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교육 사각지대 학습자 이해와 지원 : 핸드북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김동일, 金東一, 1964-, 저 고혜정, 高惠貞, 1978-, 저 김은삼, 金恩杉, 1981-, 저 김희은, 金希垠, 1986-, 저 남지은, 南知恩, 1984-, 저 박유정, 朴愉淨, 1981-, 저 신재현, 申宰鉉, 1982-, 저 장세영, 張世永, 1980-, 저 조영희, 趙英姬, 1980-, 저 황지영, 저
서명 / 저자사항
교육 사각지대 학습자 이해와 지원 : 핸드북 / 김동일 [외]공저
발행사항
서울 :   박영story :   피와이메이트,   2023  
형태사항
vi, 302 p. : 삽화, 도표 ; 25 cm
총서사항
한국아동청소년상담학회 교육사각지대연구총서 ;3
ISBN
9791165193713 9791165191931 (세트)
일반주기
공저자: 고혜정, 김은삼, 김희은, 남지은, 박유정, 신재현, 장세영, 조영희, 황지영  
서지주기
참고문헌(p. 270-302)과 색인수록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56162
005 20230816115032
007 ta
008 230814s2023 ulkad b 001c kor
020 ▼a 9791165193713 ▼g 94370
020 1 ▼a 9791165191931 (세트)
035 ▼a (KERIS)BIB000016692579
040 ▼a 011001 ▼c 011001 ▼d 211009
082 0 4 ▼a 371.9 ▼2 23
085 ▼a 371.9 ▼2 DDCK
090 ▼a 371.9 ▼b 2022 ▼c S
245 0 0 ▼a 교육 사각지대 학습자 이해와 지원 : ▼b 핸드북 / ▼d 김동일 [외]공저
260 ▼a 서울 : ▼b 박영story : ▼b 피와이메이트, ▼c 2023
300 ▼a vi, 302 p. : ▼b 삽화, 도표 ; ▼c 25 cm
490 1 0 ▼a 한국아동청소년상담학회 교육사각지대연구총서 ; ▼v 3
500 ▼a 공저자: 고혜정, 김은삼, 김희은, 남지은, 박유정, 신재현, 장세영, 조영희, 황지영
504 ▼a 참고문헌(p. 270-302)과 색인수록
536 ▼a This work was supported by the Minisrty of Educa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g (NRF-2020S1A3A2A02103411)
700 1 ▼a 김동일, ▼g 金東一, ▼d 1964-, ▼e▼0 AUTH(211009)121096
700 1 ▼a 고혜정, ▼g 高惠貞, ▼d 1978-, ▼e▼0 AUTH(211009)112953
700 1 ▼a 김은삼, ▼g 金恩杉, ▼d 1981-, ▼e
700 1 ▼a 김희은, ▼g 金希垠, ▼d 1986-, ▼e
700 1 ▼a 남지은, ▼g 南知恩, ▼d 1984-, ▼e▼0 AUTH(211009)136044
700 1 ▼a 박유정, ▼g 朴愉淨, ▼d 1981-, ▼e▼0 AUTH(211009)153997
700 1 ▼a 신재현, ▼g 申宰鉉, ▼d 1982-, ▼e▼0 AUTH(211009)146649
700 1 ▼a 장세영, ▼g 張世永, ▼d 1980-, ▼e
700 1 ▼a 조영희, ▼g 趙英姬, ▼d 1980-, ▼e▼0 AUTH(211009)153998
700 1 ▼a 황지영, ▼e
772 0 ▼t 교육 사각지대 학습자 이해와 지원 ▼w 000046100242 ▼z 9791165191924
830 0 ▼a 한국아동청소년상담학회 교육사각지대연구총서 ; ▼v 3
945 ▼a ITMT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71.9 2022 S 등록번호 11188379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학업 및 행동 문제 간의 유의미한 연관성을 고려할 때 교육사각지대 학습자를 위하여 학업적 지원뿐 아니라 다차원적인 교육적 지원을 확인하고, 각 저자들이 자신의 전문 분야의 이론, 근거, 실천을 종합한 핸드북을 구성하였다. 각 장마다 매우 의미있고 체계적인 정보와 통찰을 확인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서 문

다양한 특성을 가진 학습자의 개인차를 고려하여 서로 다른 교육내용 및 방법을 통해 적절한 교육을 제공해야 하지만, 우리 교육 현장에서 여러 가지 이유로 적절한 교육을 제공받지 못한 채 교육의 기회, 과정, 결과에서 공정한 참여를 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특별한 교육적 요구를 가지고 있지만 그에 대한 교육적 지원을 적절하게 제공받지 못하고 일반교육과 특수교육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는 위기학습자를 ‘교육사각지대 학습자’로 볼 수 있습니다. 우리 교육 현장에서는 경계선급 지능, 학습부진, 난독증, 학습 및 정서행동 문제를 지닌 학생 등이 교육사각지대 학습자에 속합니다. 교육사각지대 학습자는 학교에서의 소외감, 낮은 자아존중감, 무기력감, 주의집중 문제, 비행 등 행동 문제 등을 경험하는 비율이 높으며, 비단 학습 및 인지적 차원뿐 아니라 정서·행동적 차원, 환경적 차원, 관계적 차원, 일상·생활적 차원 등에서 다양한 문제들을 경험하는 것으로 보고됩니다.
이 책은 학업 및 행동 문제 간의 유의미한 연관성을 고려할 때 교육사각지대 학습자를 위하여 학업적 지원뿐 아니라 다차원적인 교육적 지원을 확인하고, 각 저자들이 자신의 전문 분야의 이론, 근거, 실천을 종합한 핸드북을 구성하였습니다. 각 장마다 매우 의미있고 체계적인 정보와 통찰을 확인할 수 있으리라 사료됩니다.
이 책을 내놓기까지 매우 많은 분들의 도움이 있었습니다. 교육사각지대 아동과 청소년을 위한 연수 워크숍을 직접 참여하고 운영해 준 서울대학교 SSK연구원들과 정성어린 손길로 책을 만들어준 박영스토리 임직원 여러분께 진심으로 고마운 마음을 전합니다. 특히,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지원하는 SSK중형단계 교육사각지대학습자 연구사업단을 운영하는 과정에서 전문가 양성과정에 참여한 여러 현장 교사와 상담사들을 기억하고자 합니다. 마지막으로 지속적으로 동참해준 독자 여러분들께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모든 저자들과 함께
서울대SSK교육사각지대학습자연구단 단장 김동일

powered by WITH Lab. (Widening InTellectual Horizon):
Education and Counseling for Children-Adolescents with Diverse Needs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김동일(지은이)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교육상담전공 교수 및 대학원 특수교육전공 주임교수, 서울대학교 대학생활문화원 원장, 장애학생지원센터 상담교수, 서울대 특수교육연구소 소장으로 재직하고 있다. 서울대학교 교육학과를 졸업하고 교육부 국비유학생으로 도미하여 미네소타 대학 교육심리학과에서 석사·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Developmental Studies Center, Research Associate, 한국청소년상담원 상담교수, 경인교육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한국학습장애학회 회장, (사)한국교육심리학회 회장, 서울대 사범대 기획실장, 국가 청소년보호위원회 위원, BK21 미래교육디자인연구사업단 단장 등을 역임하였다. 국가수준의 인터넷중독 척도와 개입연구를 진행하여 정보화역기능예방사업에 대한 공로로 행정안전부 장관표창 및 연구논문/저서의 우수성으로 교육부 학술상(상장 20-1075), 한국상담학회 학술상(2014-2/2016/2022)과 학지사 저술상(2012)을 수상하였다. 현재 BK21FOUR 혁신과 공존의 교육학연구사업단 단장, SSK교육사각지대학습자연구단 단장, 한국아동청소년상담학회 회장, 여성가족부 학교밖청소년지원위원회(2기) 위원, 국무총리실 사행산업통합감독위원회(중독분과) 민간위원 등으로 봉직하고 있다. 『지능이란 무엇인가』, 『학습장애아동의 이해와 교육』, 『청소년 상담학 개론』을 비롯하여 50여 권의 저·역서가 있으며, 300여 편의 등재 전문학술논문(SSCI/KCI)과 기초학습기능 수행평가체제(BASA)를 포함하여 30여 개의 표준화 검사를 개발하였다.

남지은(지은이)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교수,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석사/박사, 미국 Wellesley대학교 심리학과 학사, 전문상담사

고혜정(지은이)

순천향대학교 특수교육과 교수

박유정(지은이)

공주교육대학교 교육학과 특수교육전공 교수

신재현(지은이)

경인교육대학교 특수(통합)교육학과 교수

조영희(지은이)

백석대학교 특수교육과 교수

김은삼(지은이)

남춘천초등학교 교사

김희은(지은이)

위덕대학교 특수교육학부 교수

장세영(지은이)

서울대학교 SSK 교육사각지대학습자연구소 연구원

황지영(지은이)

드레이크대학교, Drake University 특수교육과 교수

정보제공 : Aladin

목차

01 교육사각지대 학습자 진단과 평가의 실제: 기초학습기능 수행평가체제(Basic Academic Skills Assessment, BASA) 1
김 동 일(서울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1. 기초학습기능 수행평가체제(Basic Academic Skills Assessment, BASA) 개관_3
2. BASA의 증거기반 종합_9
3. BASA 검사도구 및 나침반 시리즈 개관 _13
4. BASA 적용의 실제_24
5. 요약 및 시사점_35

02 변증법적 행동치료(DBT): 교육사각지대 학습자의 사회·정서 지원을 위한 중재전략 39
남 지 은(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수)
1. 교육사각지대 학습자의 사회·정서적 어려움 _41
2. 왜 DBT인가?_42
3. DBT 개관_43
4. 교육사각지대 학생들을 위한 DBT: 관련 기존 변형 모델 개관_49
5. 결론_63

03 난독증 및 읽기 장애 학습자를 위한 연구기반 중재의 실제 65
신 재 현(경인교육대학교 특수(통합)교육학과 교수)
1. 서언_67
2. 체계적 문헌분석 절차_70
3. 난독 중재 연구의 동향과 중재 효과성_72
4. 결언_83

04 교육사각지대 학습자를 위한 효과적인 읽기이해 지도방법 87
조 영 희(백석대학교 특수교육과 교수)
1. 교육사각지대 학습자를 위한 읽기이해 지도의 필요성 _89
2. 증거기반 읽기이해 교수법 개관 _94
3. 교육사각지대 학습자를 위한 읽기이해 지도전략의 실제 _98

05 교육사각지대 학습자를 위한 효과적인 쓰기 지도 방법 113
고 혜 정(순천향대학교 특수교육과 교수)
1. 교육사각지대 학습자의 쓰기 특성_115
2. 교육사각지대 학습자의 쓰기 능력 평가_118
3. 교육사각지대 학습자를 위한 효과적인 쓰기 교수법 _125
4. 후속 연구 및 교육 현장을 위한 제언_131

06 교육사각지대 학습자를 위한 효과적인 철자쓰기 지도방법 133
김 희 은(위덕대학교 특수교육학부 교수)
1. 교육사각지대 학습자를 위한 철자쓰기 지도의 필요성_135
2. 효과적인 철자 교수법 개관_142
3. 중재 전략 소개 _144

07 교육사각지대 학습자의 기초학습능력 보완을 위한 방학 프로그램: 효과성 및 적용 방안 탐색 151
박 유 정(공주교육대학교 교육학과 특수교육전공 교수)
1. 교육사각지대 학습자를 위한 방학 프로그램의 필요성_153
2. 방학 프로그램 종류 및 효과성 _155
3. 방학 프로그램 Seeing Stars를 활용한 지도 예시_164
4. 교육현장을 위한 제언_166

08 교육사각지대 학습자를 위한 다중지능을 활용한 강점 기반 접근 169
장 세 영(서울대학교 SSK 교육사각지대학습자연구소 연구원)
1. 다중지능이론(multiple intelligence)이란? _171
2. 다중지능이론을 기반한 성장 패러다임_174
3. 다중지능기반 교육_177
4. 교육사각지대 학습자 대상 강점기반교육 연구 사례_180

09 교육사각지대 학습자를 위한 개별화교육의 방향 189
김 은 삼(남춘천초등학교 교사)
1. 교육사각지대 학습자를 위한 개별화교육의 필요성_191
2. 교육사각지대 학습자를 위한 개별화교육의 방법_193
3. 결론 및 제언_204

10 교육사각지대학습자를 위한 다층지원체계(Multi-Tiered System of Support, MTSS)의 실제 207
황 지 영(드레이크대학교(Drake University) 특수교육과 조교수)
1. 교육사각지대 학습자 특성 및 다층지원체계_209
2. 국내외 관련 효과성 연구_217
3. 다층지원체계 구성요소_219
4. 다층지원체계 내 협력적 팀 접근_243
5. 다층지원체계 내 데이터 기반 개별화 실행을 위한 회의_247
6. 다층지원체계 적용 사례 및 예시_250

MTSS 참고자료 259
찾아보기 266
참고문헌 270

관련분야 신착자료