직이든 유능한 인재들이 모여 있다고 해서 반드시 성공하는 조직이 되지는 않는다. 특히 조직을 관리하는 사람이 자기 조직을 이해하지 못한 채 관리에 임하고 있다면 그것은 인적자원의 낭비로 이어지고 만다. 이 책은 조직의 구성원리와 조직을 진단하는 방법, 그리고 직무체계를 수립하는 차원에서의 조직 전반에 대해 자세히 기술해 조직에 대한 이해를 먼저 돕는다.
PART 1에서는 조직화, 조직행동, 조직문화를 먼저 탐색하고 우리 조직을 진단하는 방법과 직무의 범위를 파악하고 직무체계 수립과 직무 가치 측정과 분석 방법을 소개해 선제적으로 조직을 이해하고 HR에 접근하도록 이끈다.
조직과 사람을 ‘유기적’으로 잇는 HR시스템 구축
기존의 인사관리는 조직에 부합하는 사람을 강조해 왔으나, 앞으로의 조직은 개인의 역량이 극대화될 수 있도록 구성원을 지원하는 역할을 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현재 조직에 대한 진단과 함께 보다 나은 방향으로 개선하려는 끊임없는 노력이 필요하며 이는 HR시스템의 발현으로 이어진다.
PART 2에서는 조직 내 HRM 차원에서의 채용과 교육, 평가, 보상, 직급과 승진뿐만 아니라, 글로벌사업의 주재원을 대상으로 한 인사체계는 어떻게 수립해야 하는가를 알려주는 GHR까지 두루 다루었다.
20여 년이 넘도록 HR 업무에 매진해오고 있는 정민홍 저자는 오랜 실무 경험과 이론적 바탕을 이 한 권에 녹여냈다. 독자 개개인이 속해있는 조직에 대해 객관적으로 평가하고, 조직의 HR 솔루션 수립에 도움이 될 『조직관리와 HR전략』을 바이블 삼아 성공하는 조직을 만들어가길 추천한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정민홍(지은이)
現 화승코퍼레이션에서 채용을 담당하는 HR팀장으로 재직 중이다. 가야대학교, 신라대학교, 우송대학교에서 외래교수를 역임했으며, 한국생산성본부에서 HR 교수 및 HRD PM으로 경력을 쌓았다.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는 NCS 국가직무분석 자격 전문가로 활동 중이다. 그의 HR 전문성과 다양한 경력은 『취업 해킹』을 통해 취업에 대한 유용한 지식을 제공할 것이다. 저서로는 『조직관리와 HR 전략』이 있다. ∙저서 『조직관리와 HR 전략』 ∙현 ㈜화승코퍼레이션 HR팀장 ∙가야대학교, 신라대학교, 우송대학교 외래교수 ∙한국생산성본부 HR 교수 및 HRD PM ∙한국산업인력공단 NCS 국가직무분석 자격 전문가, 경영기획·경영평가·통신판매 부문 국가 직무능력 개발위원, 일학습병행제 평가위원, 국가검정 과정 평가 문제 출제위원, 국가검정 신 자격 개발진

Table of Contents
추천사 | 현장이 생생히 담긴 HR 교과서의 출간에 부쳐_백진기 서평 저자 서문 〈PART 1. 조직〉 1장. 조직의 세 가지 축 1. 조직화 ㆍ 조직구조 ㆍ 조직설계 프로세스 STEP 1. 조직의 설립 목적 수립 STEP 2. 사업 조직 구조 고려 STEP 3. 수평적, 수직적 분화에 따른 설계 STEP 4. R&R 설정 2. 조직행동 ㆍ 조직의 역량 개요 ㆍ 사람의 역량 체계 공통역량 직무역량 리더십역량 ㆍ 역량 모델링 역량 모델링의 기본 구조 역량 도출 및 역량 모델 개발 방법 고성과자 역량 도출 방법 3. 조직문화 ㆍ 조직문화의 안착 방법 2장. 조직 진단 1. 조직진단 접근법 ㆍ 조직진단 방법 설문조사 진단방법 ㆍ 조직진단 모형 ㆍ 조직진단 프로세스 문제 유형 파악 계획(Plan) 진단(Do) 결과(Check) 실행(Action) 2. 조직진단의 세 가지 관점 ㆍ 조직화 관점 진단 기능 진단 조직구조 진단 ㆍ 조직행동 관점 진단 ESI / EOS 진단 내부고객 만족도(ICSI) 진단 ㆍ 통합진단 전략적 적정 인원 관리 진단 ㆍ 조직진단에 따른 HR시스템 설계 및 개선 3장. 직무 1. 직무 ㆍ 직무의 범위와 직무체계 ㆍ 직무체계 수립 프로세스 STEP 1. 수평적 분류 관점에서의 직무 속성 구분 STEP 2. 수평적 분류 관점의 직무 간 구성 검토 STEP 3. 수평적 분류 관점의 기능과 사업전략 방향성 검토 STEP 4. 수평 및 수직적 분류 관점의 성과 책임과 R&R 및 역량 정의 ㆍ 직무체계 기반 HR시스템 직급과 승진 성과관리 보상 채용 교육 이동 및 배치 2. 직무 가치 측정 기법 ㆍ Mercer의 IPE (International Position Evaluation) ㆍ Towers Watson의 GGS (Global Grading System) ㆍ Hay의 Guide chart ㆍ 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 3. 직무 분석 ㆍ NCS 기반 직무 분석 직무 정의 능력 단위 능력 단위 요소 수행 준거 K·S·A 작성 수준 〈PART 2. HR시스템〉 4장. 채용과 교육 1. 채용 ㆍ 채용 트렌드 직무 중심의 채용 블라인드 채용 A.I 기반 채용 ㆍ 채용 방식과 채용 프로세스 ㆍ 채용 도구 ㆍ 직무 미스매칭 ㆍ 면접 면접의 유형 면접 평가 측정 2. 교육 ㆍ 조직 교육 ㆍ 조직 교육체계 경영이념 및 비전 조직 방향성 및 전략 과제 교육 전략 육성 로드맵 계층별 교육 직무별 교육 ㆍ 교육 요구분석 경영 요구 수행 요구 개인 요구 ㆍ 교육 과정 개발 ISD 모형 CBC 모형 ㆍ 교육 운영 프로세스 STEP 1. 교육 기획 STEP 2. 강사 섭외 및 교육생 관리 STEP 3. 교보재 및 시설, 교육 기자재 관리 STEP 4. 운영자 준비 STEP 5. 아이스브레이킹 STEP 6. 교육 진행 STEP 7. 교육생 동기부여 STEP 8. 교육 평가 및 결과 보고 STEP 9. 교육 이력 관리 ㆍ교육 효과 측정과 교육 평가 모형 Kirkpatrick의 4단계 평가모형 Phillips의 5단계 평가모형 통계 분석 그 밖의 교육 평가 모형 5장. 평가ㆍ보상ㆍ직급과 승진 1. 평가 ㆍ 조직 평가와 사람 평가 ㆍ 조직 평가와 사람 평가항목 프레임워크 ㆍ 사람 평가 시스템 설계 프로세스 STEP 1. 성과관리 목적 도출 STEP 2. 성과관리 도구 선정 STEP 3. 업적 및 역량지표 도출 STEP 4. 평가자 단계 및 권한 STEP 5. 상대평가의 방식 선정 STEP 6. 평가결과 조정 STEP 7. 사후 관리 2. 보상 ㆍ 보상 공정성 ㆍ 보상수준 외부 공정성 관점의 보상 내부 공정성 관점의 보상 내재적 동기부여 3. 직급과 승진 ㆍ 직급의 개념 직급체계 설계 프로세스 ㆍ 승진의 개념 승진의 구분 승진의 세 가지 유형 승진 심사 기준 승진 운영 방식 승진자 선정 기준 6장. GHR 1. 주재원 선정 및 처우 ㆍ 주재원 선정 성향과 자질 외국어 능력 리더십(역할) 폭넓은 직무역량 ㆍ 주재원 처우 세금 및 4대 보험 주재 수당 및 복리후생 2. 해외사업장 HR 및 역할과 책임(R&R) ㆍ 해외사업장 HR 표준화 영역 부분 표준화 영역 혼합화 및 현지화 영역 ㆍ 본사와 해외사업장의 R&R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